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47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47


[지장경 설법 47]
光目이 듣고 疑心업시 어민 주001)
어민:
어미+이+ㄴ. 어미인. 어머니인.
 아라 목 몌여 슬허 우러 婢子려 닐오 마 내 어미 딘댄 주002)
-딘댄:
+ㅣ+ㄴ댄. 것인즉슨. 어미 ‘-ㄴ댄’은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은즉슨, -으면’.
根源ㅅ 罪 알리니 엇던 行業을 지 惡道애 러딘다 婢子 주003)
비자(婢子):
① 조선 시대에, 별궁·본곁·종친 사이의 문안 편지를 전달하던 여자 종. ② 예전에, 여자가 자기를 낮추어 이르던 일인칭 대명사.
ㅣ 對答호 산 것 주기며 허러 주004)
허러:
기본형은 ‘헐다’. 험담하다. 남을 나쁘게 말하다. 헐어.
구짓 주005)
구짓:
기본형은 ‘구짖다’. 간혹 ‘구짇다’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慈悲心로 구지돔 모시니 〈월석 4:16ㄱ〉’과 같은 경우가 그것이다. 꾸짖다. 꾸짖는.
두 業으로 報 受

월인석보 21 상:56ㄴ

호라 福 니펴 내 難 救티옷 주006)
구(救)티옷:
구할수록. 어미 ‘-디옷’은 어간 뒤에 붙어 ‘-수록, -을수록’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아니면 이 業 젼 주007)
젼:
‘까닭’의 옛말.
로 버서나디 몯 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47]
광목이 듣고 의심 없이 어미인 것을 알고 목이 메어 슬퍼 울어 여종에게 이르되 ‘이미 내 어미일 것인즉슨 근원의 죄를 알리니 어떤 행업을 지어 악도에 떨어졌는가?’ 여종이 대답하되 ‘산 것을 죽이며 남을 험담하여 꾸짖는 두 업으로 보를 받았다. 복을 입혀 내가 어려움을 구하지 아니하면 이 업 때문에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민:어미+이+ㄴ. 어미인. 어머니인.
주002)
-딘댄:+ㅣ+ㄴ댄. 것인즉슨. 어미 ‘-ㄴ댄’은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은즉슨, -으면’.
주003)
비자(婢子):① 조선 시대에, 별궁·본곁·종친 사이의 문안 편지를 전달하던 여자 종. ② 예전에, 여자가 자기를 낮추어 이르던 일인칭 대명사.
주004)
허러:기본형은 ‘헐다’. 험담하다. 남을 나쁘게 말하다. 헐어.
주005)
구짓:기본형은 ‘구짖다’. 간혹 ‘구짇다’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慈悲心로 구지돔 모시니 〈월석 4:16ㄱ〉’과 같은 경우가 그것이다. 꾸짖다. 꾸짖는.
주006)
구(救)티옷:구할수록. 어미 ‘-디옷’은 어간 뒤에 붙어 ‘-수록, -을수록’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주007)
젼:‘까닭’의 옛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