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상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상권(地藏經諺解 上卷)
  • 제1 도리천궁신통품(忉利天宮神通品)
  • 제1 도리천궁신통품 018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 도리천궁신통품 018


난주001)
ᄂᆞᆯ난:
날쌘. ᄂᆞᆯ나-+ㄴ. 『월인석보』(21상:23ㄴ)에는 ‘ᄂᆞᆯ카ᄫᆞᆫ(=날카로운)’으로 적혀 있다.
히주002)
ᄂᆞᆯ히:
칼날이. ᄂᆞᆯㅎ[刃]+이.
주003)
칼:
칼[刀]. 갈〉칼.

지장경언해 상:11ㄱ

 것히 죄인ᄃᆞᆯ을 모라 모딘 즘의게 갓가이 가게 며  제 자바 머리와 발과  모도잡니주004)
모도잡니:
모아서 잡더니. 한꺼번에 잡더니. 몯-[集]+오(부사 파생 접미사)+잡+더+니. ‘모도잡다’는 ‘攝, 統, 撮(간추림)’ 등의 번역에 쓰였다.
그 즈시 일만 가지라 오래 몯 보리러니 귿 히 념불녁그로주005)
념불녁그로:
염불력(念佛力)으로.
ᄌᆡ연히주006)
ᄌᆡ연히:
자연(自然)히. 저절로.
저품미주007)
저품미:
두려움이. 젛-[懼]+브(형용사 파생 접미사)+움(명사형 어미)+이.
업라  귀왕 일호미 무독기라 호리주008)
호리:
하는 이가. ᄒᆞ-+오/우+ㄹ(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ㅣ’로 끝난 명사 뒤에서 주격 조사가 외현되지 않은 것이다.
머리 조아주009)
조아:
조아려. 조아리고. 『월인석보』(21상:24ㄱ)에는 ‘조ᅀᅡ 와(조아리며 와서)’로 적혀 있다.
마자 셩녀려 니르되 됴호실셔주010)
됴호실셔:
좋으시도다. 됴ᄒᆞ실쎠〉됴호실셔. ‘-ㄹ셔’는 감탄의 의미를 나타내는 평서문 종결 형식이다.
보살이 얻던 연으로 예 오시닏고주011)
오시닏고:
오셨습니까. 오-+시+니+잇(청자 존대 선어말 어미)+고.
귿 히 무루 이 엇 히닛가주012)
히닛가:
땅입니까. ᄯᅡᇂ[地]+이+니+잇(청자 존대 선어말 어미)+가. 『월인석보』(21상:24ㄴ)에는 ‘(이 엇던) ᄯᅡ히ᅌᅵᆺ가’로 적혀 있다. ‘-니-’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라’ 앞에서는 [인지 요구]의 의미를 지니지만, 의문 종결 어미 ‘-가, -고’ 앞에서는 무표적이다. 한편 중세국어에서는 의문 종결 어미 ‘-고’와 ‘-가’가 설명의문과 판정의문으로 구별되어 쓰였는데, ‘이 엇던 ᄯᅡ히ᅌᅵᆺ가’는 예외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무독이 답호되 이 대텰위산주013)
대텰위산:
대철위산(大鐵圍山). 대천(大千)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산.
셔면 뎨일듕니다주014)
뎨일듕니다:
제일중해(第一重海)입니다. 뎨일듕+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인지 요구 선어말 어미)+이(청자 존대 선어말 어미)+다.
셩녜 므로되 내 드르니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날쌘(=날카로운) 날이 칼 같은 것들이 죄인들을 몰아서 사나운 짐승에게 가까이 가게 하며, 또 제가 잡아서 머리와 발과 함께 모아서 잡더니, 그 짓이 일만 가지라, 오래 못 보리러니, 그 딸이 염불의 힘으로 자연히 두려움이 없더라. 한 귀왕(鬼王) 〈중〉 이름이 무독(無毒)이라 하는 이가 머리 조아려 맞이하여 성녀더러 이르되, 좋으시도다. 보살이 어떤 인연으로 여기에 오셨습니까? 그 딸이 묻되, 여기는 어떤 곳입니까? 무독(無毒)이 대답하되, 여기는 대철위산(大鐵圍山) 서면(西面) 제일중해(第一重海)입니다. 성녀가 묻되, 내 들으니,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ᄂᆞᆯ난:날쌘. ᄂᆞᆯ나-+ㄴ. 『월인석보』(21상:23ㄴ)에는 ‘ᄂᆞᆯ카ᄫᆞᆫ(=날카로운)’으로 적혀 있다.
주002)
ᄂᆞᆯ히:칼날이. ᄂᆞᆯㅎ[刃]+이.
주003)
칼:칼[刀]. 갈〉칼.
주004)
모도잡니:모아서 잡더니. 한꺼번에 잡더니. 몯-[集]+오(부사 파생 접미사)+잡+더+니. ‘모도잡다’는 ‘攝, 統, 撮(간추림)’ 등의 번역에 쓰였다.
주005)
념불녁그로:염불력(念佛力)으로.
주006)
ᄌᆡ연히:자연(自然)히. 저절로.
주007)
저품미:두려움이. 젛-[懼]+브(형용사 파생 접미사)+움(명사형 어미)+이.
주008)
호리:하는 이가. ᄒᆞ-+오/우+ㄹ(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ㅣ’로 끝난 명사 뒤에서 주격 조사가 외현되지 않은 것이다.
주009)
조아:조아려. 조아리고. 『월인석보』(21상:24ㄱ)에는 ‘조ᅀᅡ 와(조아리며 와서)’로 적혀 있다.
주010)
됴호실셔:좋으시도다. 됴ᄒᆞ실쎠〉됴호실셔. ‘-ㄹ셔’는 감탄의 의미를 나타내는 평서문 종결 형식이다.
주011)
오시닏고:오셨습니까. 오-+시+니+잇(청자 존대 선어말 어미)+고.
주012)
히닛가:땅입니까. ᄯᅡᇂ[地]+이+니+잇(청자 존대 선어말 어미)+가. 『월인석보』(21상:24ㄴ)에는 ‘(이 엇던) ᄯᅡ히ᅌᅵᆺ가’로 적혀 있다. ‘-니-’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라’ 앞에서는 [인지 요구]의 의미를 지니지만, 의문 종결 어미 ‘-가, -고’ 앞에서는 무표적이다. 한편 중세국어에서는 의문 종결 어미 ‘-고’와 ‘-가’가 설명의문과 판정의문으로 구별되어 쓰였는데, ‘이 엇던 ᄯᅡ히ᅌᅵᆺ가’는 예외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주013)
대텰위산:대철위산(大鐵圍山). 대천(大千)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산.
주014)
뎨일듕니다:제일중해(第一重海)입니다. 뎨일듕+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인지 요구 선어말 어미)+이(청자 존대 선어말 어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