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43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43


[지장경 설법 43]
 過去 無量 阿僧祇劫에 부톄 世間애 냇더시니 일후미 淸淨蓮華目 如來러시니 그 부텻 목수미 四十劫이러시니 像法 中에  羅漢이 이셔 衆生 福度더니  겨지블 맛나니 주001)
맛나니:
기본형은 ‘맛나다’. 상봉하다. 만나니.
일후미

월인석보 21 상:53ㄱ

이러니 밥야 供養거늘 羅漢이 무로 엇던 願을 다 光目이 對答호 내 어미 업슨 나래 福 보타 주002)
보타:
보태어. 15세기 자료에서는 ‘보타다’로 나타나나, 현대국어와 같은 ‘보태다’의 형태는 16세기 자료부터 보인다.
救야  주003)
:
기본형은 ‘다’. 빼다. 여기 보이는 ‘ㆅ’은 원각경언해에서 각자병서의 전반적 폐지로 ‘ㅎ’로 바뀌고 말았다. 그 뒤 16세기에 ‘ㅆ’ 표기는 부활되었으나 ‘ㆅ’은 부활되지 못했는데 이것은 된소리 ‘ㆅ’가 기능 부담량이 매우 적었기 때문이지만, 이 된소리 자체가 없어진 것은 아니었다. 17세기 문헌들에 나타나는 ‘ᄻ’ 표기는 이때에도 ‘ㅎ’의 된소리가 있었음을 보이고 있다.
내 어미 아모 냇디 몰래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43]
또 과거 무량 아승기겁에 부처가 세간에 태어나셨더니 이름이 청정련화목 여래이시더니 그 부처의 목숨이 사십 겁이시더니 상법시 중에 한 나한이 있어 중생을 복도하더니 한 여자를 만나니 이름이 광목이더니 밥하여 공양하거늘 나한이 묻되 ‘어떤 원을 하는가?’ 광목이 대답하되 ‘나의 어미가 돌아가신 날에 복을 보태서 구하여 빼어내되 나의 어미가 어느 곳에 나있는지 모릅니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맛나니:기본형은 ‘맛나다’. 상봉하다. 만나니.
주002)
보타:보태어. 15세기 자료에서는 ‘보타다’로 나타나나, 현대국어와 같은 ‘보태다’의 형태는 16세기 자료부터 보인다.
주003)
:기본형은 ‘다’. 빼다. 여기 보이는 ‘ㆅ’은 원각경언해에서 각자병서의 전반적 폐지로 ‘ㅎ’로 바뀌고 말았다. 그 뒤 16세기에 ‘ㅆ’ 표기는 부활되었으나 ‘ㆅ’은 부활되지 못했는데 이것은 된소리 ‘ㆅ’가 기능 부담량이 매우 적었기 때문이지만, 이 된소리 자체가 없어진 것은 아니었다. 17세기 문헌들에 나타나는 ‘ᄻ’ 표기는 이때에도 ‘ㅎ’의 된소리가 있었음을 보이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