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치우(齒齲)
메뉴닫기 메뉴열기

치우(齒齲)


치우(齒齲
치아가 썩은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그 증상은 잇몸이 부어서 고름이 나거나 심한 악취가 나는데, 오래되면 〈치아가〉 썩어서 잇몸이 드러나기도 하니, 일명 풍우(風齲)이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1 〈구치문(口齒門) 치우(齒齲)〉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其狀齗腫, 或膿出而臭, 久則侵蝕. 齒齗宣露, 一名風齲.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치아가 풍우(風齲)로 인해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치조(齒槽
치근이 박혀 있는 상하 악골 사이의 공간
)[骨䐬]의 독기(毒氣)를 완화시킨다.
우슬(牛膝) 1냥을 태운 재로 가루를 내어서, 소량을 치아 사이에 붙여 머금는다.

聖濟. 治牙齒風齲疼痛, 解骨䐬毒氣.
牛膝一兩, 燒爲灰爲末, 以少許着齒間, 含之.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욱리인(郁李仁)[郁李] 뿌리 1줌을 잘라 물 1종지 반에 넣어 1종지가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뜨거운 채로 입에 머금어 검은 머리의 벌레[黑頭䖝]를 토해 낸다. 토해 내면 즉시 낫는다.

又方. 郁李根一握切, 水一鍾半, 煎一鍾, 去滓. 熱含之, 吐出黑 주002)
흑(黑):
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성제총록≫ 권121 〈구치문 치우〉의 동일 기사에 따라 ‘흑(黑)’으로 판독하였다.
頭䖝. 出卽差.

≪산거사요(山居四要)≫. 풍(風)과 좀[蛀]으로 인한 치아 통증[牙疼]을 치료한다.
백지(白芷)와 세신(細辛)을 달여서 뜨거운 채로 입을 헹군다.

山居四要. 治風蛀牙疼.
白芷細辛, 煎湯漱之.

〈≪산거사요≫의〉 또 다른 처방. 따뜻한 미초(米醋)로 양치하여, 벌레를 내보내면 저절로 치유된다.

又方. 溫米醋漱, 出䖝, 自愈.

≪서죽당경험(瑞竹堂經驗)
서죽당경험방(瑞竹堂經驗方)
≫. 치통[牙痛]을 치료한다.
천선자(天仙子) 적당량을 태우면서 연기를 발생시킨다. 대나무 대롱[竹筒]을 치아에 대고 그 연기를 끌어들여서 훈증하면 벌레가 즉시 죽으며, 영원히 재발하지 않는다. 총자(葱子
파의 씨
)도 괜찮다.

瑞竹堂經驗. 治牙痛.
天屳子不以多少, 燒烟. 竹筒扺 주003)
지(扺):
원문은 ‘지(扺)’이며 ≪서죽당경험방(瑞竹堂經驗方)≫ 〈치(齒)〉에서도 ‘지(扺)’라고 되어 있다. 하지만 문맥상으로는 ‘저(抵)’가 맞으며,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34 〈치아문(齒牙門) 서죽당방[추풍산](瑞竹堂方[追風散])〉의 동일 기사에서도 ‘저(抵)’라고 되어 있다.
牙, 引烟熏之, 其䖝卽死, 永不再發. 葱子亦得.

≪득효(得效)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 충치 때문에 입 안에 생긴 악창[瘡]을 치료한다.
턱 앞 입술 아래의 옴폭 패인 곳인 승장혈(承漿穴)에 뜸을 3장 뜬다.

得效. 治口齒蝕生瘡.
주004)
승(承):
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본문 설명대로 턱과 입술 아래에 위치한 혈은 승장혈(承漿穴)이어서, ‘승(承)’으로 판독하였다.
漿一穴, 在頤前脣下宛宛中, 可灸三壯.

≪본조경험(本朝經驗)
본조경험방(本朝經驗方)
≫. 충치로 인한 치통[牙痛]을 치료한다.
진자(榛子)만한 크기의 참나무[眞木] 숯덩이를 준비한 후, 침으로 〈환부를〉 찌르고 〈숯덩이에〉 불을 붙여서 아픈 부위에 붙이면 금방 낫는다.

本朝經驗. 治䖝牙痛.
眞木中火巢, 如榛子大, 以針刺, 行火, 著痛處, 주005)
행화착통처(行火著痛處):
원문 두 글자의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35 〈치아문(齒牙門) 아치중공유충(牙齒蚛孔有蟲)〉의 동일 기사에서는 ‘부화착통처(傅火着痛處)’라고 하였다. 여기에서는 ‘행(行)’과 ‘착(著)’으로 판독하였다.
立愈.

≪천금(千金)
천금방(千金方)
≫. 두면풍(頭面風) 주006)
두면풍(頭面風):
머리와 얼굴[頭面]에 풍사(風邪)가 침입하여 생기는 발한, 두통, 피부병 등을 말한다.
때문에 입과 치아가 참을 수 없이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생지황(生地黃) 1마디[節]와 마늘[蒜] 1판(瓣)을 익혀서 빻은 후, 〈이것을〉 면(綿)으로 싸서 아픈 부위에 붙이고, 즙이 나오도록 씹은 후 뱉는다. 날마다 이렇게 하면서 나으면 멈춘다.

千金. 治頭面風, 口齒疼痛, 不可忍.
生地黃一節, 蒜一瓣, 熟擣, 綿褁著痛上, 咬之, 汁出, 吐之. 日日爲之, 差止.

