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상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상권(地藏經諺解 上卷)
  • 제4 중생업감품(衆生業感品)
  • 제4 중생업감품 00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4 중생업감품 006


 왕이 발원야주001)
 왕이 발원야:
앞의 ‘ 왕이 발원’ 참조.
죄고 듕을 기리주002)
기리:
길이. 길-[長, 永]+이(부사 파생 접미사). ‘길다’에서 파생된 명사는 ‘기릐’이다. 이른바 척도류(尺度類) 형용사들은 명사 파생 접미사로는 ‘-/의’를, 부사 파생 접미사로는 ‘-이’를 취한다. ‘기릐(명사) : 기리(부사)’, ‘기픠(명사) : 기피(부사)’, ‘노(명사) : 노피(부사)’와 같다. 그러나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도 있었다. ¶羅睺阿脩羅王 本來ㅅ  기리 七百 由旬이오 큰 威力이 잇니〈석보상절 13:9ㄴ〉.

지장경언해 상:25ㄱ

도탈고 셩불코져 원티 안니더니 디장보살이 긔라  과거 무량 아승기주003)
아승기:
아승기(阿僧祇). 산스크리트어 ‘asaṃkhya’의 음역. 10의 59승(乘).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크고 많은 것을 뜻함. 무량(無量) 무한(無限)하여 끝이 없는 것. 매우 크고 거대한 것을 가리킴.
겁에 부톄 셰간의 낫더신이 일호미 쳥졍년화목여러신니주004)
쳥졍년화목여러신니:
청정연화목여래(淸淨蓮華目如來)이시더니. 쳥졍년화목여+이(서술격 조사 어간)+더/러+시+니.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서술격 조사 어간이 외현되지 않은 것이다.
그 부텻 목수미 십 겁이러신니 샹법주005)
샹법:
상법(像法). 3시(時)의 하나. 정법(正法) 시대와 비슷한 시기를 가리킴. 상(像)은 비슷하다는 뜻. 부처님이 입멸한 뒤, 정법 시대인 500년이 지난 뒤, 다시 500년 또는 1,000년 동안을 가리킴. 그 시기는 정법 시대와 비슷한 시기라고 함. 교(敎), 행(行), 증(證)이 모두 갖추어진 정법 시대에 비해서 증(證)은 없는 시기이다.
듕에  나한니주006)
나한니:
나한(羅漢)이.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의 준말. 번역하여 ‘응공(應供), 응진(應眞)’이라고 한다. 수행의 완성자. 소승불교에서 수행의 최고 단계에 도달한 성자. 모든 번뇌를 끊어 열반에 든 최고 단계에 있는 사람.
이셔 듕주007)
듕:
중생(衆生). 이 책에는 ‘즁ᄉᆡᆼ’과 ‘듕ᄉᆡᆼ’이 공존한다. 중세국어 어형이 ‘쥬ᇰᄉᆡᇰ’이었으므로 ‘듕ᄉᆡᆼ’은 구개음화에 따른 과잉교정이다. 한편 중세국어 문헌에서는 한글로 표기된 ‘쥬ᇰᄉᆡᇰ’은 [獸]를, 한자로 표기된 ‘衆生’은 오늘날의 ‘중생(衆生)’을 뜻하였다.
복도주008)
복도:
복도(福度). 복으로 중생을 제도함.
더니  녀인을주009)
녀인을:
여인(女人)을. 『월인석보』(21상:52ㄴ)에는 ‘겨지블’로 적혀 있다.
만나니주010)
만나니:
만나니. 맛나다〉만나다. ‘맛나다’의 ‘맛’은 ‘맞’에 8종성 표기 규칙이 적용된 것이다. ‘맛〉만’은 자음동화 현상이 표기에 반영된 것이다.
일호미 광목이러니 밥 지어 공양거을 나한이 므르주011)
므르:
묻되. 『월인석보』(21상:53ㄱ)에 ‘무로ᄃᆡ’로 적혀 있으므로, ‘므르ᄃᆡ’의 ‘므’는 원순모음화에 따른 과잉교정이다.
얻던 원을 다주012)
다:
하느냐. ‘-ㄴ다’는 2인칭 주어문에 쓰이는 안 높임 의문 종결 어미이다. ‘원(願)을 ᄒᆞ다’는 현대국어와는 다른 연어(連語) 규칙을 보여 준다.
광목이 답호되 내 엄미 업슨주013)
업슨:
죽은. ‘업슨 날에’는 ‘亡之日’의 번역이다. ‘없다’에는 ‘죽다’의 의미도 있었다. ¶頻頭婆羅王이 업거늘 臣下히 모다 阿育 셰요려 더니〈석보상절 24:12ㄴ〉. 近間애 家戹 맛나 아리 즐어 업스니〈월인석보 1:14ㄱ〉.
날에 복을 부터주014)
부터:
‘복을 부터’의 원문은 ‘資福’인데, 『월인석보』(21상:53ㄱ)에서는 ‘福ᄋᆞᆯ 보타’로 번역하였다. ‘보타’는 ‘보타-[添]+아(연결 어미)’의 구조로서, ‘보태어’를 뜻한다. 권상로(1988:297)에서는 ‘명복을 지어서’로 번역하였고, 무비(2001:140쪽)에서는 ‘복을 지어’로 번역하였다. 요컨대 ‘복을 부터’는 ‘福ᄋᆞᆯ 보타’의 ‘보타’를 이해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資福’은 ‘복을 도움’을 뜻한다.
구완주015)
구완:
구원(救援). 이 책에는 ‘구안’으로 적힌 곳도 있고 ‘구완’으로 적힌 곳도 있다.
야 혀되주016)
혀되:
빼어내되.
주017)
내:
나의. 저의. 나+ㅣ(관형격 조사). 중세국어나 근대국어에서는 청자 높임의 상황에서도 ‘내’가 쓰였다. 1인칭 겸칭의 ‘저’는 19세기 후반기에 출현한다.
엄미 아모 난 즐 몰내다주018)
몰내다:
모릅니다. 『월인석보』(21상:53ㄱ)에는 ‘몰래ᅌᅵ다’로 적혀 있다. ‘ㅐ’가 이중모음 [aj]이므로 ‘몰내이다’가 ‘몰내다’로 표기될 수 있었다.

