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66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66


[지장경 설법 66]
普廣아 善男子 善女人이 能히 地藏菩薩ㅅ 像 알 對야 여러가짓 류

월인석보 21 상:88ㄴ

야 놀애 주001)
놀애:
노래. ‘ㅇ’이 자음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그러한 ‘ㅇ’의 역할은 차츰 사라지게 되어 먼저 ‘ㅿㅇ’에서 일어난다. 15세기의 ‘애’, ‘위’ 등이 16세기 문헌에 ‘’, ‘거’ 등으로 나타나는 것이 그러한 예이다. ‘놀애’[歌]나 ‘몰애’[砂] 와 같은 ‘ㄹㅇ’은 16세기 말까지 변함이 없었다.
블러 讚歎며 香華로 供養호  사미어나 여러 사미어나 勸호매 니르러도 이트렛 무리 現在世 中과 未來世예 녜 百千 鬼神이 日夜 주002)
일야(日夜):
밤낮.
애 衛護야 모딘 이리 귀예 주003)
귀예:
중세국어에서의 귀(耳)는 거성으로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평성으로 되어 있다. 복각본인 탓으로 보인다. 이 책의 다른 부분에 나오는 ‘귀〈66ㄴ, 109ㄱ〉’는 거성으로 실현되어 있다.
들이디 아니케 리니 며

월인석보 21 상:89ㄱ

親히 여러 가짓 머즌 주004)
머즌:
기본형은 ‘멎다’. 궂거나 흉하다. 궂은.
이 受호미녀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66]
보광아 선남자 선녀인이 능히 지장보살의 상 앞에 대하여 여러 가지 풍류하여 노래를 불러 찬탄하며 향화로 공양하되 한 사람이거나 여러 사람이거나 권함에 이르러도 이들의 무리가 현재세 중과 미래세에 항상 백천 귀신이 밤낮에 위호하여 모진 일이 귀에 들리지 아니하게 하리니 하물며 친히 여러 가지 궂은 일을 얻음이랴.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놀애:노래. ‘ㅇ’이 자음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그러한 ‘ㅇ’의 역할은 차츰 사라지게 되어 먼저 ‘ㅿㅇ’에서 일어난다. 15세기의 ‘애’, ‘위’ 등이 16세기 문헌에 ‘’, ‘거’ 등으로 나타나는 것이 그러한 예이다. ‘놀애’[歌]나 ‘몰애’[砂] 와 같은 ‘ㄹㅇ’은 16세기 말까지 변함이 없었다.
주002)
일야(日夜):밤낮.
주003)
귀예:중세국어에서의 귀(耳)는 거성으로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평성으로 되어 있다. 복각본인 탓으로 보인다. 이 책의 다른 부분에 나오는 ‘귀〈66ㄴ, 109ㄱ〉’는 거성으로 실현되어 있다.
주004)
머즌:기본형은 ‘멎다’. 궂거나 흉하다. 궂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