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4


[지장경 설법 4]
주001)
:
‘또’의 옛말. 합용병서 ‘ㅺ, ㅼ, ㅽ’의 ‘ㅅ’은 예로부터 “된시옷”이란 이름으로 불리어 왔다. 이 이름이 언제쯤 생긴 것인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15세기 중엽에 이것은 이미 사실상 “된시옷”으로 불렸던 것으로 믿어진다.
種種 주002)
종종(種種):
① 물건(物件)의 가지가지. ② 가끔.
微妙音을 내시니 波羅蜜 주003)
바라밀[波羅蜜]:
태어나고 죽는 현실의 괴로움에서 번뇌와 고통이 없는 경지인 피안으로 건넌다는 뜻으로, 열반에 이르고자 하는 보살의 수행을 이르는 말. 도안(到岸)·도피안(到彼岸)·바라밀다.
尸羅 波羅蜜音 羼提 波羅蜜音 毗離耶

월인석보 21 상:10ㄴ

波羅蜜音
禪 波羅蜜音 般若 波羅蜜音 慈悲音 喜捨 주004)
희사(喜捨):
① 마음에 즐기어서 재물(財物)을 냄. ② 절이나 교회(敎會) 따위에 금전(金錢)이나 토지(土地) 따위를 기부(寄附)함.
解脫音 無漏 주005)
무루(無漏):
번뇌에서 벗어나거나 번뇌가 없음.
智慧音 大智慧音 師子吼 주006)
사자후(師子吼):
부처의 위엄 있는 설법을, 사자의 울부짖음에 모든 짐승이 두려워하여 굴복하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大師子吼音 雲雷音 大雲雷音 이러틋 不

월인석보 21 상:11ㄱ

可說 不可說音을 내시고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4]
또 여러 가지 기교를 부리는 소리를 내시니 단 바라밀음 시라 바라밀음 찬제 바라밀음 비리야 바라밀음 선 바라밀음 반야 바라밀음 자비음 희사음 해설음 무루음 지혜음 대지혜음 사자후음 대사자후음 운뢰음 대운뢰음 이렇듯한 불가설 불가설음을 내시고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또’의 옛말. 합용병서 ‘ㅺ, ㅼ, ㅽ’의 ‘ㅅ’은 예로부터 “된시옷”이란 이름으로 불리어 왔다. 이 이름이 언제쯤 생긴 것인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15세기 중엽에 이것은 이미 사실상 “된시옷”으로 불렸던 것으로 믿어진다.
주002)
종종(種種):① 물건(物件)의 가지가지. ② 가끔.
주003)
바라밀[波羅蜜]:태어나고 죽는 현실의 괴로움에서 번뇌와 고통이 없는 경지인 피안으로 건넌다는 뜻으로, 열반에 이르고자 하는 보살의 수행을 이르는 말. 도안(到岸)·도피안(到彼岸)·바라밀다.
주004)
희사(喜捨):① 마음에 즐기어서 재물(財物)을 냄. ② 절이나 교회(敎會) 따위에 금전(金錢)이나 토지(土地) 따위를 기부(寄附)함.
주005)
무루(無漏):번뇌에서 벗어나거나 번뇌가 없음.
주006)
사자후(師子吼):부처의 위엄 있는 설법을, 사자의 울부짖음에 모든 짐승이 두려워하여 굴복하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