지장경언해 상:25ㄴ

한이 어엳비 녀겨주019)
녀겨:
여겨. 너기다〉녀기다.
주020)
뎡:
선정(禪定). 정신 집중의 수련. 마음을 가라앉혀 명상하는 것. 좌선에 의해 몸과 마음이 깊이 통일된 상태. 마음의 평정. ‘선정(禪定)’의 선(禪)은 원어의 음역이고, 정(定)은 의역임.
에 들어 광목의 엄미을 보니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한 왕이 발원하여 죄고(罪苦) 중생을 길이 도탈하고 성불하고자 원치 아니하던 이는 지장보살이 〈바로〉 그이다. 또 과거 무량 아승기 겁에 부처께서 세간(世間)에 나셨는데, 이름이 청정연화목여래(淸淨蓮華目如來)이셨는데, 그 부처의 목숨이 사십 겁이시더니, 상법(像法) 중에 한 나한(羅漢)이 있어 중생을 복도(福度)하더니, 한 여인을 만나니 이름이 광목(廣目)이더니, 밥을 지어 공양하거늘 나한이 묻되, 어떤 원(願)을 품고 있는가? 광목이 대답하되, 제 어미가 죽은 날에 복(福)을 보태어 구하여 빼어내되(빼어내고자 하나), 제 어미가 어디에 있는 줄을 모릅니다. 나한이 가엾게 여겨 선정(禪定)에 들어 광목의 어미를 보니,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 왕이 발원야:앞의 ‘ 왕이 발원’ 참조.
주002)
기리:길이. 길-[長, 永]+이(부사 파생 접미사). ‘길다’에서 파생된 명사는 ‘기릐’이다. 이른바 척도류(尺度類) 형용사들은 명사 파생 접미사로는 ‘-/의’를, 부사 파생 접미사로는 ‘-이’를 취한다. ‘기릐(명사) : 기리(부사)’, ‘기픠(명사) : 기피(부사)’, ‘노(명사) : 노피(부사)’와 같다. 그러나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도 있었다. ¶羅睺阿脩羅王 本來ㅅ  기리 七百 由旬이오 큰 威力이 잇니〈석보상절 13:9ㄴ〉.
주003)
아승기:아승기(阿僧祇). 산스크리트어 ‘asaṃkhya’의 음역. 10의 59승(乘).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크고 많은 것을 뜻함. 무량(無量) 무한(無限)하여 끝이 없는 것. 매우 크고 거대한 것을 가리킴.
주004)
쳥졍년화목여러신니:청정연화목여래(淸淨蓮華目如來)이시더니. 쳥졍년화목여+이(서술격 조사 어간)+더/러+시+니.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서술격 조사 어간이 외현되지 않은 것이다.
주005)
샹법:상법(像法). 3시(時)의 하나. 정법(正法) 시대와 비슷한 시기를 가리킴. 상(像)은 비슷하다는 뜻. 부처님이 입멸한 뒤, 정법 시대인 500년이 지난 뒤, 다시 500년 또는 1,000년 동안을 가리킴. 그 시기는 정법 시대와 비슷한 시기라고 함. 교(敎), 행(行), 증(證)이 모두 갖추어진 정법 시대에 비해서 증(證)은 없는 시기이다.
주006)
