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6(卷六)
  • 감리(疳痢)
메뉴닫기 메뉴열기

감리(疳痢)


감리(疳痢
감질(疳疾)과 이질의 합병증
)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에 이르기를, “감(疳)에는 5종이 있으니 오래되면 익병(䘌病)으로 변한다. 백감(白疳), 적감(赤疳), 요감(蟯疳), 익감(䘌疳), 흑감(黑疳)이라고 한다. 대체로 장위(腸胃)가 허약하거나 식탐[嗜味]이 지나침에 따라, 비기(脾氣)가 완약(緩弱)해지고 곡기(穀氣)는 쇠미해지면서 영위(榮衛)가 허손(虛損)되어 그리되는 것이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78 〈설리문(泄痢門) 감닉(疳䘌)〉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논하였다. 장 자화(張子和
장종정(張從正)
)〈의 ≪유문사친(儒門事親)≫〉에 이르기를, “감리(疳痢)에 걸리면 음식물[水穀]이 소화되지 않고 밤낮으로 쉴 새 없이 뱃속에서 우르릉거리면서 온전한 음식[穀]을 그대로 설사한다. 계현자(啓玄子)계현자(啓玄子):
호가 계현자(啓玄子)인 왕빙(王氷)을 가리킨다. 왕빙은 9세기 당(唐) 나라의 유명한 의학자로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의 주석본을 편찬하였으며, 운기학설을 주장하였다.
는 ‘풍(風)이 장(腸)에 있다가 위로 위(胃)에 열기를 전하면,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배설된다.’라고 하였다.” 주003) 이상의 병론은 ≪유문사친(儒門事親)≫ 권4 〈감리십오(疳痢十五)〉에 나오는 문장이다. 감리(疳痢)에서는 ≪성제총록≫과 ≪유문사친≫을 연달아 인용함으로써, ≪향약제생집성방≫의 편찬자들이 여러 의서의 인용을 통해 병론(病論)을 논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라고 하였다. 마침내는 벌레가 생기는 지경에 이른다.

聖濟論曰, 疳有五種, 久變爲𧏾, 曰白, 曰赤, 曰蟯, 曰𧏾, 曰黑也. 盖腸胃虛弱, 嗜味過度, 致脾氣緩弱, 穀氣衰微, 榮衛虛損, 而致然也. 張子和曰, 病疳利, 水穀不化, 日夜無度, 腹中雷鳴, 下利完穀出. 啓玄子曰, 風在腸中, 上熏於胃, 所食不化而出. 終至於䖝𧏾之生也.

≪왕씨간이방(王氏簡易方)≫. 해백(薤白)으로 만든 떡. 감리(疳痢)를 치료한다.
해백 1줌.
위의 약재를 생〈해백〉 그대로 진흙처럼 되도록 빻아서, 멥쌀[粳米] 가루와 섞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떡[餠]을 만든다. 〈이것을〉 구워서 익혀 모두 먹으면, 불과 2~3번 만에 낫는다.

王氏簡易方. 薤白餠. 治疳痢.
薤白一握.
右生搗如泥, 以粳米粉和之, 煉蜜調作餠. 炙熟與喫, 不過三兩度, 差.

≪양씨산유방(楊氏産乳方)≫. 주004)
≪양씨산유방(楊氏産乳方)≫:
≪양씨산유집험방(楊氏産乳集驗方)≫을 가리킨다. ≪신당서(新唐書)≫에 따르면, 양귀후(楊歸厚)가 저술한 3권짜리 의서로 911개 처방이 수록되어 있다고 한다.
위중한 감리(疳痢)를 치료한다.
빻은 저백피(樗白皮)를 밀가루[麪]와 섞어서 조그만 알갱이를 만든다. 햇볕에 말렸다가 잠시 후에 다시 뒤섞기를 3차례 반복한다. 물에 넣어 익을 정도로 끓이면서 소금[塩]·식초[醋]를 첨가한다. 술을 첨가해도 괜찮다. 적당량을 자주 복용하는데, 어린이는 그 분량을 가감한다.

