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미목(眯目)
메뉴닫기 메뉴열기

미목(眯目)


미목(眯目
눈에 티가 들어간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미목(眯目)이란 날아다니는 티끌[簸糠飛塵] 같은 것들이 눈에 들어가는 것이다. 처음에 티가 들어간 때에는 면(綿)으로 싼 젓가락으로 끄집어낸다. 또는 먹물이나 닭 피를 넣어서 〈티를〉 뜨게 하여 빼내는 것도 모두 좋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13 〈안목문(眼目門) 미목(眯目)〉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眯目者, 簸糠飛塵等物, 入於目中. 初眯時, 令以綿褁筯撩去之. 或以墨汁, 或以雞血浮出之, 皆良.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날아다니는 먼지로 인해 눈에 티가 들어가 생기는 예장·목훈[翳暈]을 치료한다.
차전자(車前子)[씻어서 불에 말린 것], 오미자(五味子)[볶은 것], 작약(芍藥)[〈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반], 세신(細辛)[], 길경(桔梗)[잘라서 볶은 것], 백복령(白茯苓), 현삼(玄蔘), 인삼(人蔘), 대황(大黃)[잘라서 볶은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낸다. 매번 3돈을 식후와 잠자리에 들면서 따뜻한 미감수에 타서 복용한다.

聖濟. 治飛塵眯目, 因此生翳暈.
車前子[洗焙], 五味子[], 芍藥[各一兩半], 細辛[], 桔梗[剉炒], 白茯苓, 玄參, 人參, 大黃[剉炒, 各一兩].
右爲細末. 每服三錢, 食後臨臥, 溫米泔調服.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눈의 티가 나오지 않아서 생기는 부예(膚翳) 주002)
부예(膚翳):
곤충 날개처럼 얇은 막이 눈동자를 덮고 있는 증상이다. 부예(浮翳)라고도 한다.
증상.
구맥(瞿麥)의 이삭[穗], 건강(乾薑)[구운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반 냥].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식후에 정화수(井花水)에 2돈을 타서 매일 2번 복용한다.

又治. 眯目不出, 生膚翳.
瞿麥穗, 乾薑[炮, 各半兩].
右爲細散, 食後, 以井花水調服二錢, 日二.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눈에 들어간〉 이물질과 티가 나오지 않는 경우.
잠사(蠶沙)를 갈아서 깨끗하게 만들고, 공복에 새로 길어온 물[新汲水]과 함께 10매를 복용하는데, 씹어서는 안 된다.

又治. 雜物眯目不出.
蚕沙揀令淨, 空心用新汲水呑下十枚, 勿嚼破.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새 상근백피(桑根白皮) 가운데, 젓가락만한 절편 1개의 한쪽을 얇고 길게 깎아서 유연하게 만든다. 이것을 눈에 조금씩 밀어넣어 〈티를〉 긁으면, 잠시 후에 저절로 나온다.

又方. 桑根白皮取新者, 一片如筯大, 削一頭薄椎, 令軟滑. 漸漸入目中, 撥之, 須臾自出.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새 대맥(大麥) 반 홉을 끓여 즙을 내어서, 눈에 조금씩 넣어주면 즉시 〈티가〉 나온다.

又方. 新大麥半合煮汁, 漸注目中, 卽出.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저지(猪脂
돼지 비계
) 1푼으로 콧구멍을 막되, 좌우에 맞춰 넣어주면 〈티가〉 나온다.

又方. 猪脂一分取, 塞鼻, 隨左右用之, 出.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신선한 좁쌀[粟米] 7과(顆)를 완전히 씹어서, 침과 함께 〈티를〉 씻어내면 즉시 나온다.

又方. 生粟米七顆爛嚼, 幷唾, 洗之, 卽出.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콩누룩[豉] 21알을 물에 담그고, 〈그 물로〉 눈을 씻은 후, 가만히 눈을 뜨고 있으면 〈티가〉 나온다.

又方. 豉三七粒, 以水浸, 洗目, 視之, 卽出.

≪산거사요(山居四要)≫. 이물질이 눈 속으로 떨어진 경우.
새 붓을 물에 적신 후 빙빙 돌려서 꺼낸다.

山居四要. 物落眼中.
用新筆蘸水, 繳出.

〈≪산거사요≫의〉 또 다른 처방. 좋은 먹을 진하게 갈아서 점안하면 저절로 나온다.

又方. 濃硏好墨, 點眼, 自出.

〈≪산거사요≫의〉 또 다른 처방. 바람 때문에 흙이 눈에 들어갔을 경우에는, 손으로 〈눈을〉 열고 계속해서 침을 〈눈에〉 흘려 넣는다.

又方. 風土入眼, 以手擘開, 連唾之.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모래가루·가시[沙石草木] 등이 눈동자를 찔렀는데 〈눈〉 밖으로 나오지는 않고 아픈 경우를 치료한다.
좋은 먹을 진하게 간 다음 젖에 개어 〈이물질이〉 나올 때까지 눈 안에 바른다.

