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상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상권(地藏經諺解 上卷)
  • 제2 분신집회품(分身集會品)
  • 제2 분신집회품 002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 분신집회품 002


주001)
:
함께. 기원적 구조는 ‘ᄒᆞᆫ[一]+ᄢᅳ[時]+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ᄒᆞᆫᄃᆡ’도 같은 뜻을 나타낸다. 이 책에도 예가 있다.
오니히주002)
오니히:
온 사람들이. 『월인석보』(21상:30ㄴ)에는 ‘오니ᄃᆞᆯ히’로 적혀 있다. ‘ᄃᆞᆯ’을 ‘ᄯᆞᆯ’로 적어야 할 이유는 찾기 어렵다.
다 디장보살 주003)
엣:
-의. 『월인석보』(21상:30ㄴ)에는 ‘ㅅ’으로 적혀 있다. 중세국어에서는 무정 명사나 높임의 대상인 명사는 관형격 조사로 ‘ㅅ’을 취한다.
교화로 아녹다라삼약

지장경언해 상:14ㄴ

삼보뎨
주004)
아녹다라삼약삼보뎨: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아누다라삼막삼보리’라고도 한다. 석가모니가 깨달은 지혜를 가리키는 말. 석가모니가 깨달은 이치는 더없이 높고 평등한 진리라는 뜻. 번역하여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무상정등보리(無上正等菩提), 무상정변지(無上正遍智)’라 한다.
기리주005)
기리:
길이. 길-[長, 永]+이(부사 파생 접미사). ‘길다’에서 파생된 명사는 ‘기릐’이다. 이른바 척도류(尺度類) 형용사들은 명사 파생 접미사로는 ‘-/의’를, 부사 파생 접미사로는 ‘-이’를 취한다. ‘기릐(명사) : 기리(부사)’, ‘기픠(명사) : 기피(부사)’, ‘노(명사) : 노피(부사)’와 같다. 그러나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도 있었다. ¶羅睺阿脩羅王 本來ㅅ  기리 七百 由旬이오 큰 威力이 잇니〈석보상절 13:9ㄴ〉.
퇴뎐주006)
퇴뎐:
퇴전(退轉). 물러남.
안니니러니주007)
안니니러니:
아니한 사람이더니. 안니+ᄒᆞ-+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더/러+니.
주008)
한:
많은. 하-[多]+ㄴ.
사이 오랜 주009)
겁:
겁(劫). 산스크리트어 ‘kalpa’의 음역. 통상적인 시간의 단위로 잴 수 없을 만큼 매우 길고 긴 세월을 가리키는 말. ‘갈랍파(羯臘波), 겁파(劫波)’라고도 함.
부터 애 흘러녀 뉵도주010)
뉵도:
육도(六道). 지옥·아귀·축생·수라·하늘·인간세상의 여섯 가지 세상.
슈고주011)
슈고:
수고(受苦).
야 잠간도 쉬디 몯다가 지장보살 광대비 기픈 셰원주012)
셰원:
서원(誓願). ‘誓’의 전통 한자음에는 ‘셰’와 ‘셔’ 두 가지가 있었다.
으로 각각 과증주013)
과증:
과증(果證). 깨달음.
어드니러니주014)
어드니러니:
얻은 이이더니. 얻-[得]+은+이(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더/러+니.
도리주015)
도리:
도리천(忉利天). ‘삼십삼천(三十三天)’이라고도 한다. 욕계 6천의 제2천. 달리야달리사천(怛唎耶怛唎奢天), 다라야등릉사천(多羅夜登陵舍天)이라고 하고 33천이라 번역한다. 남섬부주(南贍部洲) 위에 8만 유순 되는 수미산 꼭대기에 있다. 중앙에 선견성(善見城)이라는, 4면이 8만 유순씩 되는 큰 성이 있고, 이 성 안에 제석천(帝釋天)이 있고, 사방에는 각기 8성이 있는데, 그 권속인 하늘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한다. 사방 8성인 32성에 선견성을 더하여 33이 된다.
에 와 애 용약글주016)
용약글:
용약(踊躍)을. 뛸 듯이 즐거운 마음을. ‘-약글’은 중철이다.
머거주017)
머거:
머금어. 품어. ‘용약’을 목적어로 취하고 있다.
여ᄋᆞᆯ 우러와주018)
우러와:
우러러. 울얼/우럴-[仰]+ᄉᆞ오(겸양 선어말 어미)+아. 울월다〉울얼다/우럴다.
주019)
눈:
시선. ‘ᄇᆞᆯ이다/ᄇᆞ리다’의 목적어로 쓰였다.
을 잠간도 이옵디 안니니주020)
안니니:
아니하더니. 중세국어 문헌에서는 ‘아니터니’로 적히던 것인데, 유기음을 ㅅ계 합용병서로 적는 특징을 보여 준다.
급 셰존이 금 주021)
폴:
팔[臂, 腕]. 현대 경상도 방언에도 ‘폴(=팔)’이 있다.
폐샤주022)
폐샤:
펴시어. 펴-+시+아. ‘펴→폐’는 ㅣ 역행동화.
쳔만억 블가 블가의 블가량 블가셜 무량 아승기 셰계엗 화신 디장보살 마하살주023)
마하살:
마하살(摩訶薩). 산스크리트어 ‘mahā-sattva’를 음역한 것이다. ‘위대한 존재’란 뜻으로 보살에 대한 존칭이다.
주024)
뎡:
정(頂). 정수리.
을 지시며 이 말 디으샤주025)
디으샤ᄃᆡ:
지으시되. 『월인석보』(21상:32ㄱ)의 ‘니ᄅᆞ샤ᄃᆡ’가 ‘이 말 디으샤ᄃᆡ’로 바뀌었다.

