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상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상권(地藏經諺解 上卷)
  • 제1 도리천궁신통품(忉利天宮神通品)
  • 제1 도리천궁신통품 00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 도리천궁신통품 004


급주001)
급ᄭᅴ:
중세국어의 ‘그ᄢᅴ’의 ‘ㅂ’을 앞 음절 받침으로 표기한 것이다. 그+ᄢᅳ[時]+의(부사격 조사). 중세국어에서 관형격 조사와 모양이 같은 ‘의/’가 부사격 조사로 쓰이기도 하였다.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특수 어휘가 ‘애/에/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이것이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인데, 이 책에서는 ‘의’가 그러한 고유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명사 뒤에 쓰였다.
시방주002)
시방:
시방(十方). 10방위를 말한다. 동, 서, 남, 북, 동남, 동북, 서남, 서북, 상(上), 하(下). 그 중에서 동남, 동북, 서남, 서북 등을 4유(維)라고 한다.
무량셰계 블가셜주003)
블가셜:
불가설(不可說).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반복한 것은 강조를 위함이다. ‘不’의 전통 한자음이 ‘불’이었으므로, ‘블’은 원순모음화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이다.
블가셜 일쳬 졔블과 대보살 마하살주004)
마하살:
마하살(摩訶薩). 산스크리트어 ‘mahā-sattva’를 음역한 것이다. ‘위대한 존재’란 뜻으로 보살에 대한 존칭이다.
이 다 와 모다주005)
모다:
모여. 몯-[集]+아.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 능격동사이다.
계샤 찬탄샤 셕가모니블이 능히 오탁악셰주006)
오탁악셰:
오탁악세(五濁惡世). 오탁이 일어나는 말세. 불교에서 말하는 종말론의 일종. 5탁과 10악이 치성(熾盛)한 시기. 그 시기는 인간의 수명이 8만 4천 세에 이르는 때로부터 시작되어서 2만 세에 이르기까지 5탁이 증가된다고 한다. 오탁은 말세(末世)에 일어나는 다섯 가지의 좋지 않은 일들. ①전쟁, 질병, 기근 등이 많이 일어나며 시대적인 환경과 사회가 혼탁해지는 겁탁(劫濁). ②그릇된 사상이나 견해가 무성하여 세상이 혼란하고 흐려지는 견탁(見濁). ③여러 번뇌가 극성스럽게 일어나 중생을 흐리게 하고 악덕이 넘쳐흐르게 되는 번뇌탁(煩惱濁). ④인간의 마음이 둔해지고 몸이 약해지며 중생의 자질이 저하되는 중생탁(衆生濁). ⑤인간의 수명이 짧아지는 명탁(命濁).
블가의에주007)
블가의에:
불가사의(不可思議)의. 『월인석보』(21상:9ㄱ)에는 ‘不可思議옛’으로 적혀 있다. 그러므로 여기의 ‘에’는 관형격 조사로 쓰인 것이다. ‘불가사의’는 마음으로 헤아려 생각할 수 없거나 언어로써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심오한 이치나 희귀한 경지를 가리키는 수식어로 쓰인다. ‘不’의 전통 한자음이 ‘불’이었으므로, ‘블’은 원순모음화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이다.
대디혜 신통녁을 나토샤 강강주008)
강강:
『월인석보』(21상:9ㄱ)에는 ‘剛强’으로 나타나며, 협주에서 ‘剛强ᄋᆞᆫ 세여 에구들 씨라’라고 풀이되어 있다. ‘완고하여 진리의 가르침을 잘 받아들이지 않는 기질’을 뜻한다.
즁을 질드리샤주009)
질드리샤:
길들이시어. 질드리-[調. 馴]+시+아. 현대 표준어 ‘길들이다’는 과잉교정(역구개음화)이다.
고락법을 알게 시다주010)
시다:
하시도다. ‘-도다’는 17세기에 출현하는 문장 종결 형식이다. ‘-다’로 표기되는 경우가 더 많고, ‘-또다’도 보인다. ¶①四時 조차 노다〈朴諺 上:18ㄱ〉. ②그러면 너희 伴當들히 실로 受苦다〈朴諺 下:14ㄴ〉. ③塵喧을 막또다〈孤山遺稿 6別 下:14ㄱ〉. 15세기에는 ‘-도-’ 앞에 ‘--, -시-, -리-, -놋-, -앳/앗-’이 통합할 수 있었는데, 16세기에 ‘--’가 앞에 통합한 ‘-다’가 등장한다. 16세기의 ‘-다’는 15세기의 ‘-놋도다’에서 ‘-오-’가 탈락한 것이고, 17세기의 ‘-도다/다’는 ‘-다’의 ‘--’가 ‘--’으로 교체된 것이다. 이 변화의 과정은 「+오+ㅅ+도+다 〉 ++다 〉 ++다」로 기술할 수 있을 것이다. ‘-ㄴ다’와 ‘-다’가 선행하는 음소에 따라서 구별되는 것과는 달리 자음 뒤에서나 모음 뒤에서나 ‘-도다/다’만이 쓰이는데, 이 점은 ‘-고나’와 동일하다.
시고 각각 뫼오니주011)
뫼오니:
모신 이(사람). 뫼ᅀᆞᄫᆞ니〉뫼ᄉᆞ오니.
보내샤 셰존 안보주012)
안보:
안부(安否). ‘ㅜ→ㅗ’는 ‘ㅗ〉ㅜ’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으로 보인다.
묻오신니 급 여 우연샤주013)
우연샤:
빙그레 웃으시어. 우ᅀᅧᆫᄒᆞ다〉우연ᄒᆞ다.
