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시기후환목(時氣後患目)
메뉴닫기 메뉴열기

시기후환목(時氣後患目)


시기후환목(時氣後患目
유행병 뒤의 안과 질환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갑자기 눈이 붉어지고 부으며 아프거나 예막(翳膜)이 생기는 것은 간(肝)과 심장[心]과 폐(肺)의 넘치는 열(熱)이 위로 눈을 공격하기 때문이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8 〈안목문(眼目門) 시기후환목(時氣後患目)〉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忽目赤腫痛, 或生翳膜者, 肝心肺餘熱, 上攻於目故也.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유행병이 지난 뒤에 조로(早勞)하거나, 풍사(風邪) 때문에 눈이 붉어지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인삼(人蔘), 지골피(地骨皮), 영양각(羚羊角)[썬 것], 방풍(防風)[잔뿌리를 없앤 것], 적복령(赤茯苓)[〈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3푼], 승마(升麻), 현삼(玄蔘), 황금(黃芩)[〈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반 냥], 결명자(決明子)[살짝 볶은 것 1냥].
위의 약재들을 잘게 대강 썬다. 매번 5돈을 물 1종지 반에 넣어 1종지가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식후와 잠자리에 들면서 각각 한 번씩 복용한다.

聖濟. 治時氣後起早勞發, 風眼赤痛.
人參, 地骨皮, 羚羊角[], 防風[去叉], 赤茯苓[各三分], 升麻, 玄參, 黃芩[各半兩], 決明子[微炒, 一兩].
右爲麁末. 每服五錢, 水一鍾半, 煎一鍾, 去滓, 食後臨臥, 各一服.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유행병이 지난 뒤에 풍독(風毒)으로 인해 눈이 화끈거리고 아픈 증상.
대황(大黃)[잘라서 볶은 것 2냥], 지각(枳殼)[속을 파내고 밀기울에 볶은 것], 황금(黃芩), 국화(菊花), 치자인(梔子仁)[〈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위의 약재들을 잘게 대강 썬다. 매번 5돈을 물 1종지 반에 넣어 1종지가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식후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차도가 있으면 즉시 〈복용을〉 그친다.

又治. 時氣病後風毒眼熱痛.
大黃[剉炒, 二兩], 枳殼[去穰, 麩炒], 黃芩, 菊花, 梔子仁[各一兩].
右麁末. 每服五錢, 水一鍾半, 煎一鍾, 去滓, 食後, 溫服. 得利卽止.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유행병이 지난 뒤에 눈이 갑자기 실명하였지만 눈동자는 손상되지 않은 경우.
만청자(蔓菁子) 6되를 포대(布袋)에 담아서 급류(急流)[急水]에 씻는다. 시루 안에 먼저 띠[茅]를 펼치고, 그 위에 베[布]를 깐 다음, 포 위에 만청자를 올려 놓고, 푹 쪄서 〈약효가〉 퍼지도록 한다. 곧바로 솥 안의 끓는 물로 〈만청자를〉 적신 후, 햇볕에 말린다. 이처럼 3차례 반복한 다음 빻아서 곱게 가루 낸다. 매번 식후에 3돈을 끓인 물에 타서 따뜻하게 복용한다. 잠자리에 들면서 다시 복용한다.

又治. 時氣後眼忽失明, 但瞳人不損者.
蔓菁子六升, 以布袋盛, 急水中洗. 甑中先鋪茅, 上安布, 布上着蔓菁子, 蒸令勻透. 卽取釜中湯, 淋, 暴乾. 如此三度, 擣爲細散. 每食後, 煎湯調三錢, 溫服. 臨臥, 再服.

