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마후비(馬喉痺)
메뉴닫기 메뉴열기

마후비(馬喉痺)


마후비(馬喉痺
목구멍이 심하게 붓고 막히면서 뜨거운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그 형세가 뛰어다니는 말과 같다. 목구멍이 마비되면서 아프고 붓는 게 광대뼈[頰骨]까지 걸친다. 심하게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해지면서, 자주 숨을 토하는 것이 이것이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2 〈인후문(咽喉門) 마후비(馬喉痺)〉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勢如奔馬. 喉間痺痛腫, 連頰骨. 壯熱煩滿, 數數吐氣者, 是也.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마후비(馬喉痺)로 인해서 〈목구멍에서〉 광대뼈까지 부으면서, 숨을 토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마함철(馬啣鐵) 주002)
마함철(馬啣鐵):
말의 입에 물리는 쇠, 즉 쇠로 만든 말 재갈을 가리킨다.
1구(具)를 물 3되에 넣어 1되가 될 때까지 달여서 천천히 빨아 먹는다.

聖濟. 治馬喉痺腫, 連頰, 吐氣.
馬啣鐵一具, 以水三升, 煎一升, 細細含嚥.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생강(生薑) 2근에서 즙을 짜서 꿀 3냥과 함께 약한 불로 적당하게 달인다. 매번 1홉을 매일 4~5번 복용하는데, 빨아서 먹는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方. 生薑二斤取汁, 蜜三兩, 以微火煎, 令得所. 每服一合, 日四五服, 含嚥.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2 〈인후문(咽喉門) 마후비(馬喉痺)〉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마함철(馬啣鐵):말의 입에 물리는 쇠, 즉 쇠로 만든 말 재갈을 가리킨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