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상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상권(地藏經諺解 上卷)
  • 제3 관중생업연품(觀衆生業緣品)
  • 제3 관중생업연품 009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관중생업연품 009


주001)
매:
매[鷹].
와 바얌과 일히과주002)
일히과:
이리[狼]와. 일히+과. 현대국어 ‘호랑이’의 ‘호랑’은 원래는 ‘호랑(虎狼)’ 즉 ‘범과 이리’를 뜻하던 것이었다.
개와 방하주003)
방하:
방아[碓, 방아 대].
주004)
매:
맷돌.
와 톱과 긋ㄹ주005)
긋ㄹ:
끌[剉, 쪼갤 좌]. ‘그’ 밑에 ‘ᄰᅠ’을 받침으로 썼는데, ‘ᄭᅳᆯ’의 잘못이다.
쟉도주006)
쟉도:
작도(斫刀). ‘작두’로 변하였다.
확탕주007)
확탕:
확탕(鑊湯). 끓는 가마솥.
과 텰그믈과 텰로콰주008)
텰로콰:
쇠줄과. 텰[鐵]+노ㅎ[繩](ㅎ말음체언)+과.
텰나귀와 텰과 갓초로주009)
갓초로:
생가죽으로. ᄉᆡᆼ+갗[皮]+오로. ‘ㆍ〉ㅗ’의 변화에 따라 ‘ᄋᆞ로’가 ‘오로’로 바뀐 것이다.
머리을 얼그며 더운 텰로 몸매 부우며주010)
부우며:
부으며. 브ᅀᅳ며〉부우며. ㅿ 소멸. 원순모음화.
주우려면주011)
주우려면:
굶주리면. 주우리-[饑]+어+ᄒᆞ-+면. 주으리다〉주우리다. 이 책의 32ㄱ에는 ‘주으릴’이 나온다. ‘주우리-’는 ‘주으리-’가 ‘주리-’로 변화해 가는 중간 단계의 모습이다.
쳘환 키고주012)
키고:
삼키고[呑]. ᄉᆞᇝ기다(ᄉᆞᆷᄭᅵ다)〉ᄉᆞᆷ키다.
목라면 텰믈 마시며 을부터주013)
을부터:
해[年]로부터. ‘을부터 겁을 차’는 『월인석보』(21상:45ㄴ)의 ‘ᄒᆡᄅᆞᆯ브터 劫을 ᄆᆞ차’를 그대로 물려받은 것이다. 원문은 ‘終年竟劫’이다. ‘해가 다 가고 겁(劫)을 마침’을 뜻한다. 그러므로 ‘을부터 겁을 차’는 ‘[[을부터 겁을] 차]’의 구조인 듯하다.
겁을 ᄆᆞᆮ차주014)
ᄆᆞᆮ차:
마쳐. ᄆᆞᆾ-[終, 竟]+아.
주015)
쉬:
수(數)가.
나유타도록주016)
나유타도록:
나유타(那由陀)가 되도록. 나유타+이-(서술격 조사 어간)+도록. ‘이-’가 삭제된 것이다. 현대국어에서도 ‘저 사람은 내 {친구이다/친구다}’가 다 가능하다. ‘나유타’는 『월인석보』(21상:45ㄴ)에 ‘那낭由유ᇢ他탕’로 적혀 있다. ‘나유타’가 이 책에서는 ‘내유타’로 표기되기도 한다. 그것이 가능한 것은 ㅐ’가 이중모음 [aj]이었기 때문이다. 즉 ‘나유타’와 ‘내유타’는 거의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같이 실현된다. 인도의 수량 단위. 천억(千億)에 해당한다. ‘조(兆)’ 또는 ‘구(溝)’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고최 서로 니어주017)
니어:
이어. 닛-[連]+어. 니ᅀᅥ〉니어.
귿츨주018)
귿츨:
그칠. 긏-[間斷]+을.
리주019)
리:
사이. ‘ᄉᆞ이’의 잘못이다. ᄉᆞᅀᅵ〉ᄉᆞ이.
업스미주020)
업스미:
없음이. 『월인석보』(21상:46ㄱ)에는 ‘업슬ᄊᆡ’로 적혀 있다. 여기의 ‘업스마’는 ‘업스ᄆᆡ, 업스매’의 잘못이다.
무간이라 일코 네주021)
네:
넷은. 넷째는. 네ㅎ[四]+ᄋᆞᆫ(보조사).
남주022)
며:
-이며. ‘이며/며’는 접속조사이다.
녀인이며 강호이뎍주023)
강호이뎍:
강호이적(羌胡夷狄). 되놈. 『월인석보』(21상:46ㄱ)의 협주 ‘羌胡夷狄은 다 되라’ 참조.
이며 늘근니 져므니며주024)
져므니며:
어린아이며. 졈-[幼]+은+이(의존 명사)+이며.
귀니 쳔니며 혹 뇽이며 혹 신이며 혹 쳔이주025)
쳔이:
천(天)이며. 실수로 ‘며’가 빠진 것이다. 『월인석보』(21상:46ㄱ)에는 ‘天이며’로 적혀 있다.
혹 귀며 죄

