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치은선로(齒齗宣露)
메뉴닫기 메뉴열기

치은선로(齒齗宣露)


치은선로(齒齗宣露
잇몸이 드러나는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피의 기능이 떨어지면[血弱] 잇몸이 위축되면서 점차 드러나게 되는데, 영영 치근(齒根)에 붙지 못한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1 〈구치문(口齒門) 치은선로(齒齗宣露)〉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血弱, 齗肉縮落, 漸至宣露, 永不附着齒根也.

≪천금(千金)
천금방(千金方)
≫. 잇몸이 드러난 증상을 치료한다.
매일 아침 소금[塩]을 집어서 입 안에 넣고 뜨거운 물로 100번을 헹구면, 5일도 지나기 전에 치아가 촘촘해진다. 주002)
이 기사부터 ‘치우’의 ≪본조경험방(本朝經驗方)≫ 기사까지는 가천박물관 소장본에만 실려 있으며, 한독의약박물관 소장본에는 빠져 있다.

千金. 治齒齗宣露.
每朝捻塩, 納口中, 以熱水含百徧, 不過五日, 齒卽牢密.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잇몸이 드러나서, 바람에 시리고 가려운 증상을 치료한다.
우슬(牛膝)[태운 재, 반 냥], 세신(細辛)[싱싱한 채로 가루 낸 것 1푼].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유발(乳鉢)에 다시 넣어 곱게 갈아서 드러난 〈잇몸〉 부위에 붙인다. 매일 3~5번 붙이면 곧 효과가 있다.

聖濟. 治齒齗露風痒.
牛膝[燒灰, 半兩], 細辛[生用爲末, 一分].
右爲細散, 更於乳鉢中, 細硏, 付於宣露處. 日三五上, 卽驗.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치아가 시리거나 벌레 먹고[風齲], 잇몸이 부으면서 드러나고, 고름과 악취가 나는 증상.
고본(藁本), 승마(升麻), 조협(皂莢)[좀먹지 않은 것으로 태워서 재를 만들되 〈조협의〉 약성(藥性)을 간직한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반 냥], 석고(石膏)[1냥 반].
위의 약재들을 가루 낸다. 잠자리에 들면서 손으로 〈이 가루를〉 묻혀 치아를 문지르는데, 살짝만 입을 헹궈서 약기운이 〈입 안에〉 남아 있게 한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治. 牙齒風齲, 齗腫宣露, 膿出氣臭.
藁本, 升麻, 皂莢[不蛀者, 燒灰存性, 各半兩], 石膏[一兩半].
右爲散. 臨臥時, 以手揩蘸, 揩擦齒上, 微漱存藥氣.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1 〈구치문(口齒門) 치은선로(齒齗宣露)〉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이 기사부터 ‘치우’의 ≪본조경험방(本朝經驗方)≫ 기사까지는 가천박물관 소장본에만 실려 있으며, 한독의약박물관 소장본에는 빠져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