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69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69


[지장경 설법 69]
普廣菩薩아 未來世예 衆生히 시혹 미어나 시혹 자거나 鬼神 보 여러 가짓 양 시혹 슬커나 시혹 올어나 주001)
올어나:
‘울거나’의 잘못으로 보인다.
시혹 시름커나 시혹 한숨 디커나 시혹 恐怖커나 면【恐怖 저허씨라 주002)
저허씨라:
광흥사판에서의 ‘ㅭ’은 한자어의 경우 대부분 ‘ㄹ’로 바뀌어 표기되나 고유어의 경우에는 여전히 ‘ㅭ’로 표기된다. 이곳에서의 ‘ㄹ’ 표기예는 극히 드문 경우인 셈이다.
이 다 一生 十生

월인석보 21 상:95ㄱ

百生 千生 過去 父母 男女 弟妹 夫妻 眷屬이【妹 누의라】 惡趣예 이셔 여희여 나디 몯야 福力으로 苦惱 救야 과뎌 주003)
과뎌:
기본형은 ‘다’. 어미 ‘-과뎌’는 ‘-고자’. 빼고자.
 히 업서 宿世 주004)
숙세(宿世):
전생(前生).
骨肉 더브러 닐어 方便을 지 惡道 여희오져

월인석보 21 상:95ㄴ

願니 普廣아 네 神力으로 이 眷屬 諸佛 菩薩ㅅ 주005)
상(像):
‘상’의 성조형은 상성이나 이곳에서는 거성으로 표기되어 있다. 복각과정에서의 탈각 또는 오각으로 보인다.
알 對야 至極 로 이 經을 제 닑거나  주006)
청(請):
‘청’의 한자음 표기 ‘:’은 ‘:’의 잘못이다.
야 닑거나 그 數ㅣ 세버니어나 시혹 닐굽버네 니를에 면 이런 惡道 眷屬이 經쏘리 數에 

월인석보 21 상:96ㄱ

면 반기 버서나 夢寐中에 기리 다시 뵈디 아니 리리 주007)
리리:
‘리라’의 잘못. 할 것이다.
【寐 잘 씨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69]
보광보살아! 미래세에 중생들이 혹시 꿈이거나 혹시 잠들거나 귀신들을 보되 여러 가지 모습이 혹시 슬프거나 혹시 울거나 혹시 시름하거나 혹시 한숨짓거나 혹시 공포하거나 하면【공포는 두려워하는 것이다.】 이 모두 일생, 십생, 백생, 천생, 과거, 부모, 남녀, 제매, 부처, 권속이【매는 누이다.】 악취에 있어 여의어 나오지 못하여 복력으로 고뇌를 구하여 빼고자 바랄 땅이 없어 전생 골육과 더불어 일러 방편을 지어 지옥을 여의고자 원하니 보광아! 너의 신력으로 이 권속을 여러 부처 보살의 상 앞에 대하여 지극한 마음으로 이 경을 자기가 읽거나 남에게 청하여 읽거나 그 수가 세 번이거나 혹시 일곱 번에 이르게 하면 이런 악도 권속이 경소리 수에 마치면 반드시 벗어나 몽매 중에 길이 다시 보이지 아니할 것이다.【매는 자는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올어나:‘울거나’의 잘못으로 보인다.
주002)
저허씨라:광흥사판에서의 ‘ㅭ’은 한자어의 경우 대부분 ‘ㄹ’로 바뀌어 표기되나 고유어의 경우에는 여전히 ‘ㅭ’로 표기된다. 이곳에서의 ‘ㄹ’ 표기예는 극히 드문 경우인 셈이다.
주003)
과뎌:기본형은 ‘다’. 어미 ‘-과뎌’는 ‘-고자’. 빼고자.
주004)
숙세(宿世):전생(前生).
주005)
상(像):‘상’의 성조형은 상성이나 이곳에서는 거성으로 표기되어 있다. 복각과정에서의 탈각 또는 오각으로 보인다.
주006)
청(請):‘청’의 한자음 표기 ‘:’은 ‘:’의 잘못이다.
주007)
리리:‘리라’의 잘못. 할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