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상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상권(地藏經諺解 上卷)
  • 제4 중생업감품(衆生業感品)
  • 제4 중생업감품 008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4 중생업감품 008


형상을 소화주001)
소화:
소화(塑畵). 소상(塑像)을 만들거나 그림(탱화)을 그림.
면 존망주002)
존망:
존망(存亡). 산 사람과 죽은 사람.
보을주003)
보을:
보(報)를.
어드리라 광목이 듣고 즉재주004)
즉재:
즉시. 즉자히〉즉재/즉ᄌᆡ. 『석보상절』에서는 ‘즉자히’로, 『월인석보』에서는 ‘즉자히(1-12권까지), 즉재, 즉제(13-25권)’로 나타난다. ‘즉’은 한자어 ‘卽’으로 보인다. ‘재’가 ‘ᄌᆡ’로도 쓰이는 것은 ‘ㆍ’의 음운 소실을 반영한다.
랑믈주005)
랑믈:
원문의 ‘愛’를 번역한 것인데, 『월인석보』(21상:54ㄴ)에는 ‘ᄃᆞᆺ온(=사랑하는)’으로 적혀 있다. ‘아끼는 재물’을 가리킨다. 그런데 동사의 명사형이 ‘사물’을 가리키는 것은 보편적이지 않다.
려주006)
려:
버려. ᄇᆞ리-[捨]+어. 희사(喜捨)하여.
불샹을 그리고 공양와 공경 을로 슬허 울며 절더니 문득 밤 후주007)
밤 후:
‘夜後’의 번역이다. 『월인석보』(21상:54ㄴ)에서도 ‘밤 後’로 번역하였다. ‘夜後’는 ‘늦은 밤’을 뜻한다.
에 메 부텻 몸을 보오니 금이 빗나시고 큰 광명을 펴샤 광목이주008)
광목이:
광목(廣目)+이. 인명(人名) 뒤에 붙는 ‘이’는 [-높임][+친근감]의 의미를 지닌 접미사인데, 중세국어에서도 많이 보이고 현대국어에까지 계승되고 있다.
려 니샤 네 엄미 아니 오라주009)
오라:
오래어. 오라-[久]+아(연결 어미). 현대국어라면 ‘오래지 않아’와 같이 보조 용언 구문을 취하는데,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에서는 ‘아니 오라’와 같이 부정 부사 ‘아니’를 선행시킨다.
네 지 나리라 주010)
:
갓. 금방. 이제 막.
고포며주011)
고포며:
배고프며. ‘고ᄑᆞ〉고포’는 ‘ㆍ’의 소실을 반영한다.
치오주012)
치오:
추움을. 칩-[寒]+음(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ㅂ’ 불규칙 형용사. 치ᄫᅮ믈〉치오ᄆᆞᆯ.
알면 즉재 말리라 그 후에 가주013)
가:
가내(家內).
주014)
비:
비(婢)가. 계집종이. 비(婢)+Ø(주격 조사).
 아을 나니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형상(形像)을 소화(塑畵)하면 존망(存亡)이 보(報)를 얻을 것이다. 광목이 듣고 즉시 아끼는 것(재물)을 버려, 불상을 그리고 공양하옵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슬퍼하며 울며 절하였는데, 문득 늦은 밤 꿈속에서 부처의 몸을 뵈오니, 금색이 빛나시고 큰 광명을 펴시면서, 광목이더러 이르시되, 네 어미 오래지 않아서 네 집에 태어나리라. 〈그 아기는〉 겨우 배고프며 추움을 알면(알기만 해도), 즉시 말을 할 수 있으리라. 그 후에 집 안에 계집종이 한 아들을 낳으니,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소화:소화(塑畵). 소상(塑像)을 만들거나 그림(탱화)을 그림.
주002)
존망:존망(存亡). 산 사람과 죽은 사람.
주003)
보을:보(報)를.
주004)
즉재:즉시. 즉자히〉즉재/즉ᄌᆡ. 『석보상절』에서는 ‘즉자히’로, 『월인석보』에서는 ‘즉자히(1-12권까지), 즉재, 즉제(13-25권)’로 나타난다. ‘즉’은 한자어 ‘卽’으로 보인다. ‘재’가 ‘ᄌᆡ’로도 쓰이는 것은 ‘ㆍ’의 음운 소실을 반영한다.
주005)
랑믈:원문의 ‘愛’를 번역한 것인데, 『월인석보』(21상:54ㄴ)에는 ‘ᄃᆞᆺ온(=사랑하는)’으로 적혀 있다. ‘아끼는 재물’을 가리킨다. 그런데 동사의 명사형이 ‘사물’을 가리키는 것은 보편적이지 않다.
주006)
려:버려. ᄇᆞ리-[捨]+어. 희사(喜捨)하여.
주007)
밤 후:‘夜後’의 번역이다. 『월인석보』(21상:54ㄴ)에서도 ‘밤 後’로 번역하였다. ‘夜後’는 ‘늦은 밤’을 뜻한다.
주008)
광목이:광목(廣目)+이. 인명(人名) 뒤에 붙는 ‘이’는 [-높임][+친근감]의 의미를 지닌 접미사인데, 중세국어에서도 많이 보이고 현대국어에까지 계승되고 있다.
주009)
오라:오래어. 오라-[久]+아(연결 어미). 현대국어라면 ‘오래지 않아’와 같이 보조 용언 구문을 취하는데,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에서는 ‘아니 오라’와 같이 부정 부사 ‘아니’를 선행시킨다.
주010)
:갓. 금방. 이제 막.
주011)
고포며:배고프며. ‘고ᄑᆞ〉고포’는 ‘ㆍ’의 소실을 반영한다.
주012)
치오:추움을. 칩-[寒]+음(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ㅂ’ 불규칙 형용사. 치ᄫᅮ믈〉치오ᄆᆞᆯ.
주013)
가:가내(家內).
주014)
비:비(婢)가. 계집종이. 비(婢)+Ø(주격 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