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아치정생(牙齒挺生)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치정생(牙齒挺生)


아치정생(牙齒挺生
치아가 빠지거나 자라는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바람이나 찬 기운이 잇몸 사이의 진액(津液)과 부딪히면 〈진액이〉 고름이 되면서, 잇몸은 수축하고 치근(齒根)은 돌출된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1 〈구치문(口齒門) 아치정출(牙齒挺出)〉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風冷與齗間津液相搏, 化爲膿汁, 則齗肉落縮, 齒根挺出.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치아[牙齒] 뿌리가 삐져나오려고 하는 경우.
욱리근(郁李根)[자른 것], 궁궁(芎藭), 세신(細辛), 생건지황(生乾地黃)[자른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위의 약재들을 잘게 대강 썬다. 매번 5돈을 물 3종지에 넣고, 소금[塩] 1돈을 첨가하여 10여 번 넘치도록 달인 후 찌꺼기를 버린다. 뜨겁게 해서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는다.

聖濟. 牙齒根欲脫.
郁李根[], 芎藭, 細辛, 生乾地黃[切, 各一兩].
右爲麁末. 每用五錢, 水三鍾, 入塩一錢, 煎十餘沸, 去滓. 熱漱冷吐.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치아[牙齒]에서 풍(風)과 벌레로 인해 치근(齒根)이 돌출되고 흔들리면서 아픈 증상.
지골피(地骨皮), 방풍(防風)[잔뿌리를 없앤 것], 소금[塩], 세신(細辛), 행인(杏仁)[끓는 물에 담갔다가 껍질·끝·두알들이를 제거하고 볶은 것], 만형실(蔓荊實), 생건지황(生乾地黃)[불에 말린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백양피(白楊皮)[1줌, 자른 것].
위의 약재들을 잘게 대강 썬다. 매번 5돈을 물 2종지에 넣고 10여 번 넘치도록 달인 후 찌꺼기를 버린다. 뜨겁게 해서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는다.

又治. 牙齒風䖝, 齒根挺出, 搖動疼痛.
地骨皮, 防風[去叉], 塩, 細辛, 杏仁[湯浸, 去皮尖双人, 炒], 蔓荊實, 生乾地黃[焙, 各一兩], 白楊皮[一握, 切].
右麁末. 每用五錢, 水二鍾, 同煎十餘沸, 去滓. 熱漱冷吐.

≪경험(經驗)
경험양방(經驗良方)
≫. 치아[牙齒]가 날마다 자라서 음식을 먹기 어려운 증상을 치료한다.
백출(白朮) 가루를 복용하거나, 물에 타서 양치하다가 뱉는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經驗. 治牙齒日長, 難以飮食.
服白朮末, 及灌漱齒, 吐去.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1 〈구치문(口齒門) 아치정출(牙齒挺出)〉에 나오는 문장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