쳔만억 대광명운을 펴시니 대원만광명운 대비광명운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그때에 시방 무량세계의 말할 수 없는 말할 수 없는 일체 제불과 대보살 마하살이 다 와서 모여 계셔서 찬탄하시되, “석가모니불이 능히 오탁악세에 불가사의의 대지혜 신통력을 나타내시어, 완강한
(길들이기 어려운)
중생들을 길들이시어 고락법을 알게 하시도다.” 하시고, 각각 모신 이를 보내시어 세존께 안부를 여쭈시니, 그때에 여래가 빙그레 웃으시고 백천만억 대광명운을 펴시니, 대원만광명운(大圓滿光明雲), 대자비광명운(大慈悲光明雲),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급ᄭᅴ:중세국어의 ‘그ᄢᅴ’의 ‘ㅂ’을 앞 음절 받침으로 표기한 것이다. 그+ᄢᅳ[時]+의(부사격 조사). 중세국어에서 관형격 조사와 모양이 같은 ‘의/’가 부사격 조사로 쓰이기도 하였다.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특수 어휘가 ‘애/에/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이것이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인데, 이 책에서는 ‘의’가 그러한 고유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명사 뒤에 쓰였다.
주002)
시방:시방(十方). 10방위를 말한다. 동, 서, 남, 북, 동남, 동북, 서남, 서북, 상(上), 하(下). 그 중에서 동남, 동북, 서남, 서북 등을 4유(維)라고 한다.
주003)
블가셜:불가설(不可說).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반복한 것은 강조를 위함이다. ‘不’의 전통 한자음이 ‘불’이었으므로, ‘블’은 원순모음화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이다.
주004)
마하살:마하살(摩訶薩). 산스크리트어 ‘mahā-sattva’를 음역한 것이다. ‘위대한 존재’란 뜻으로 보살에 대한 존칭이다.
주005)
모다:모여. 몯-[集]+아.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 능격동사이다.
주006)
오탁악셰:오탁악세(五濁惡世). 오탁이 일어나는 말세. 불교에서 말하는 종말론의 일종. 5탁과 10악이 치성(熾盛)한 시기. 그 시기는 인간의 수명이 8만 4천 세에 이르는 때로부터 시작되어서 2만 세에 이르기까지 5탁이 증가된다고 한다. 오탁은 말세(末世)에 일어나는 다섯 가지의 좋지 않은 일들. ①전쟁, 질병, 기근 등이 많이 일어나며 시대적인 환경과 사회가 혼탁해지는 겁탁(劫濁). ②그릇된 사상이나 견해가 무성하여 세상이 혼란하고 흐려지는 견탁(見濁). ③여러 번뇌가 극성스럽게 일어나 중생을 흐리게 하고 악덕이 넘쳐흐르게 되는 번뇌탁(煩惱濁). ④인간의 마음이 둔해지고 몸이 약해지며 중생의 자질이 저하되는 중생탁(衆生濁). ⑤인간의 수명이 짧아지는 명탁(命濁).
주007)
블가의에:불가사의(不可思議)의. 『월인석보』(21상:9ㄱ)에는 ‘不可思議옛’으로 적혀 있다. 그러므로 여기의 ‘에’는 관형격 조사로 쓰인 것이다. ‘불가사의’는 마음으로 헤아려 생각할 수 없거나 언어로써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심오한 이치나 희귀한 경지를 가리키는 수식어로 쓰인다. ‘不’의 전통 한자음이 ‘불’이었으므로, ‘블’은 원순모음화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이다.
주008)
강강:『월인석보』(21상:9ㄱ)에는 ‘剛强’으로 나타나며, 협주에서 ‘剛强ᄋᆞᆫ 세여 에구들 씨라’라고 풀이되어 있다. ‘완고하여 진리의 가르침을 잘 받아들이지 않는 기질’을 뜻한다.
주009)
질드리샤:길들이시어. 질드리-[調. 馴]+시+아. 현대 표준어 ‘길들이다’는 과잉교정(역구개음화)이다.
주010)
시다:하시도다. ‘-도다’는 17세기에 출현하는 문장 종결 형식이다. ‘-다’로 표기되는 경우가 더 많고, ‘-또다’도 보인다. ¶①四時 조차 노다〈朴諺 上:18ㄱ〉. ②그러면 너희 伴當들히 실로 受苦다〈朴諺 下:14ㄴ〉. ③塵喧을 막또다〈孤山遺稿 6別 下:14ㄱ〉. 15세기에는 ‘-도-’ 앞에 ‘--, -시-, -리-, -놋-, -앳/앗-’이 통합할 수 있었는데, 16세기에 ‘--’가 앞에 통합한 ‘-다’가 등장한다. 16세기의 ‘-다’는 15세기의 ‘-놋도다’에서 ‘-오-’가 탈락한 것이고, 17세기의 ‘-도다/다’는 ‘-다’의 ‘--’가 ‘--’으로 교체된 것이다. 이 변화의 과정은 「+오+ㅅ+도+다 〉 ++다 〉 ++다」로 기술할 수 있을 것이다. ‘-ㄴ다’와 ‘-다’가 선행하는 음소에 따라서 구별되는 것과는 달리 자음 뒤에서나 모음 뒤에서나 ‘-도다/다’만이 쓰이는데, 이 점은 ‘-고나’와 동일하다.
주011)
뫼오니:모신 이(사람). 뫼ᅀᆞᄫᆞ니〉뫼ᄉᆞ오니.
주012)
안보:안부(安否). ‘ㅜ→ㅗ’는 ‘ㅗ〉ㅜ’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으로 보인다.
주013)
우연샤:빙그레 웃으시어. 우ᅀᅧᆫᄒᆞ다〉우연ᄒᆞ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