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목혼암(目昏暗)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혼암(目昏暗)


목혼암(目昏暗
눈이 침침한 증상
)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눈이 침침한[目昏暗] 증상을 치료하는 중지(中指) 찜질법.
동쪽을 향해 앉아서 두 번 숨 쉴 시간 동안 호흡을 멈추고, 양손 중지에 침을 발라 14번 비빈 후, 〈중지로〉 눈초리[目眥]를 문질러 찜질하면 좋아진다.

聖濟. 治目昏暗, 中指熨法.
東向坐, 不息再過, 以兩手中指唾之, 二七相摩, 拭熨目眥, 佳.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눈이 어두운 증상을 치료하는 손바닥 찜질법.
새벽닭이 울 때 양손을 비벼서 아주 뜨거워지면 눈을 3번 찜질한다. 이어서 손톱으로 양 눈초리를 눌러주면 정신이 맑아지는데, 신묘하다.

又治. 目暗掌心熨法.
雞鳴時, 以兩手相摩, 極熱, 熨目三徧. 仍以指甲搯兩眥頭, 覺有神光, 妙.

≪득효(得效)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 눈이 어두운 증상을 치료한다.
오이 1개만한[一瓜許] 황벽(黃蘗)을 매일 오경(五更
새벽 3~5시
) 초에 잘게 씹어 침과 섞은 후, 손바닥에 뱉어서 눈을 문지른다. 이것이 끝나면 잠시 후에 물로 씻어낸다. 영구히 안질을 없애는데 신묘하고 훌륭하다.

得效. 治目暗.
黃蘗一瓜許, 每日五更頭細嚼, 和涎, 唾掌中, 拭目. 訖, 小頃以水洗之. 永除眼疾, 神良.

≪경험양방(經驗良方)≫. 허로(虛勞) 때문에 눈이 어두운 증상을 치료한다.
만청화(蔓菁花)를 3월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낸 후, 매번 공복으로 정화수(井花水)에 2돈을 타서 복용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오래앉아서 글을 읽을 수 있다.

經驗良方. 治虛勞目暗.
蔓菁花採三月, 陰乾爲末, 以井花水, 每空心調下二錢. 久服, 長坐, 可讀書.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간(肝)과 신장[腎]의 기운이 허해져서 눈이 어두운 증상을 치료한다.
흑두(黑豆)[작고 단단한 것], 우담(牛膽).
위의 약재에서 우담의 크기를 가늠한다. 깨끗한 흑두를 골라 베[布]로 싼 다음, 우담을 집어넣고 끝을 꽉 묶어서, 깨끗한 처마 아래에 매달아 그늘에서 말린다. 매일 식후에 숭늉과 함께 21알을 복용한다.

聖濟. 治肝腎氣虛目暗.
黑豆[緊小者], 牛膽.
右量膽大小. 淨擇豆, 布𦺕過, 納牛膽中, 緊繫頭, 垂淨屋下, 陰乾. 每日食後, 熟水下三七粒.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간(肝)과 신장[腎]이 오랫동안 허해서 눈이 어둡고,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다가, 내장(內障)까지 야기하는 증상.
창출(蒼朮)[미감수에 담그는데, 가을·겨울에는 7일 동안 담그고 봄·여름에는 3일동안 담근다. 껍질을 제거하고 잘라서 절편을 만들고 불에 말려 가루 낸 것 3근], 백복령(白茯苓)[2근, 가루 낸 것], 촉초(蜀椒)[씨[目]와 〈열매 껍질이〉 닫힌 것들은 제거하고, 진액이 배어나도록[出汗] 볶아 가루 낸 것 1근].
위의 약재들을 고르게 섞어 꿀과 함께 끓이고, 밀가루 풀[麪糊]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30환 내지 50환을 따뜻한 숭늉과 함께 수시로 매일 3번 복용한다.

又治. 肝腎久虛, 眼目昏暗, 視物不明, 變成內障.
蒼朮[米泔浸, 秋冬七日, 春夏三日. 去皮, 切作片子, 焙乾爲末, 三斤], 白茯苓[二斤, 爲末], 蜀椒[去目幷閉口, 炒出汗爲末, 一斤].
右拌勻, 用蜜煮, 麪糊爲丸, 如桐子大. 每服三十至五十丸, 溫熟水下, 不拘時, 日三服.

≪본조경험(本朝經驗)
본조경험방(本朝經驗方)
≫. 양간환(養肝丸). 간혈(肝血)이 부족하여 눈에 꽃 같은 것이 아른거리면서 잘 안 보이고, 어떤 경우에는 눈물이 나며 오랫동안 보아도 흐릿한 증상을 치료한다.
당귀(當歸)[노두를 제거하고 술에 재운 것], 차전자(車前子)[술에 찐 것], 방풍(防風)[노두를 제거한 것], 백작약(白芍藥).
위의 약재들을 동일한 분량으로 곱게 가루 내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50환을 따뜻한 물과 함께 복용한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本朝經驗. 養肝丸. 治肝血不足, 眼目昏花, 或生淚, 久視不明.
當歸[去芦, 酒浸], 車前子[酒蒸], 防風[去芦], 白芍藥.
右等分細末, 煉蜜爲丸, 如桐子大. 每服五十丸, 溫水下.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