지장경언해 상:22ㄱ

으로 업을 감득주026)
감득:
감득(感得). 받음.
야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매[鷹]와 뱀과 이리[狼]와 개와 방아와 맷돌과 톱과 끌과 작두와 확탕(鑊湯)과 쇠그물과 쇠줄과 쇠나귀[鐵驢]와 쇠말[鐵馬]과 생가죽으로 머리를 옭아매며 뜨거운 쇠로(=쇳물로) 몸에 부으며, 배고파 하면 쇠구슬을 삼키게 하고, 목말라 하면 쇳물을 마시게 하며 해(年)로부터 겁(劫)을 마쳐 〈그〉 수(數)가 나유타(那由陀)가 되도록 고초(苦楚)가 서로 이어져 그칠 새가 없음이(=없으므로) 무간지옥이라 일컫고, 넷(=넷째)은 남자며 여인이며, 강호이적(羌胡夷狄)이며, 늙은이 어린아이며, 귀한 이 천한 이며, 혹 용이며 혹 신(神)이며, 혹 천(天)이며 혹 귀(鬼)며, 죄행(罪行)으로 업(業)을 얻어서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매:매[鷹].
주002)
일히과:이리[狼]와. 일히+과. 현대국어 ‘호랑이’의 ‘호랑’은 원래는 ‘호랑(虎狼)’ 즉 ‘범과 이리’를 뜻하던 것이었다.
주003)
방하:방아[碓, 방아 대].
주004)
매:맷돌.
주005)
긋ㄹ:끌[剉, 쪼갤 좌]. ‘그’ 밑에 ‘ᄰᅠ’을 받침으로 썼는데, ‘ᄭᅳᆯ’의 잘못이다.
주006)
쟉도:작도(斫刀). ‘작두’로 변하였다.
주007)
확탕:확탕(鑊湯). 끓는 가마솥.
주008)
텰로콰:쇠줄과. 텰[鐵]+노ㅎ[繩](ㅎ말음체언)+과.
주009)
갓초로:생가죽으로. ᄉᆡᆼ+갗[皮]+오로. ‘ㆍ〉ㅗ’의 변화에 따라 ‘ᄋᆞ로’가 ‘오로’로 바뀐 것이다.
주010)
부우며:부으며. 브ᅀᅳ며〉부우며. ㅿ 소멸. 원순모음화.
주011)
주우려면:굶주리면. 주우리-[饑]+어+ᄒᆞ-+면. 주으리다〉주우리다. 이 책의 32ㄱ에는 ‘주으릴’이 나온다. ‘주우리-’는 ‘주으리-’가 ‘주리-’로 변화해 가는 중간 단계의 모습이다.
주012)
키고:삼키고[呑]. ᄉᆞᇝ기다(ᄉᆞᆷᄭᅵ다)〉ᄉᆞᆷ키다.
주013)
을부터:해[年]로부터. ‘을부터 겁을 차’는 『월인석보』(21상:45ㄴ)의 ‘ᄒᆡᄅᆞᆯ브터 劫을 ᄆᆞ차’를 그대로 물려받은 것이다. 원문은 ‘終年竟劫’이다. ‘해가 다 가고 겁(劫)을 마침’을 뜻한다. 그러므로 ‘을부터 겁을 차’는 ‘[[을부터 겁을] 차]’의 구조인 듯하다.
주014)
ᄆᆞᆮ차:마쳐. ᄆᆞᆾ-[終, 竟]+아.
주015)
쉬:수(數)가.
주016)
나유타도록:나유타(那由陀)가 되도록. 나유타+이-(서술격 조사 어간)+도록. ‘이-’가 삭제된 것이다. 현대국어에서도 ‘저 사람은 내 {친구이다/친구다}’가 다 가능하다. ‘나유타’는 『월인석보』(21상:45ㄴ)에 ‘那낭由유ᇢ他탕’로 적혀 있다. ‘나유타’가 이 책에서는 ‘내유타’로 표기되기도 한다. 그것이 가능한 것은 ㅐ’가 이중모음 [aj]이었기 때문이다. 즉 ‘나유타’와 ‘내유타’는 거의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같이 실현된다. 인도의 수량 단위. 천억(千億)에 해당한다. ‘조(兆)’ 또는 ‘구(溝)’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주017)
니어:이어. 닛-[連]+어. 니ᅀᅥ〉니어.
주018)
귿츨:그칠. 긏-[間斷]+을.
주019)
리:사이. ‘ᄉᆞ이’의 잘못이다. ᄉᆞᅀᅵ〉ᄉᆞ이.
주020)
업스미:없음이. 『월인석보』(21상:46ㄱ)에는 ‘업슬ᄊᆡ’로 적혀 있다. 여기의 ‘업스마’는 ‘업스ᄆᆡ, 업스매’의 잘못이다.
주021)
네:넷은. 넷째는. 네ㅎ[四]+ᄋᆞᆫ(보조사).
주022)
며:-이며. ‘이며/며’는 접속조사이다.
주023)
강호이뎍:강호이적(羌胡夷狄). 되놈. 『월인석보』(21상:46ㄱ)의 협주 ‘羌胡夷狄은 다 되라’ 참조.
주024)
져므니며:어린아이며. 졈-[幼]+은+이(의존 명사)+이며.
주025)
쳔이:천(天)이며. 실수로 ‘며’가 빠진 것이다. 『월인석보』(21상:46ㄱ)에는 ‘天이며’로 적혀 있다.
주026)
감득:감득(感得). 받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