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20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20


[지장경 설법 20]
聖女ㅣ 무로 내 드로니 鐵圍ㅅ 안해 地獄 주001)
지옥(地獄):
① 중생(衆生)이 자기(自己)가 지은 죄업(罪業)으로 가서 나게 된다는 지하(地下)의 세계(世界). 또는 그런 생존. 섬부주의 땅 밑, 철위산의 바깥 변두리 어두운 곳에 있다고 한다. 팔대 지옥, 팔한 지옥 따위의 136종이 있다. 나락(奈落)·나락가·음사·이리. ② 큰 죄인(罪人)으로서 그 죄(罪)의 사함을 얻지 못하고 영벌을 받는다는 곳. ③ 어둡고 추하고 처참(悽慘)한 곳의 비유(比喩). ④ 아주 괴로운 지경(地境).
이 가온 잇다 니 이 이리 實니

월인석보 21 상:25ㄱ

가 주002)
-가:
‘-잇가’는 ‘쇼셔’ 체에서 사용되는 가부(可否)의 판정을 요구하는 의문 첨사이다. 중세후기의 의문법에 있어서는 이처럼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의문 어미 ‘-가’, 설명 의문문의 첨사 ‘-고’가 존재하였다. ‘야쎠’에서는 ‘-ㅅ가’가 두루 쓰였다. ‘라’체 에서는 서술어가 체언인 경우 ‘-가/고’가 쓰였고 용언에서는 ‘-니/리+아/오’나 ‘-녀, 뇨, 려, 료’ 등으로 쓰였다.
無毒對答호 주003)
대답(對答)호:
대답+오. ‘’는 양보의 선어말 어미로서 항상 ‘-오-’ 뒤에 연결 되어 쓰인다.
實로 주004)
실(實)로:
부사로서 ‘실제로’정도로 해석 가능하겠다.
地獄이 잇니다 주005)
잇니다:
잇++니다. ‘’는 현재시제 선어말 어미이다. 가끔은 미래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20]
성녀가 묻되 ‘내가 들으니 철위의 안에 지옥이 가운데 있다 하니 이 일이 사실입니까?’ 무독이 대답하되 ‘실제로 지옥이 있습니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지옥(地獄):① 중생(衆生)이 자기(自己)가 지은 죄업(罪業)으로 가서 나게 된다는 지하(地下)의 세계(世界). 또는 그런 생존. 섬부주의 땅 밑, 철위산의 바깥 변두리 어두운 곳에 있다고 한다. 팔대 지옥, 팔한 지옥 따위의 136종이 있다. 나락(奈落)·나락가·음사·이리. ② 큰 죄인(罪人)으로서 그 죄(罪)의 사함을 얻지 못하고 영벌을 받는다는 곳. ③ 어둡고 추하고 처참(悽慘)한 곳의 비유(比喩). ④ 아주 괴로운 지경(地境).
주002)
-가:‘-잇가’는 ‘쇼셔’ 체에서 사용되는 가부(可否)의 판정을 요구하는 의문 첨사이다. 중세후기의 의문법에 있어서는 이처럼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의문 어미 ‘-가’, 설명 의문문의 첨사 ‘-고’가 존재하였다. ‘야쎠’에서는 ‘-ㅅ가’가 두루 쓰였다. ‘라’체 에서는 서술어가 체언인 경우 ‘-가/고’가 쓰였고 용언에서는 ‘-니/리+아/오’나 ‘-녀, 뇨, 려, 료’ 등으로 쓰였다.
주003)
대답(對答)호:대답+오. ‘’는 양보의 선어말 어미로서 항상 ‘-오-’ 뒤에 연결 되어 쓰인다.
주004)
실(實)로:부사로서 ‘실제로’정도로 해석 가능하겠다.
주005)
잇니다:잇++니다. ‘’는 현재시제 선어말 어미이다. 가끔은 미래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