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목황황(目䀮䀮)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황황(目䀮䀮)


목황황(目䀮䀮
눈이 침침한 시력 저하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정화(精華)가 쇠약한 상태에서 풍사(風邪)나 담음(痰飮)이 〈눈을〉 공격하기 때문에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며 침침해진다. 간혹 날아다니는 파리나 검은 꽃[黑花]이 보이기도 하는데, 오래되면 장예(障翳)가 된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8 〈안목문(眼目門) 목황황(目䀮䀮)〉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精華衰弱, 風邪痰飮所攻, 故使瞻視不明, 而䀮䀮也. 或見飛蠅黑花者, 久成障翳.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횡격막 위쪽에서 풍열(風熱)이 치밀어 오르면서 눈이 침침해지고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을 치료한다.
차전자(車前子), 맥문동(麥門冬)[속을 제거하고 불에 말린 것], 방풍(防風)[잔뿌리를 없앤 것], 지각(枳殼)[속을 파내고 밀기울에 볶은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생지황(生地黃)[불에 말린 것], 백복령(白茯苓)[〈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인삼(人蔘), 고삼(苦蔘)[〈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3푼].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30환을 식후와 잠자리에 들면서 미음과 함께 복용한다.

聖濟. 治膈上風熱上衝, 眼目䀮䀮不明.
車前子, 麥門冬[去心, 焙], 防風[去叉], 枳殼[去穰, 麩炒, 各一兩], 生地黃[焙乾], 白茯苓[各一兩], 人參, 苦參[各三分].
右細末, 煉蜜和丸, 如桐子. 每服三十丸, 食後臨臥, 粥飮下.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눈이 침침한 증상을 치료하는 주경환(駐景丸).
차전자(車前子), 토사자(兎絲子)[술에 담가서 별도로 빻은 것], 결명자(決明子)[살짝 볶은 것], 영양각(羚羊角)[썬 것], 방풍(防風)[잔뿌리를 없앤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동일한 분량].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30환을 식후와 잠자리에 들면서 따뜻한 숭늉과 함께 복용한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治. 目視䀮䀮, 駐景丸.
車前子, 兎絲子[酒浸, 別搗], 決明子[微炒], 羚羊角[], 防風[去叉, 各等分].
右細末, 煉蜜和丸, 如桐子大. 每服三十丸, 食後臨臥, 溫熟水下.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8 〈안목문(眼目門) 목황황(目䀮䀮)〉에 나오는 문장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