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경언해 상:2ㄴ
급주001) 급ᄭᅴ:중세국어의 ‘그ᄢᅴ’의 ‘ㅂ’을 앞 음절 받침으로 표기한 것이다. 그+ᄢᅳ[時]+의(부사격 조사). 중세국어에서 관형격 조사와 모양이 같은 ‘의/’가 부사격 조사로 쓰이기도 하였다.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특수 어휘가 ‘애/에/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이것이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인데, 이 책에서는 ‘의’가 그러한 고유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명사 뒤에 쓰였다. 중세국어에서 관형격 조사와 모양이 같은 ‘의/’가 부사격 조사로 쓰이기도 하였다.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특수 어휘가 ‘애/에/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이것이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인데, 이 책에서는 ‘의’가 그러한 고유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명사 뒤에 쓰였다.
즁이
위요야시니주002) 위요야시니:에워쌌는데. 위요(圍繞)+ᄒᆞ-+얏+더+시+니. ‘-얏-’은 ‘-야+잇-’으로 구성된 ‘-얫-’이 발달한 것이다.
여주003) 여:여래의. ‘ㅅ’은 높임의 대상 또는 무정물에 쓰이는 관형격 조사이다.
몸애주004) 몸애:‘몸애’는 부사어이다. ‘애’가 부사격 조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위치는 관형어 ‘몸앳’(몸+애+ㅅ)이 쓰일 자리로 보인다. 『월인석보』(21상:5ㄴ)에도 부사어 ‘모매’로 표기되어 있다.
터럭
구모마다주005) 몯주006) 몯:자못. 무척. 아주 많이. 중세국어 문헌에서 대개는 ‘ᄌᆞ모’가 쓰였다. ‘ᄌᆞ모’는 대개는 ‘頗’의 번역으로 쓰였다. 그런데 여기의 ‘ᄌᆞ몯’은 『월인석보』(21상:5ㄴ)의 ‘즈믄’(=千)을 잘못 읽은 결과이다.
광명을
폐사주007) 폐사:펼치시어. ‘폐샤’는 ‘펴샤’의 오각일 수도 있고, ‘펴샤’에서 ‘ㅣ’ 역행동화를 입은 것일 수도 있다.
삼쳔대쳔 셰계 비최시니 광명마다
쳔엽연화ㅣ주008) 쳔엽연화ㅣ:천엽연화(千葉蓮花)가. ‘연화ㅣ’는 ‘연홰’로 표기되는 것이 일반적 관례이다. 이 책의 언해자가 『월인석보』(21)을 보고, 한자어의 한자 표기만 한글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 그럴 경우 ‘연홰’로 표기하는 것이 관례인데, 그 점을 놓친 것으로 해석된다.
읻고주009) 읻고:있고. 잇-[有]+고. ‘잇-’이 ‘읻-’으로 표기된 것은 음절 말음 ‘ㅅ’이 [t]로 실현되었기 때문이다.
곧주010) 가온마다 화블이 계샤 위광이 가
ᄆᆡ오주011) ᄆᆡ오:매우. ᄆᆡᆸ-[猛]+오(부사 파생 접미사). ‘ᄇᆞᆯ가 ᄆᆡ오’는 『월인석보』(21상:5ㄴ)에는 ‘ᄇᆞᅀᆞ와ᄆᆡ에(=눈부시게)’로 표기되어 있다.
비최샤 몯
가비오리러니주012) 가비오리러니:비유하옵겠더니. 가비-[譬喩]+오(겸양 선어말 어미)+리+더/러+니.
텬히주013) 텬히:천자들이. 텬ᄌᆞ+ᄃᆞᆶ(복수 접미사)+이. 복수 접미사 ‘-ᄃᆞᆶ’은 ㅎ말음체언과 같이 어말에 ‘ㅎ’을 지니고 있다. ‘-ㅎ’이 애초에는 명사였을 가능성이 있다. 『월인석보』(21상:5ㄴ)에는 한자어 ‘天子’로 기록되어 있다. 누구를 지칭하는지 분명치 않다. 문수보살을 비롯한 여러 보살로 보인다. 이 책에서는 ‘문수보살’이 주어일 때에 주체 존대의 ‘-시-’를 쓰고 있는데, 여기에는 ‘-시-’가 쓰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주어가 개인이 아닌 집단인 데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믇주014) 아믇:아무. 무슨. 중세국어 문헌에서는 ‘아못’(아모+ㅅ)으로 나타난다. ‘믇’의 ‘ㅡ’는 원순모음 ‘ㅗ’의 소홀한 발음이 반영된 표기로 보이기도 하지만, 중세국어 ‘아ᄆᆞ리ᄒᆞ다’의 ‘아ᄆᆞ리’가 의미 면에서 ‘아모’와 무관해 보이지 않으므로, ‘ㅡ’는 ‘ㆍ’가 변한 것일 수도 있다.
인년으로 이 이리 계신
동주015) 동:줄. 의존 명사. 뒤에 ‘모ᄅᆞ다’가 쓰이는 경우가 많다.
몰라더니 셰존이 문슈을 어마님
불이샤주016) 불이샤:부리시어. 심부름 보내시어. 중세국어의 ‘브리다(使)’가 ‘불이다’로 변화하였다.
쳥야시주017) 쳥야시:청하시거늘. 쳥(請)+ᄒᆞ-+야+시+ᄅᆞᆯ. ‘-ᄅᆞᆯ’은 중세국어의 ‘-ᄂᆞᆯ’에 해당한다. ‘-야-’는 ‘ᄒᆞ-’ 뒤에 쓰이는, 확정법 선어말 어미 ‘-거-’의 형태론적 이형태이다.
문슈ㅣ 마야부인 가 오신대 마야부인이 그 말 드르시니 져지 흘러나거 니샤 진실로 내 나혼
지장경언해 상:3ㄱ
실달다주018) 실달다:실달타(悉達多). 실달(悉達). 산스크리트어 ‘siddhārtha’의 음역. 석가모니가 출가 전 태자였을 때의 이름이다. ‘모든 것을 성취한 이’라는 뜻이다.
ㅣ면,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그때에 사중(四衆)이 〈여래를〉 에워쌌는데, 여래의 몸에 있는 털의 구멍마다에서 많은 광명을 펼치시어, 삼천대천 세계를 비추시니, 광명마다 잎이 천 개인 연꽃이 있고, 꽃 가운데마다 화불(化佛)이 계시어, 으리으리한 광명이 밝아서 강렬하게 비치시어, 비유하올 수가 없겠더니, 천자들이 무슨 인연 때문에 이 일이 있으신 줄을 몰라하였는데, 세존께서 문수보살을 어머님께 심부름 보내시어 〈어머님을〉 청하시거늘, 문수가 마야 부인께 가서 아뢰셨는데, 마야 부인이 그 말을 들으시니, 젖이 흘러나거늘, 이르시되, “진실로 내가 낳은 실달 태자라면,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