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인후폐색불통(咽喉閉塞不通)
메뉴닫기 메뉴열기

인후폐색불통(咽喉閉塞不通)


인후폐색불통(咽喉閉塞不通
목구멍이 막혀 통하지 않는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비장[脾]과 폐(肺)가 원활하지 못한 상태에서 풍사(風邪)나 열독(熱毒)이 목구멍을 공격하기 때문에 붓고 아프다. 심한 경우 〈목구멍이〉 막혀서 통하지 않게 된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2 〈인후문(咽喉門) 인후폐색불통(咽喉閉塞不通)〉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由脾肺不利, 風邪熱毒, 攻衝咽喉, 故令腫痛. 甚則閉塞不通.

≪산거사요(山居四要)≫. 좌후(挫喉
목을 삐거나 다친 것
)로 인해서 숨을 제대로 못 쉬는 증상.
찬물[冷水]을 서서히 〈목구멍에〉 들이붓는다.

山居四要. 挫喉氣不通.
冷水徐徐灌之.

≪성제(聖濟)≫. 목구멍이 막혀서 통하지 않는 경우를 치료한다.
마린(馬藺
타래 붓꽃
) 뿌리 적당량을 빻아 〈마린〉 자체의 즙[自然汁]을 짜서, 뜨거울 때 3홉을 복용하면 바로 〈목구멍이〉 통한다.

聖濟. 治咽喉閉塞不通.
馬藺根不拘多少, 擣取自然汁, 熱煖三合服卽通.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홍화(紅花)[紅藍花] 적당량을 빻아 〈홍화〉 자체의 즙[自然汁]을 짜서, 매번 3홉을 조금씩 복용한다. 생 홍화가 없다면, 마른 홍화를 〈물에〉 담가 저어 진한 즙으로 만들어 따뜻하게 복용해도 〈목구멍이〉 통한다.

又方. 紅藍花不拘多少, 擣取自然汁, 每服三合, 旋旋嚥下. 無生花, 以乾者, 浸攪濃汁, 溫服亦通.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상상백이(桑上白茸
뽕나무에서 자라는 흰버섯
) 적당량을 빻아 가루 내고, 신선한 꿀[生蜜]에 재운다. 매번 반 숟가락[匙]을 면(綿)에 싸서 〈입에〉 머금고 조금씩 빨아 먹으면, 곧바로 〈목구멍이〉 통한다.

又方. 桑上白茸不拘多少, 擣羅爲末, 以生蜜浸. 每用半匙, 綿褁, 含化, 旋旋嚥下, 須臾卽通.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우물쭈물하다가 대처하지 못한 급성 후비(喉痺) 증상.
껍질과 씨를 제거한 싱싱한 조협(皂莢) 반 냥을 빻아 가루 내고, 매번 소량을 젓가락 끝으로 찍어 부은 부위에 떨어뜨린다. 다시 식초[醋]에 약재 가루를 타서 목 아래에 두껍게 바르면, 잠시 후에 곧바로 터지면서 약간 출혈하고 즉시 낫는다.

又治. 急喉痺浚巡不救.
皂莢去皮子生半兩, 擣爲末, 每服少許, 筯頭點在腫處. 更以醋調藥末, 厚塗項下, 須臾便破, 少血出卽愈.

≪득효(得效)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 전후풍(纏喉風)으로 인해서 〈목구멍이〉 막히는 증상을 치료한다. 이틀 동안[光兩日]은 가슴에서 기가 압박되면서 숨이 가빠지고, 갑작스레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팔다리는 차가워지면서 기운이 막혀 잘 소통되지 않는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죽게 된다.
승마(升麻) 4냥을 자르고 찧어서 물 4사발에 넣고 1사발이 될 때까지 달여서, 〈목구멍에〉 들이붓는다.

得效. 治纏喉風閉. 주002)
치전후풍폐(治纏喉風閉):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권17 〈구치겸인후과(口齒兼咽喉科) 허열(虛熱)〉의 동일한 병증 기사에 의하면 ‘치전후풍후폐(治纏喉風喉閉)’라고 하여 ‘후(喉)’가 추가되어 있다.
주003)
광(光):
≪세의득효방≫ 권17 〈구치겸인후과 허열〉의 동일한 병증 기사에 의하면 ‘선(先)’이라고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앞서 이틀 동안[先兩日]은”이라고 번역된다.
兩日, 胷膈氣緊, 取氣短促, 忽然咽喉腫痛, 手足厥氣閉不通. 頃刻不治, 殺人.
升麻四兩剉碎, 水四椀, 煎一椀, 灌下.

〈≪세의득효방≫의〉 또 다른 처방. 조각(皂角) 3정(挺)을 찧은 후, 물 1종지에 넣고 우려서 〈목구멍에〉 들이붓는다. 〈환자가 이것을〉 토하든 토하지 않든 즉시 낫는다.

