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목훈(目暈)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훈(目暈)


목훈(目暈
눈이 흐린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정기(精氣)는 흰자위[白睛]에서 맺히고 검은자위[黑睛] 주변을 휘감는다. 수륜(水輪
눈동자
)수륜(水輪):
눈을 바깥쪽에서 안쪽까지 5개의 원[輪]으로 구분한 오륜(五輪) 가운데 하나로서, 수륜은 눈동자 부위에 해당한다. 수륜은 오장(五臟) 가운데 신장[腎]과 상응하는데, 신이 수(水)에 속하므로 수륜이라고 하였다. 수륜의 질병은 신장·방광과 관련된다고 한다.
이 혼탁(昏濁)하여 사물의 흑백을 분명하게 가리지 못하는 것, 이것이 목훈(目暈)의 증후이다.” 주002)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8 〈안목문(眼目門) 목훈(目暈)〉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精氣聚生於白睛之上, 繞於黑睛之際. 水輪昏濁, 黑白不明, 是爲目暈之候.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간(肝)이 허해졌을 때 풍사(風邪)가 눈을 공격하여 나타나는 목훈(目暈)과 시력 저하를 치료한다.
만청자(蔓菁子)[4냥, 씻은 것], 사태(蛇蛻)[2냥].
위의 약재에서, 먼저 도자 그릇[瓷罐]에 만청자를 담아서 〈만청자가〉 검게 될 때까지 불을 지피고, 〈그릇 안에서〉 아무 소리가 안 나게 되면 〈만청자를〉 꺼낸다. 사태를 〈그릇〉 안에 넣고 약한 불로 사태를 태워 재를 만들고, 〈사태가〉 식은 후에 곱게 가루 낸다. 매번 반 돈을 식후에 따뜻한 술에 타서 매일 3번 복용한다.

聖濟. 治肝虛風邪攻目, 目暈瞻視不明.
蔓菁子[四兩, 洗], 虵蛻[二兩].
右先用瓷罐, 盛蔓菁子, 火燒黑焦, 無聲後, 令出. 入虵蛻在內, 又輕燒虵蛻, 成灰, 候冷, 細硏. 每服半錢, 食後, 溫酒調下, 日三.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간(肝)이 허하고 혈기(血氣)[血]가 약해졌을 때 풍사(風邪)의 독기(毒氣)가 허약한 틈을 타고 깃들어 공격함에 따라, 안륜(眼輪)이 혼탁해서 사물의 흑백을 분명하게 가리지 못하여 목훈(目暈)이 발생하는 증상.
산우(山芋), 방풍(防風)[잔뿌리를 없앤 것], 세신(細辛)[움과 잎을 제거한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산수유(山茱萸), 만형실(蔓荊實)[흰 껍질을 제거한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3푼], 작약(芍藥), 승마(升麻)[〈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반 냥].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어, 매번 2돈을 따뜻한 술에 타서 복용한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治. 肝虛血弱, 風邪毒氣乘虛客搏, 眼輪昏濁, 黑白不明, 發爲目暈.
山芋, 防風[去叉], 細辛[去苗葉, 各一兩], 山茱萸, 蔓荊實[去白皮, 各三分], 芍藥, 升麻[各半兩].
右爲細末, 每服二錢, 溫酒調下.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2)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8 〈안목문(眼目門) 목훈(目暈)〉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1)
수륜(水輪):눈을 바깥쪽에서 안쪽까지 5개의 원[輪]으로 구분한 오륜(五輪) 가운데 하나로서, 수륜은 눈동자 부위에 해당한다. 수륜은 오장(五臟) 가운데 신장[腎]과 상응하는데, 신이 수(水)에 속하므로 수륜이라고 하였다. 수륜의 질병은 신장·방광과 관련된다고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