≪직지(直指)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 입소고(立消膏). 부예(浮翳) 주002)
부예(浮翳):
곤충 날개처럼 얇은 막이 눈동자를 덮고 있는 증상이다. 부예(膚翳)라고도 한다.
, 속예(粟翳) 주003)
속예(粟翳):
눈동자 위에 좁쌀[粟] 같은 막이 생긴 증상이다.
, 무막(霧膜) 주004)
무막(霧膜):
눈동자 위에 안개[霧] 같은 뿌연 막이 덮인 증상이다.
이 눈동자를 가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깨끗한 백염(白塩
눈처럼 흰 소금
)을 그릇에 담아서 생소금 상태 그대로 소량만 간다. 대등초(大燈草)로 설백염을 묻혀서, 부예를 가볍게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점안한다. 무릇 3차례 만에 통증이 없어진다. 놀라거나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여러 차례 효과를 본 것이다.

直指. 立消膏. 治浮翳粟翳霧膜遮睛.
雪白塩淨器中, 生硏少許. 以大燈草蘸塩, 輕手指定浮翳, 就點. 凡三次, 不疼痛. 勿驚恐. 屢效.

≪천금방(千金方)≫. 질병을 앓은 후 눈이 붉고 아프며 예막(翳膜)이 생긴 경우.
청포(靑布)로 눈 위를 덮고서 찬물로 청포를 적시되, 여러 차례 〈청포를〉 바꾼다.

千金. 治病後目赤痛有翳.
靑布掩目上, 以冷水漬靑布, 數易之.

〈≪천금방≫의〉 또 다른 치료법. 예막(翳膜) 증상.
오적골(烏賊骨
오징어 뼈
)을 곱게 갈아서, 꿀과 섞어 점안한다.

又治. 目翳.
烏賊骨細硏, 和蜜, 點之.

≪본조경험(本朝經驗)
본조경험방(本朝經驗方)
≫. 유행성 안질(眼疾)을 치료하고, 밤눈이 어두운 것에도 통용되는 치료법.
청어(靑魚)를 쪄서 뜨거울 때 〈그 기운으로 눈을〉 훈증한다. 찐 〈청어〉 고기를 먹어도 좋다.

本朝經驗. 治時行眼疾, 夜目不見, 通用.
靑魚蒸, 乘熱, 熏之. 蒸肉食之, 良.

〈≪본조경험방≫의〉 또 다른 치료법. 안질(眼疾)에 걸린 후 흰 점[白點]이 생긴 증상.
연시(鷰屎
제비의 똥
)를 물에 씻어 찌꺼기를 받아 곱게 가루 내어, 흰 점에 붙이면 즉시 좋아진다.

又治. 眼疾後有白點.
鷰屎以水洗之, 取滓, 細硏, 着白點上, 卽改.

〈≪본조경험방≫의〉 또 다른 처방. 상근백피(桑根白皮)로 가늘게 새끼를 꼬아서 불로 태우고, 일단 불이 꺼진 후 그 재를 흰 점에 붙이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桑根白皮爲細索, 以火燒, 一端滅火, 以其灰着白點上, 卽改.

〈≪본조경험방≫의〉 또 다른 처방. 눈이 어두울 때는 상회즙(桑灰汁
뽕나무 재를 우린 물
)으로 씻으면 〈눈이〉 밝아진다.

又方. 眼暗, 桑灰汁洗之, 卽明.

≪주후방(肘後方)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
≫. 눈에 생긴 적백예(赤白翳
예막(翳膜)이 붉거나 흰 증상
)를 치료한다.
가늘고 곧은 웅작시(雄雀屎
숫참새의 똥
)를 곱게 가루 내고, 어린이가 먹는 젖과 섞는다. 눈초리에 점안하면 적백예가 저절로 사라진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肘後方. 治眼生赤白翳.
雄雀屎細直者細硏, 童子乳汁和硏. 點內眥, 則翳自消.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8 〈안목문(眼目門) 시기후환목(時氣後患目)〉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부예(浮翳):곤충 날개처럼 얇은 막이 눈동자를 덮고 있는 증상이다. 부예(膚翳)라고도 한다.
주003)
속예(粟翳):눈동자 위에 좁쌀[粟] 같은 막이 생긴 증상이다.
주004)
무막(霧膜):눈동자 위에 안개[霧] 같은 뿌연 막이 덮인 증상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