지장경언해 상:15ㄱ

오탁악셰주026)
오탁악세:
오탁악세(五濁惡世). 오탁이 일어나는 말세. 불교에서 말하는 종말론의 일종. 5탁과 10악이 치성한 시기. 그 시기는 인간의 수명이 8만 4천 세에 이르는 때로부터 시작되어서, 2만 세에 이르기까지 5탁이 증가된다고 한다. 오탁은 말세(末世)에 일어나는 다섯 가지의 좋지 않은 일들. ①전쟁, 질병, 기근 등이 많이 일어나며 시대적인 환경과 사회가 혼탁해지는 겁탁(劫濁). ②그릇된 사상이나 견해가 무성하여, 세상이 혼란하고 흐려지는 견탁(見濁). ③여러 번뇌가 극성스럽게 일어나 중생을 흐리게 하고 악덕이 넘쳐 흐르게 되는 번뇌탁(煩惱濁). ④인간의 마음이 둔해지고 몸이 약해지며, 중생의 자질이 저하되는 중생탁(衆生濁). ⑤인간의 수명이 짧아지는 명탁(命濁).
에 이티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저(=그) 함께 온 사람들이 다 지장보살의 교화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영원히 물러나지 아니한 이더니, 이 많은 사람이 오랜 겁(劫)부터 생사에 흘러다녀, 육도(六道)에서 고통을 받으면서 잠깐도 쉬지 못하다가, 지장보살의 광대자비(廣大慈悲) 깊은 서원으로 각각 과증(果證)을 얻은 이였는데, 도리천(忉利天)에 와서, 마음에 용약(踊躍)을 먹어(=품어) 여래를 우러러 시선을 잠깐도 버리옵지 아니하였는데, 그때에 세존께서 황금색 팔을 펴시어, 백천만억 불가사(不可思) 불가의(不可議) 불가량(不可量) 불가설(不可說) 무량(無量) 아승기(阿僧祗) 세계의 화신(化身) 지장보살 마하살 정(頂)을 만지시며 이 말을 지으시되, “내 오탁악세(五濁惡世)에 이같이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함께. 기원적 구조는 ‘ᄒᆞᆫ[一]+ᄢᅳ[時]+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ᄒᆞᆫᄃᆡ’도 같은 뜻을 나타낸다. 이 책에도 예가 있다.
주002)
오니히:온 사람들이. 『월인석보』(21상:30ㄴ)에는 ‘오니ᄃᆞᆯ히’로 적혀 있다. ‘ᄃᆞᆯ’을 ‘ᄯᆞᆯ’로 적어야 할 이유는 찾기 어렵다.
주003)
엣:-의. 『월인석보』(21상:30ㄴ)에는 ‘ㅅ’으로 적혀 있다. 중세국어에서는 무정 명사나 높임의 대상인 명사는 관형격 조사로 ‘ㅅ’을 취한다.
주004)
아녹다라삼약삼보뎨: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아누다라삼막삼보리’라고도 한다. 석가모니가 깨달은 지혜를 가리키는 말. 석가모니가 깨달은 이치는 더없이 높고 평등한 진리라는 뜻. 번역하여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무상정등보리(無上正等菩提), 무상정변지(無上正遍智)’라 한다.
주005)
기리:길이. 길-[長, 永]+이(부사 파생 접미사). ‘길다’에서 파생된 명사는 ‘기릐’이다. 이른바 척도류(尺度類) 형용사들은 명사 파생 접미사로는 ‘-/의’를, 부사 파생 접미사로는 ‘-이’를 취한다. ‘기릐(명사) : 기리(부사)’, ‘기픠(명사) : 기피(부사)’, ‘노(명사) : 노피(부사)’와 같다. 그러나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도 있었다. ¶羅睺阿脩羅王 本來ㅅ  기리 七百 由旬이오 큰 威力이 잇니〈석보상절 13:9ㄴ〉.
