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목풍안한(目風眼寒)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풍안한(目風眼寒)


목풍안한(目風眼寒
눈이 풍사에 시달려서 안구가 찬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무릇 오장육부의 정기(精氣)는 모두 위로 눈에 몰린다. 풍사(風邪)[風]가 침입하여 머리에 이어지면 혈맥(血脉)이 응집되면서 〈오장의 정기가〉 위로 몰릴 수 없게 된다. 또한 간(肝)은 눈을 주관하면서 풍(風)을 싫어하며, 피[血]을 받아야 사물을 볼 수 있다. 만약 풍(風)·한(寒)이 〈간에〉 깃들게 되면, 눈[目]이 풍사에 시달려서 안구[眼]가 차게 된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7 〈안목문(眼目門) 목풍안한(目風眼寒)〉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夫五藏六府之精氣, 皆上注於目. 令風入係頭, 則血脉凝泣, 不能上注. 且肝主目而惡風, 受血而能視. 令風寒客之, 주002)
영풍한객지(令風寒客之):
원문은 ‘영풍한객지(令風寒客之)’인데, ≪성제총록≫ 권107 〈안목문 목풍안한〉의 동일 기사에는 ‘금풍한객지(今風寒客之)’라고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이제 풍(風)·한(寒)이 〈간에〉 깃들게 되므로”라는 뜻이 된다.
故令目風眼寒.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눈이 풍사에 시달려서 안구가 차가운 증상과, 침침하고 붓는 데다 눈물이 많은 증상을 치료한다.
세신(細辛)[움을 제거한 것 반 냥], 오미자(五味子), 방풍(防風)[잔뿌리를 없앤 것], 길경(桔梗)[볶은 것], 충울자(茺蔚子), 현삼(玄蔘)[〈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위의 약재들을 잘게 대강 썬다. 매번 3돈을 물 1종지에 넣어 7분(分)으로 졸아들도록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공복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聖濟. 治目風眼寒, 及昏腫多淚.
細辛[去苗, 半兩], 五味子, 防風[去叉], 桔梗[], 茺蔚子, 玄參[各一兩].
右爲麁末. 每服三錢, 水一鍾, 煎七分, 去滓, 空心, 溫服.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일체의 풍사(風邪)로 인한 안과 질환과 풍(風)이 머리 부위를 공격해서 나타나는 증상.
감국화(甘菊花), 인삼(人蔘), 백복령(白茯苓), 산우(山芋)[〈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동일한 분량].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식후와 잠자리에 들면서 숭늉과 함께 30환을 복용한다.

又治. 一切風眼, 及風攻頭系.
甘菊花, 人參, 白茯苓, 山芋[各等分].
右爲細末, 煉蜜爲丸, 如桐子大. 食後臨臥, 熟水下三十丸.

≪향약구급(鄕藥救急)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 눈이 풍사(風邪) 때문에 붉어지는 증상을 치료한다.
황벽(黃蘗) 껍질, 죽엽(竹葉), 고동전(古銅錢)[5매].
위의 약재들을 물에 달인 후, 소금[塩] 소량을 넣고 진하게 끓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눈을〉 씻고 찜질한다.

鄕藥救急. 治眼風赤.
黃蘗皮, 竹葉, 古銅錢[五枚].
右以水煎, 內塩小許, 濃煮, 去滓. 洗熨.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풍독(風毒)이 위로 머리와 눈[頭目]을 공격해서 나타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마른 형개수(荊芥穗)[3냥], 마른 박하엽(薄荷葉)[3냥], 목적(木賊)[2냥], 선각(蟬殼)[2냥을 씻어서 먼지를 제거하고 불에 말린 것], 사태피(蛇蛻皮)[1돈, 누렇게 볶아서 별도로 갈아 곱게 가루 낸 것].
위의 약재에서 앞의 4가지 약재를 먼저 빻은 후, 사태피 가루를 넣고 고르게 섞는다. 매번 1돈을 납다(臘茶)나 술에 타서 수시로 복용한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聖濟. 治風毒上攻頭目.
乾荊芥穗[三兩], 乾薄荷葉[三兩], 木賊[二兩], 蟬殼[二兩, 洗去塵土, 焙乾], 虵蛻皮[一錢, 炒黃, 別硏爲細 주003)
세(細):
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7 〈안목문(眼目門) 목풍안한(目風眼寒)〉의 동일 기사에 따라 ‘세(細)’로 판독하였다.
].
右先擣前四味, 次入虵蛻皮末, 拌勻. 每服一錢, 臘茶, 或酒調下, 不拘時.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7 〈안목문(眼目門) 목풍안한(目風眼寒)〉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영풍한객지(令風寒客之):원문은 ‘영풍한객지(令風寒客之)’인데, ≪성제총록≫ 권107 〈안목문 목풍안한〉의 동일 기사에는 ‘금풍한객지(今風寒客之)’라고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이제 풍(風)·한(寒)이 〈간에〉 깃들게 되므로”라는 뜻이 된다.
주003)
세(細):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7 〈안목문(眼目門) 목풍안한(目風眼寒)〉의 동일 기사에 따라 ‘세(細)’로 판독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