聖濟. 治沙石草木, 撞刺瞳子, 不出, 疼痛.
好墨濃硏, 和乳, 塗眼中, 以出爲度.

≪경험양방(經驗良方)≫. 바람에 날리는 티끌[飛絲]이 눈에 들어가서, 눈동자가 부풀면서 돌출되고 통증을 참을 수 없는 경우.
새 붓 3자루를 좋은 먹물에 적셔서 교대로 눈동자 표면을 자주 살살 쓸어주면, 그 티끌이 붓에 달라붙어 나온다.

經驗良方. 飛絲入眼, 令人睛脹突出, 痛不可忍.
新筆三管濡好墨, 更換頻運睛上, 飛絲纏筆出.

≪본조경험(本朝經驗)
본조경험방(本朝經驗方)
≫. 바람에 날리는 티끌[飛絲]이 눈에 들어간 경우를 치료한다.
소금[塩]을 볶아서 곱게 가루 내어 눈 안에 떨어뜨리면 그 티끌이 즉시 없어진다.

本朝經驗. 治飛絲入眼.
塩炒細末, 點眼中, 飛絲卽消.

≪성혜(聖惠)
성혜방(聖惠方)
≫. 얼마나 오랫동안 앓았는지 가늠조차 못하는 작목(雀目) 주003)
작목(雀目):
낮에는 사물을 잘 보다가 밤이 되면 사물을 못 보는 증상이다.
증상을 치료한다.
창출(蒼朮) 1냥을 빻아 가루 내어, 매번 1돈을 수시로 복용한다.

聖惠. 治雀目不計時月.
蒼朮一兩, 搗羅爲散, 每服一錢, 不計時.

≪본조경험(本朝經驗)
본조경험방(本朝經驗方)
≫. 작맹(雀盲)을 치료한다.
백실(栢實)에서 뽑은 기름을 나을 때까지 눈에 넣는다.

本朝經驗. 治雀盲.
栢實取油, 納眼中, 以差爲度.

≪백요(百要)
비예백요방(備預百要方)
≫. 신효결명산(神效決明散). 정맹(睛盲
눈동자에 장애가 생겨서 시력을 잃은 것
)으로 여러 해 동안 실명한 것을 치료한다.
결명자(決明子)[3냥], 만청자(蔓菁子)[3냥, 쪄서 3번 볶는데, 볶을 때마다 햇볕에 말린 것, 향명(鄕名) 주004)
향명(鄕名):
향명은 약재의 당재명(唐材名)에 상응하는 고려와 조선의 고유 명칭이다. 즉 만청자(蔓菁子)라는 중국의 약재를 고려와 조선에서는 진청실(眞菁實)이라고 부른다는 뜻이다. ≪향약제생집성방≫에서 ‘향명’이라는 표현은 여기에서만 보인다.
은 진청실(眞菁實)
].
위의 약재들을 빻아 가루 내어, 매번 식후에 2돈을 따뜻한 물에 타서 복용한다.

百要. 神效決明散. 治睛盲積年失明.
決明子[三兩], 蔓菁子[三兩, 蒸三炊, 每度曬乾, 鄕名眞菁実].
右擣羅爲散, 每於食後, 以溫水調下二錢.

〈≪비예백요방≫의〉 또 다른 처방. 정맹(睛盲)을 치료한다.
깨끗이 다듬은 잠사(蠶沙) 1말을 태워서 재로 만든다. 매번 1홉을 물 3홉과 함께 달여서 맑은[澄淸] 즙만 떠내고, 찌꺼기는 버린다. 2~3번 아령(鵝翎
거위 깃
)으로 〈찍어서〉 눈을 씻으면 예막(翳膜)이 없어진다. 〈효과가〉 신험(神驗)하다.

又方. 治睛盲.
蚕沙揀淨一斗, 燒灰. 每用一合, 以水三合, 同煎, 澄淸, 去滓. 再三以鵝翎洗眼, 翳膜除破. 神驗.

〈≪비예백요방≫의〉 또 다른 처방. 아직 눈도 뜨지 못하는 흰 강아지가 먹는 젖을 눈에 넣는다. 10년 된 맹인에게도 효과가 있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方. 白犬兒未開眼時乳汁, 注眼中. 十年盲者亦治.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13 〈안목문(眼目門) 미목(眯目)〉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부예(膚翳):곤충 날개처럼 얇은 막이 눈동자를 덮고 있는 증상이다. 부예(浮翳)라고도 한다.
주003)
작목(雀目):낮에는 사물을 잘 보다가 밤이 되면 사물을 못 보는 증상이다.
주004)
향명(鄕名):향명은 약재의 당재명(唐材名)에 상응하는 고려와 조선의 고유 명칭이다. 즉 만청자(蔓菁子)라는 중국의 약재를 고려와 조선에서는 진청실(眞菁實)이라고 부른다는 뜻이다. ≪향약제생집성방≫에서 ‘향명’이라는 표현은 여기에서만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