주006)
퇴뎐:퇴전(退轉). 물러남.
주007)
안니니러니:아니한 사람이더니. 안니+ᄒᆞ-+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더/러+니.
주008)
한:많은. 하-[多]+ㄴ.
주009)
겁:겁(劫). 산스크리트어 ‘kalpa’의 음역. 통상적인 시간의 단위로 잴 수 없을 만큼 매우 길고 긴 세월을 가리키는 말. ‘갈랍파(羯臘波), 겁파(劫波)’라고도 함.
주010)
뉵도:육도(六道). 지옥·아귀·축생·수라·하늘·인간세상의 여섯 가지 세상.
주011)
슈고:수고(受苦).
주012)
셰원:서원(誓願). ‘誓’의 전통 한자음에는 ‘셰’와 ‘셔’ 두 가지가 있었다.
주013)
과증:과증(果證). 깨달음.
주014)
어드니러니:얻은 이이더니. 얻-[得]+은+이(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더/러+니.
주015)
도리:도리천(忉利天). ‘삼십삼천(三十三天)’이라고도 한다. 욕계 6천의 제2천. 달리야달리사천(怛唎耶怛唎奢天), 다라야등릉사천(多羅夜登陵舍天)이라고 하고 33천이라 번역한다. 남섬부주(南贍部洲) 위에 8만 유순 되는 수미산 꼭대기에 있다. 중앙에 선견성(善見城)이라는, 4면이 8만 유순씩 되는 큰 성이 있고, 이 성 안에 제석천(帝釋天)이 있고, 사방에는 각기 8성이 있는데, 그 권속인 하늘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한다. 사방 8성인 32성에 선견성을 더하여 33이 된다.
주016)
용약글:용약(踊躍)을. 뛸 듯이 즐거운 마음을. ‘-약글’은 중철이다.
주017)
머거:머금어. 품어. ‘용약’을 목적어로 취하고 있다.
주018)
우러와:우러러. 울얼/우럴-[仰]+ᄉᆞ오(겸양 선어말 어미)+아. 울월다〉울얼다/우럴다.
주019)
눈:시선. ‘ᄇᆞᆯ이다/ᄇᆞ리다’의 목적어로 쓰였다.
주020)
안니니:아니하더니. 중세국어 문헌에서는 ‘아니터니’로 적히던 것인데, 유기음을 ㅅ계 합용병서로 적는 특징을 보여 준다.
주021)
폴:팔[臂, 腕]. 현대 경상도 방언에도 ‘폴(=팔)’이 있다.
주022)
폐샤:펴시어. 펴-+시+아. ‘펴→폐’는 ㅣ 역행동화.
주023)
마하살:마하살(摩訶薩). 산스크리트어 ‘mahā-sattva’를 음역한 것이다. ‘위대한 존재’란 뜻으로 보살에 대한 존칭이다.
주024)
뎡:정(頂). 정수리.
주025)
디으샤ᄃᆡ:지으시되. 『월인석보』(21상:32ㄱ)의 ‘니ᄅᆞ샤ᄃᆡ’가 ‘이 말 디으샤ᄃᆡ’로 바뀌었다.
주026)
오탁악세:오탁악세(五濁惡世). 오탁이 일어나는 말세. 불교에서 말하는 종말론의 일종. 5탁과 10악이 치성한 시기. 그 시기는 인간의 수명이 8만 4천 세에 이르는 때로부터 시작되어서, 2만 세에 이르기까지 5탁이 증가된다고 한다. 오탁은 말세(末世)에 일어나는 다섯 가지의 좋지 않은 일들. ①전쟁, 질병, 기근 등이 많이 일어나며 시대적인 환경과 사회가 혼탁해지는 겁탁(劫濁). ②그릇된 사상이나 견해가 무성하여, 세상이 혼란하고 흐려지는 견탁(見濁). ③여러 번뇌가 극성스럽게 일어나 중생을 흐리게 하고 악덕이 넘쳐 흐르게 되는 번뇌탁(煩惱濁). ④인간의 마음이 둔해지고 몸이 약해지며, 중생의 자질이 저하되는 중생탁(衆生濁). ⑤인간의 수명이 짧아지는 명탁(命濁).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