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목풍누출(目風淚出)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풍누출(目風淚出)


목풍누출(目風淚出
풍사(風邪)로 인해 눈물이 나는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모든 장부(臟腑)에는 진액(津液)이 있다. 간(肝)은 눈에 〈간의〉 구멍을 열고, 그 진액은 눈물이 된다. 간의 기운이 이미 허약해진 상태에서 풍사(風邪)가 여기에 편승하면, 진액을 통제할 수 없으므로 항상 눈물이 난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7 〈안목문(眼目門) 목풍누출(目風淚出)〉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藏府皆有津液. 肝開竅於目, 其液爲淚. 肝氣旣虛, 風邪乘之, 則液不能制, 故常淚出.

≪범왕방(范汪方)[{氵+芭}汪方]≫. 주002)
≪범왕방(范汪方)≫:
중국 동진(東晋)의 범왕(范王)이 편찬한 의서로서, ≪범동양방(范東陽方)≫이라고도 부른다. 원서는 남아 있지 않으며 책의 권수도 불분명하다. ≪외대비요(外臺秘要)≫ 등의 후대 의서에 부분적으로 인용되어 전한다.
눈에서 나는 눈물을 그칠 수 없으며, 〈눈을〉 뜨면 찌르는 듯한 통증을 치료한다.
콩만한 소금[塩]을 눈에 넣고 부드럽게 분다. 소금을 제거하고 찬물로 여러 차례 씻어 내면 낫는다.

{氵+芭} 주003)
범(范):
원문은 ‘파({氵+芭})’이지만, 문맥상 의서명이므로 ‘범(范)’이 맞다.
汪方. 治目中淚出不得, 開卽刺痛.
塩如大豆許, 內目中, 習習. 去塩, 以冷水數洗, 差.

≪본조경험(本朝經驗)
본조경험방(本朝經驗方)
≫. 바람을 쐬어 눈물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행인(杏仁) 1매의 껍질을 제거하고 2쪽[片]으로 나누는데, 깎아서 얇게 만들어 눈초리에 붙여 뜸 뜬다.

本朝經驗. 治當風淚出.
杏仁一枚, 去皮, 分爲兩片, 鑿出成薄, 着眥中, 灸之.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바람을 쐬면 눈물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세신(細辛)[움을 제거한 것 2냥], 오미자(五味子), 숙건지황(熟乾地黃)[불에 말린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반], 인삼(人蔘), 백복령(白茯苓), 지골피(地骨皮), 산우(山芋), 방풍(防風)[잔뿌리를 없앤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20환을 공복에 염탕(塩湯
소금 끓인 물
)과 함께 매일 2번 복용한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聖濟. 治目衝風淚出.
細辛[去苗, 二兩], 五味子, 熟乾地黃[焙, 各一兩半], 人參, 白茯苓, 地骨皮, 山芋, 防風[去叉, 各一兩].
右爲細末, 煉蜜丸, 如桐子. 每服二十丸, 空心塩湯下, 日再.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7 〈안목문(眼目門) 목풍누출(目風淚出)〉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범왕방(范汪方)≫:중국 동진(東晋)의 범왕(范王)이 편찬한 의서로서, ≪범동양방(范東陽方)≫이라고도 부른다. 원서는 남아 있지 않으며 책의 권수도 불분명하다. ≪외대비요(外臺秘要)≫ 등의 후대 의서에 부분적으로 인용되어 전한다.
주003)
범(范):원문은 ‘파({氵+芭})’이지만, 문맥상 의서명이므로 ‘범(范)’이 맞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