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6(卷六)
  • 휴식리(休息痢)
메뉴닫기 메뉴열기

휴식리(休息痢)


휴식리(休息痢
설사가 잠깐씩 발작하는 이질
)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에 이르기를, “휴식리(休息痢)란 장(腸) 속에 숙담(宿痰)이 오랫동안 적체된 상태〈에서 발생한다〉. 음식물 섭취가 조절되지 못할 때마다, 정음(停飮
수음(水飮)이 가슴 속에 쌓여 있는 것
)이 해소되지 않으므로 〈설사 증세가〉 잠깐씩 나았다가 잠깐씩 발작하기 때문에 휴식리라고 부른다. 진한(陳寒
묵은 한사(寒邪)
)과 고적(痼積
고질적인 적기(積氣)
)을 없애는 약으로 치료해야 낫는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77 〈설리문(泄痢門) 휴식리(休息痢)〉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논하였다.

聖濟論曰, 休息痢者, 腸中宿痰痼滯. 每遇飮食不節, 停飮不消, 乍差乍發, 故謂之休息. 當加之以消削陳寒痼積之劑則愈.

≪득효(得效)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 강다원(薑茶圓). 휴식리(休息痢) 치료에 크게 효과가 있다.
건강(乾薑)[구운 것], 건다(建茶)[〈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위의 약재들을 오매(烏梅)의 과육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원(圓)을 만든다. 매번 30원을 식전에 미음(米飮)과 함께 복용한다.

得效. 薑茶圓. 止休息痢大效.
乾薑[], 建茶[各一 주002)
일(一):
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권6 〈대방맥잡의과(大方脈雜醫科) 하리(下痢)〉의 동일 기사에 따라 ‘일(一)’로 판독하였다.
].
右以烏梅取肉圓, 如桐子大. 每服三十圓, 食前米飮下.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휴식리(休息痢) 때문에 밤낮으로 〈설사가〉 빈발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백복령환(白茯苓丸).
백복령(白茯苓)[반 냥], 황련(黃連)[2냥 반], 황벽(黃蘗), 영양각(羚羊角)[〈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반].
위의 약재들을 가루 내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공복에 미음(米飮)과 함께 30환을 복용한다. 정오에 다시 복용한다.

聖濟. 治休息痢, 日夜頻倂, 白茯苓丸.
白茯苓[半兩], 黃連[二兩半], 黃蘗, 羚羊角[各一兩半].
右爲末, 煉蜜和丸, 如桐子大. 每服空心, 以米飮下三十丸. 午 주003)
오(午):
≪의방유취(醫方類聚)≫ 권140 〈제리문(諸痢門)5 성제총록(聖濟總錄) 휴식리(休息痢)〉의 동일 기사에는 ‘일오(日午)’라고 되어 있다.
再服.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휴식리(休息痢)를 치료하는 당귀환(當歸丸).
당귀(當歸)[잘라서 볶은 것], 황련(黃連)[잔털을 제거한 것], 오매(烏梅)[씨를 제거하고 불에 말린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생마늘즙[生蒜汁]과 잘 섞어, 손으로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들어 불에 말린다. 매번 30환을, 달인 후박탕(厚朴湯)과 함께 공복에 복용하되 50환까지 〈복용량을〉 늘린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治. 休息痢, 當歸丸.
當歸[剉炒], 黃連[去須], 烏梅[去核, 焙, 各一兩].
右細末, 以生蒜汁和, 衆手丸, 如桐子大, 焙乾. 每服三十丸, 空心, 煎厚朴湯下, 加至五十丸.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77 〈설리문(泄痢門) 휴식리(休息痢)〉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일(一):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권6 〈대방맥잡의과(大方脈雜醫科) 하리(下痢)〉의 동일 기사에 따라 ‘일(一)’로 판독하였다.
주003)
오(午):≪의방유취(醫方類聚)≫ 권140 〈제리문(諸痢門)5 성제총록(聖濟總錄) 휴식리(休息痢)〉의 동일 기사에는 ‘일오(日午)’라고 되어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