又方. 皂角三挺, 搥碎, 挼水一鍾, 灌下. 或吐, 或不吐, 卽安.

≪두문(斗門)
두문방(斗門方)
≫. 전후풍(纏喉風)으로 목구멍이 막히고 음식을 삼키지 못하면서 죽게 된 증상을 치료한다.
반혼초(反魂草) 뿌리 1경(莖)을 깨끗이 씻어서 목구멍에 넣어준다. 나쁜 침[惡涎]이 나오기를 기다려 뽑아내면 즉시 낫는다. 지금은 〈반혼초〉 뿌리 및 잎을 함께 곱게 가루 내어서 대나무 대롱[竹筒]을 이용해 목구멍에 불어넣는데, 나쁜 침을 토하게 되면 즉시 효과가 있다. 심각한 경우에는 2차례 연속 이 방법을 시행하면 효과가 신험(神驗)하다. 반혼초는 곧 자완(紫菀)이다.

斗門. 治纏喉風, 喉閉, 飮食不通, 欲死者.
反魂草根一莖洗淨, 納入喉中, 待取惡涎, 出卽差. 今幷根葉細末, 以竹筒吹入喉中, 當吐惡涎, 卽效. 重者, 連二度此法, 有神驗. 反魂草, 卽紫菀也.

≪경험비방(經驗秘方)≫. 신효산(神效散). 목구멍이 막혀 뜨겁고 부으면서 소리가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형개수(荊芥穗)[별도로 가루를 낸 것], 피마(萞麻)[싱싱한 것으로 껍질을 제거하고 별도로 간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동일한 분량].
위의 약재들을 신선한 꿀[生蜜] 소량에 넣어서 조협자만한 원(圓)을 만든다. 면(綿)으로 〈이것을〉 싸서 입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 위급하면 씹어서 먹는다.

經驗秘方. 神效散. 治喉閉熱腫, 語聲不出.
荊芥穗[別爲末], 萞麻[生, 去皮, 別硏, 各等分].
右入生蜜少許, 圓, 如皂子大. 綿褁, 含化, 急則嚼化.

≪경험(經驗)
경험양방(經驗良方)
≫. 목구멍이 막히고 뺨이 부은 증상.
생 쑥[生艾]에서 즙을 뽑는데, 진하게 갈아서 복용한다. 겨울이어서 생 쑥이 없을 때는 말린 쑥[乾艾]을 뜨거운 물에 우려서 복용한다.

經驗. 喉閉腮腫.
生艾取汁, 濃硏服之. 冬月無生艾, 乾艾煎湯用.

〈≪경험양방≫의〉 또 다른 치료법. 목구멍이 막히거나 독기(毒氣)를 받은 경우.
길경(桔梗) 2냥을 물 3되에 넣어 1되가 될 때까지 끓여 한번에 복용한다.

又治. 喉閉又毒氣.
桔梗二兩, 水三升, 煮一升, 頓服.

〈≪경험양방≫의〉 또 다른 치료법. 전후풍(纏喉風) 증상.
창이초근(蒼耳草根)과 노강(老薑
3~4년 자란 생강
) 1덩어리를 함께 완전히 갈아서 즙을 걸러 낸다. 따뜻한 백주(白酒)에 그 즙을 혼합하여 복용한다.

又治. 纏喉風.
蒼耳草根老薑一塊, 同硏爛, 濾汁. 以溫白酒浸汁, 服.

〈≪경험양방≫의〉 또 다른 처방. 토연산(吐涎散). 후풍(喉風)으로 인해서 약을 삼킬 수도 없고, 음식을 먹을 수도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학슬(鶴虱) 2돈 반, 술[酒] 1종지, 식초[醋] 소량을 반 종지가 될 때까지 함께 달여서 복용하는데, 나쁜 침[毒涎]을 토하면 편안해진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方. 吐涎散. 治喉風, 呑藥不得, 不能飮食.
鶴虱二錢半, 酒一鍾, 醋少許, 同煎半鍾, 呑下, 吐出毒涎, 安.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2 〈인후문(咽喉門) 인후폐색불통(咽喉閉塞不通)〉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치전후풍폐(治纏喉風閉):≪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권17 〈구치겸인후과(口齒兼咽喉科) 허열(虛熱)〉의 동일한 병증 기사에 의하면 ‘치전후풍후폐(治纏喉風喉閉)’라고 하여 ‘후(喉)’가 추가되어 있다.
주003)
광(光):≪세의득효방≫ 권17 〈구치겸인후과 허열〉의 동일한 병증 기사에 의하면 ‘선(先)’이라고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앞서 이틀 동안[先兩日]은”이라고 번역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