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위락법(熨烙法)
메뉴닫기 메뉴열기

위락법(熨烙法)


위락법(熨烙法
찜질과 지지는 치료법
)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눈이 붉고 붓는 증상에는 지황고(地黃膏)를 붙여서 찜질한다. 주001)
이상의 처방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13 〈안목문(眼目門) 위락법(熨烙法)〉에 나오는 문장이다. 이 처방을 포함하여 본문의 위락법 4개 처방은 ≪성제총록≫의 8개 처방 중 4개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생지황(生地黃), 좁쌀[粟米] 미음 찌꺼기[아주 신 것].
위의 약재들을 동일한 분량으로 고약처럼 완전히 간다. 얇은 비단[絹] 위에 지름 2치[寸] 정도의 사각형으로 고루 발라서, 눈에 붙여 찜질한다. 마르면 교체한다.

聖濟. 治目赤腫貼熨地黃膏.
生地黃, 粟米飮澱[極酸者].
右等分, 爛硏如膏. 勻攤 주002)
탄(攤):
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성제총록≫ 권113 〈안목문 위락법〉의 동일 기사에 따라 ‘탄(攤)’으로 판독하였다.
於薄絹上, 方圓二寸許, 貼熨目上. 乾則易之.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눈물이 나거나 고름이 나오는 증상.
마치현자(馬齒莧子), 인현자(人莧子)[〈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반 홉].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어 구리 그릇에 담아, 〈밥할 때〉 밥 위에 올려 놓고 푹 찐다. 〈이것을〉 면(綿)으로 싸서 눈초리의 고름 나오는 곳을 찜질한다. 계속해서 뜨거울 때 찜질하여 〈뜨거운 기운이〉 눈동자에도 미치도록 한다. 매번 30~50번을 찜질하면 고름이 저절로 그친다.

又治. 目淚出, 或有膿出者.
馬齒莧子, 人莧子[各半合].
右爲細末, 入銅器中, 於飯上, 蒸熟. 以綿褁, 熨大眥頭膿水出處. 仍乘熱熨之, 令透睛. 每熨三五十度, 膿水自絶.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열병(熱病) 후에 실명하였거나 아주 두꺼운 흰 예막(翳膜)[膜]이 생긴 경우를 치료하는 소침락법(燒針烙法).
예막[翳] 크기에 맞춰서, 끝이 뭉툭한 침[平頭鍼]을 고른 후 붉게 달궈서 예막 가운데를 지진다. 모름지기 가볍게 눌러 주어야 한다. 지진 후에 예막이 이미 째졌으면, 예막을 없애는 약을 조금 붙여준다.

又治. 熱病後失明, 或生白膜極厚者, 燒針烙法.
取平頭鍼可翳大小者, 燒赤, 當翳中烙之. 須輕下手. 若烙後, 翳已破, 卽少付除翳藥.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역예(逆翳)·순예(順翳) 치료법.
무릇 오장(五臟)의 허로(虛勞)로 인하여 풍열(風熱)이 위로 간(肝)에 치밀어 오른다. 위에서 아래로 생기는 것을 역예(逆翳)라고 부르고, 아래에서 위로 생기는 것을 순예(順翳)라고 부른다. 이 질환에는 마땅히 찜질하거나 지지는 치료법을 쓴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治. 逆順翳法.
凡五藏虛勞, 風熱上衝於肝. 從上生向下, 名曰逆翳, 從下生向上, 名曰順翳. 此疾宜用熨烙法.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처방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13 〈안목문(眼目門) 위락법(熨烙法)〉에 나오는 문장이다. 이 처방을 포함하여 본문의 위락법 4개 처방은 ≪성제총록≫의 8개 처방 중 4개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주002)
탄(攤):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성제총록≫ 권113 〈안목문 위락법〉의 동일 기사에 따라 ‘탄(攤)’으로 판독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