≪화제(和劑)
화제국방(和劑局方)
≫. 여신산(如神散). 풍치(風齒) 주007)
풍치(風齒):
치아에 바람이 들어 나타나는 통증을 의미한다.
·충치(蟲齒)[風牙炷牙]에 오랫동안 시달려 밤낮없이 아프면서 잠이 편안하지 않거나, 혹은 잇몸이 흔들리면서 잇몸 근처 뺨까지 부은 증상을, 앓은 기간에 상관없이 모두 치료한다.
천초(川椒)[씨[目]와 〈열매 껍질이〉 닫힌 것들은 제거하고, 진액이 배어날 때까지[出汗] 살짝 볶은 것], 노봉방(露蜂房)[살짝 구운 것, 〈이상의 약재들은〉 동일한 분량].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어, 매번 1돈을 물 1종지에 넣고 소금[塩] 소량을 첨가하여 8분(分)으로 졸아들도록 함께 달인다. 뜨거울 때 양치하고 식으면 뱉는데, 한 번만 복용해도 금방 효과가 있다.

和劑. 如神散. 風牙炷 주008)
주(炷):
원문은 ‘주(炷)’인데, 문맥상 벌레먹다는 뜻의 ‘중(蚛)’이 맞다. ≪증광태평혜민화제국방(增廣太平惠民和劑局方)≫ 권7 〈인후구치(咽喉口齒) 여신산(如神散)〉의 동일 기사에도 ‘중(蚛)’으로 되어 있다.
牙, 攻疰疼痛, 日夜不止, 睡臥不安, 或牙齗動搖, 連頰浮腫, 不拘久近, 並皆治之.
川椒[去目及閉口者, 微炒出汗], 露蜂房[微炙, 等分].
右細末, 每用一錢, 水一鍾, 入塩少許, 同煎, 至八分. 乘熱漱之, 冷則吐出, 一服, 立效.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치아가 풍우(風齲)로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송지(松脂)[2냥], 조협(皂莢)[구워서 껍질과 씨를 제거한 것 1정(挺)], 소금[塩][1푼].
위의 약재들을 잘게 대강 썬다. 매번 5돈을 물 2종지에 넣어 5~7번 넘치도록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뜨거울 때 양치했다가 식으면 뱉는다.

聖濟. 治牙齒風齲疼痛.
松脂[二兩], 皂莢[炙去皮子, 一挺], 塩[一分].
右爲麁末. 每用五錢, 水二鍾, 煎五七沸, 去滓, 熱漱冷吐.

≪경험비방(經驗秘方)≫. 치약(齒藥)으로 상용(常用)하면 〈치아를〉 단단하게 하고 풍랭(風冷)을 없애며, 충치[蚛蝺]·잇몸 노출[宣露]을 치료한다. 노소(老少)를 불문하고 사용하면 효과가 좋다.
괴지(槐枝), 유지(柳枝)[〈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길이 4치짜리 한 줌씩을 잘라 찧은 것], 조각(皂角)[좀먹지 않은 것 7경(莖)], 소금[塩][41푼쭝[文重]].
위의 약재들을 자기병에 담고 진흙[黃泥]으로 〈주둥이를〉 막은 후 잿불로 하룻밤 동안 굽는다. 식은 후 내용물을 꺼내 곱게 가루 내어 항상[常法] 사용한다. 70여 세인 석불암(石佛菴) 주인은, “조상 중에 치아가 빠지는 증상을 앓은 분이 많았는데, 이 처방을 쓰자 효과가 있었다. 여러 대 동안 사용하였더니, 치아가 희고 가지런하며 촘촘해졌다.”라고 하였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經驗秘方. 常齒藥, 牢牙, 去風冷, 蚛蝺宣露. 不問老少, 用之, 效.
槐枝, 柳枝[各長四寸一握, 切碎], 皂角[不蚛者, 七莖], 塩[四十一文重].
右入甆甁內, 黃泥固濟, 煻火燒一夜. 候冷, 取出, 硏細, 用如常法. 有石佛菴主年七十餘云, 祖上多患齒脫落, 得此方, 效. 數世用之, 齒白齊密.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1 〈구치문(口齒門) 치우(齒齲)〉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흑(黑):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성제총록≫ 권121 〈구치문 치우〉의 동일 기사에 따라 ‘흑(黑)’으로 판독하였다.
주003)
지(扺):원문은 ‘지(扺)’이며 ≪서죽당경험방(瑞竹堂經驗方)≫ 〈치(齒)〉에서도 ‘지(扺)’라고 되어 있다. 하지만 문맥상으로는 ‘저(抵)’가 맞으며,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34 〈치아문(齒牙門) 서죽당방[추풍산](瑞竹堂方[追風散])〉의 동일 기사에서도 ‘저(抵)’라고 되어 있다.
주004)
승(承):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본문 설명대로 턱과 입술 아래에 위치한 혈은 승장혈(承漿穴)이어서, ‘승(承)’으로 판독하였다.
주005)
행화착통처(行火著痛處):원문 두 글자의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35 〈치아문(齒牙門) 아치중공유충(牙齒蚛孔有蟲)〉의 동일 기사에서는 ‘부화착통처(傅火着痛處)’라고 하였다. 여기에서는 ‘행(行)’과 ‘착(著)’으로 판독하였다.
주006)
두면풍(頭面風):머리와 얼굴[頭面]에 풍사(風邪)가 침입하여 생기는 발한, 두통, 피부병 등을 말한다.
주007)
풍치(風齒):치아에 바람이 들어 나타나는 통증을 의미한다.
주008)
주(炷):원문은 ‘주(炷)’인데, 문맥상 벌레먹다는 뜻의 ‘중(蚛)’이 맞다. ≪증광태평혜민화제국방(增廣太平惠民和劑局方)≫ 권7 〈인후구치(咽喉口齒) 여신산(如神散)〉의 동일 기사에도 ‘중(蚛)’으로 되어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