楊氏産乳方. 療疳痢困重.
樗白皮搗, 麪拌, 作小顆子. 日曬, 少時又拌, 凡三過. 水煮至熟, 加塩醋, 酒亦得. 頻服多少, 量兒大小.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오래된 적리(赤痢)·백리(白痢)와 감습(疳濕) 주005)
감습(疳濕):
감닉(疳䘌)과 습닉(濕䘌)을 말한다. 단 음식을 즐겨 먹거나 수습(水濕)이 몸속에 침투하는 등의 원인으로 장충(腸蟲)이 장부(臟腑)를 침식(侵蝕)하여 생기는 병증이다. 검은 피가 섞인 설사를 하거나 항문이 짓무르고 간지럽게 된다.
에 따른 온갖 질환을 치료하는 오피탕(五皮湯).
괴피(槐皮), 도피(桃皮), 저근백피(樗根白皮), 유피(柳皮), 조피(棗皮)[〈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환자 손으로 쥔 분량 외에는 잘라낸 것 1줌].
위의 약재들을 곱게 잘라서 물 2종지에 넣어 1종지가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공복으로 따뜻하게 복용한다. 낫지 않으면 다시 복용한다.

聖濟. 治久痢赤白, 疳濕諸疾, 五皮湯.
槐皮, 桃皮, 樗根白皮, 柳皮, 棗皮[各以患人手把外截, 一握].
右細剉, 用水二鍾, 煎一鍾, 去滓, 空心溫服. 未止, 再服.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오래된 이질[痢]이 감(疳)으로 변화하여 항문 주위[下部]에 악창(惡瘡)이 생기고, 오한(惡寒)과 장열(壯熱)에 시달리는 증상을 치료하는 이백탕(二白湯).
도백피(桃白皮), 괴백피(槐白皮)[〈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자른 것 1되], 고삼(苦蔘)[자른 것 5홉], 묵은 쑥[熟艾][3월 3일에 채취한 것 5홉], 대추[大棗][10매, 쪼갠 것].
위의 약재들을 물 5되에 넣어 2되 반이 될 때까지 끓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대추 1개 정도 크기의 웅담(熊膽)을 넣고 휘저어 잘 섞는다. 2되를 덜어서 대나무 대롱[竹筒]을 이용해 항문 주위에 떨어뜨리고, 나머지 〈반 되〉는 3회분으로 나누어 복용한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治. 久痢變疳, 下部生惡瘡, 惡寒壯熱, 二白湯.
桃白皮, 槐白皮[各切, 一升], 苦參[切, 五合], 熟艾[三月三日者, 五合], 大棗[十枚, 擘].
右以水五升煮, 取二升半, 去滓. 內熊膽一棗許大, 攪令勻. 取二升, 用竹筒, 灌下部, 餘分三服.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78 〈설리문(泄痢門) 감닉(疳䘌)〉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3)
이상의 병론은 ≪유문사친(儒門事親)≫ 권4 〈감리십오(疳痢十五)〉에 나오는 문장이다. 감리(疳痢)에서는 ≪성제총록≫과 ≪유문사친≫을 연달아 인용함으로써, ≪향약제생집성방≫의 편찬자들이 여러 의서의 인용을 통해 병론(病論)을 논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002)
계현자(啓玄子):호가 계현자(啓玄子)인 왕빙(王氷)을 가리킨다. 왕빙은 9세기 당(唐) 나라의 유명한 의학자로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의 주석본을 편찬하였으며, 운기학설을 주장하였다.
주004)
≪양씨산유방(楊氏産乳方)≫:≪양씨산유집험방(楊氏産乳集驗方)≫을 가리킨다. ≪신당서(新唐書)≫에 따르면, 양귀후(楊歸厚)가 저술한 3권짜리 의서로 911개 처방이 수록되어 있다고 한다.
주005)
감습(疳濕):감닉(疳䘌)과 습닉(濕䘌)을 말한다. 단 음식을 즐겨 먹거나 수습(水濕)이 몸속에 침투하는 등의 원인으로 장충(腸蟲)이 장부(臟腑)를 침식(侵蝕)하여 생기는 병증이다. 검은 피가 섞인 설사를 하거나 항문이 짓무르고 간지럽게 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