나한니:나한(羅漢)이.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의 준말. 번역하여 ‘응공(應供), 응진(應眞)’이라고 한다. 수행의 완성자. 소승불교에서 수행의 최고 단계에 도달한 성자. 모든 번뇌를 끊어 열반에 든 최고 단계에 있는 사람.
주007)
듕:중생(衆生). 이 책에는 ‘즁ᄉᆡᆼ’과 ‘듕ᄉᆡᆼ’이 공존한다. 중세국어 어형이 ‘쥬ᇰᄉᆡᇰ’이었으므로 ‘듕ᄉᆡᆼ’은 구개음화에 따른 과잉교정이다. 한편 중세국어 문헌에서는 한글로 표기된 ‘쥬ᇰᄉᆡᇰ’은 [獸]를, 한자로 표기된 ‘衆生’은 오늘날의 ‘중생(衆生)’을 뜻하였다.
주008)
복도:복도(福度). 복으로 중생을 제도함.
주009)
녀인을:여인(女人)을. 『월인석보』(21상:52ㄴ)에는 ‘겨지블’로 적혀 있다.
주010)
만나니:만나니. 맛나다〉만나다. ‘맛나다’의 ‘맛’은 ‘맞’에 8종성 표기 규칙이 적용된 것이다. ‘맛〉만’은 자음동화 현상이 표기에 반영된 것이다.
주011)
므르:묻되. 『월인석보』(21상:53ㄱ)에 ‘무로ᄃᆡ’로 적혀 있으므로, ‘므르ᄃᆡ’의 ‘므’는 원순모음화에 따른 과잉교정이다.
주012)
다:하느냐. ‘-ㄴ다’는 2인칭 주어문에 쓰이는 안 높임 의문 종결 어미이다. ‘원(願)을 ᄒᆞ다’는 현대국어와는 다른 연어(連語) 규칙을 보여 준다.
주013)
업슨:죽은. ‘업슨 날에’는 ‘亡之日’의 번역이다. ‘없다’에는 ‘죽다’의 의미도 있었다. ¶頻頭婆羅王이 업거늘 臣下히 모다 阿育 셰요려 더니〈석보상절 24:12ㄴ〉. 近間애 家戹 맛나 아리 즐어 업스니〈월인석보 1:14ㄱ〉.
주014)
부터:‘복을 부터’의 원문은 ‘資福’인데, 『월인석보』(21상:53ㄱ)에서는 ‘福ᄋᆞᆯ 보타’로 번역하였다. ‘보타’는 ‘보타-[添]+아(연결 어미)’의 구조로서, ‘보태어’를 뜻한다. 권상로(1988:297)에서는 ‘명복을 지어서’로 번역하였고, 무비(2001:140쪽)에서는 ‘복을 지어’로 번역하였다. 요컨대 ‘복을 부터’는 ‘福ᄋᆞᆯ 보타’의 ‘보타’를 이해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資福’은 ‘복을 도움’을 뜻한다.
주015)
구완:구원(救援). 이 책에는 ‘구안’으로 적힌 곳도 있고 ‘구완’으로 적힌 곳도 있다.
주016)
혀되:빼어내되.
주017)
내:나의. 저의. 나+ㅣ(관형격 조사). 중세국어나 근대국어에서는 청자 높임의 상황에서도 ‘내’가 쓰였다. 1인칭 겸칭의 ‘저’는 19세기 후반기에 출현한다.
주018)
몰내다:모릅니다. 『월인석보』(21상:53ㄱ)에는 ‘몰래ᅌᅵ다’로 적혀 있다. ‘ㅐ’가 이중모음 [aj]이므로 ‘몰내이다’가 ‘몰내다’로 표기될 수 있었다.
주019)
녀겨:여겨. 너기다〉녀기다.
주020)
뎡:선정(禪定). 정신 집중의 수련. 마음을 가라앉혀 명상하는 것. 좌선에 의해 몸과 마음이 깊이 통일된 상태. 마음의 평정. ‘선정(禪定)’의 선(禪)은 원어의 음역이고, 정(定)은 의역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