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단석독상공목(丹石毒上攻目)
메뉴닫기 메뉴열기

단석독상공목(丹石毒上攻目)


단석독상공목(丹石毒上攻目
단석(丹石)의 독이 눈을 공격해서 나타나는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단석(丹石)[石]을 복용하는 사람이 적당함을 잃게 되면 〈단석〉 독이 간(肝)에 유입되므로, 영혈(榮血)이 막히고 〈그 독이〉 눈으로 치밀어 오른다. 그러므로 양 눈이 붉고 아프거나 혹은 노육(努肉)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8 〈안목문(眼目門) 단석독상공목(丹石毒上攻目)〉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服石之人將適失宜, 其毒流於肝, 則榮血否澁, 衝發於目. 故令兩目赤痛, 或生努肉.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단석(丹石)이 발동하여 열이 나고 배[心腹]가 부풀며, 소변이 붉고 변비가 있으며, 가슴 속이 답답하면서 눈이 붉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황금(黃芩), 대황(大黃)[잘라서 볶은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2냥], 치자인(梔子仁)[1냥], 콩누룩[豉][볶은 것 3홉].
위의 약재들을 잘게 대강 썬다. 매번 3돈을 물 1종지에 넣어 6분(分)으로 졸아들도록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식후와 잠자리에 들면서 따뜻하게 복용한다.

聖濟. 治丹石發動, 發熱, 心腹脹滿, 小便赤, 大便難, 胷中煩燥, 目赤痛.
黃芩, 大黃[剉炒, 各二兩], 梔子仁[一兩], 豉[炒, 三合].
右麁末. 每服三錢, 水一鍾, 煎六分, 去滓, 食後臨臥, 溫服.

≪광리방(廣利方)≫. 주002)
≪광리방(廣利方)≫: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인 796년에 편찬된 관찬의서이다. 덕종대의 연호인 정원(貞元)을 따서 ≪정원광리방(貞元廣利方)≫으로 불린다. 출간 직후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사신단이 이 책을 당 나라에서 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눈이 손상되고[眼築] 주003)
안축(眼築):
원문으로는 해석이 어렵다. 하지만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32 〈안문(眼門) 안피물당타착(眼被物撞打着)〉의 유사한 기사에서는 “눈이 손상을 입고 군살이 돋아난다.[治眼築損, 努肉出.]”라고 하였다.
군살[努肉]이 돋아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싱싱한 행인(杏仁) 7매에서 껍질과 끝을 제거하고, 잘게 씹었다가 손바닥에 뱉는다. 〈이것이〉 뜨거울 때 면(綿)으로 싼 젓가락 끝[筯頭]으로 〈찍어〉 군살[努肉] 위에 점안한다. 4~5번 〈점안〉하면 낫는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廣利方. 治眼築, 努肉出.
生杏仁七枚去皮尖, 細嚼, 吐於掌中. 及熱, 以綿褁筯頭, 將點努肉上. 過四五度, 差.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8 〈안목문(眼目門) 단석독상공목(丹石毒上攻目)〉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광리방(廣利方)≫: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인 796년에 편찬된 관찬의서이다. 덕종대의 연호인 정원(貞元)을 따서 ≪정원광리방(貞元廣利方)≫으로 불린다. 출간 직후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사신단이 이 책을 당 나라에서 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주003)
안축(眼築):원문으로는 해석이 어렵다. 하지만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32 〈안문(眼門) 안피물당타착(眼被物撞打着)〉의 유사한 기사에서는 “눈이 손상을 입고 군살이 돋아난다.[治眼築損, 努肉出.]”라고 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