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상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상권(地藏經諺解 上卷)
  • 제1 도리천궁신통품(忉利天宮神通品)
  • 제1 도리천궁신통품 00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 도리천궁신통품 006


도솔타텬 화락텬 타화텬 범즁텬 범보텬 대범텬 쇼광텬 무량광텬 광음텬 쇼졍텬 무량졍텬 변졍텬 복텬 복텬 광과텬 엄식텬 무량엄식텬 엄식과실텬 무샹텬 무번텬 무열텬 션견텬 션현텬 구경텬 마혜슈라텬 비샹비비샹쳐텬에 니르히주001)
니르히:
이르기까지. 일반적으로는 ‘니르리’가 쓰이지만, ‘니르히’의 예도 적지 않다. ‘니르리’의 구조는 ‘니를-[至]+이(부사형 어미)’인데, ‘니르히’의 구조는 분명치 않다. ‘니릏다’라는 동사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니를-’에 붙은 ‘-이’는 부사 파생 접미사가 아니라, 부사형 어미로 간주한다. ‘니를-’이 서술 기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쳬 텬즁 뇽즁 귀신 등즁이 다 와 모도며주002)
모도며:
모이며. 모ᄃᆞ며〉모도며. ‘ㆍ〉ㅗ’는 ‘ㆍ’의 음운 소실에 따른 것이다.
 타방 국토와 사바셰계예주003)
사바셰계예:
사바세계의. ‘예’는 관형격 조사이다. 『월인석보』(21상:12ㄴ)에 ‘옛’으로 적혀 있다.
신 강신

지장경언해 상:5ㄴ

하신 슈신 산신 디신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도솔타천(兜率陀天), 화락천(化樂天),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범중천(梵衆天), 범보천(梵輔天), 대범천(大梵天), 소광천(小光天), 무량광천(無量光天), 광음천(光音天), 소정천(少淨天), 무량정천(無量淨天), 변정천(遍淨天), 복생천(福生天), 복애천(福愛天), 광과천(廣果天), 엄식천(嚴飾天), 무량엄식천(無量嚴飾天),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무상천(無想天), 무번천(無煩天), 무열천(無熱天), 선견천(善見天), 선현천(善現天), 색구경천(色究竟天), 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 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에 이르기까지 일체 천중(天衆), 용중(龍衆), 귀신(鬼神) 등의 무리가 다 와서 모이며, 또 타방국토와 사바세계의 해신(海神), 강신(江神), 하신(河神), 수신(樹神), 산신(山神), 지신(地神),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르히:이르기까지. 일반적으로는 ‘니르리’가 쓰이지만, ‘니르히’의 예도 적지 않다. ‘니르리’의 구조는 ‘니를-[至]+이(부사형 어미)’인데, ‘니르히’의 구조는 분명치 않다. ‘니릏다’라는 동사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니를-’에 붙은 ‘-이’는 부사 파생 접미사가 아니라, 부사형 어미로 간주한다. ‘니를-’이 서술 기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002)
모도며:모이며. 모ᄃᆞ며〉모도며. ‘ㆍ〉ㅗ’는 ‘ㆍ’의 음운 소실에 따른 것이다.
주003)
사바셰계예:사바세계의. ‘예’는 관형격 조사이다. 『월인석보』(21상:12ㄴ)에 ‘옛’으로 적혀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