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후중생곡적(喉中生穀賊)
메뉴닫기 메뉴열기

후중생곡적(喉中生穀賊)


후중생곡적(喉中生穀賊
목구멍에 종기가 생기고 아픈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후중생곡적(喉中生穀賊)이란 목구멍에 종기가 생겨[結腫] 아프면서 음식을 삼킬 수 없고 답답한 증상이다. 이것은 밥 지을 때 잘못 들어간 벼 이삭 조각을 삼킨 데서 비롯한다. 마치 생선뼈가 목구멍에 걸려서 올라오지도 내려가지도 않는 것처럼 목구멍을 꺽꺽하게 건드린다. 여기에 풍열(風熱)이 더해지면 종기[結腫]는 없어지지 않는다. 재빨리 치료하지 못하면 죽게 된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3 〈인후문(咽喉門) 후중생곡적(喉中生穀賊)〉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喉中生穀賊者, 喉中結腫疼痛, 不通飮食, 防悶. 此由禾中有短穗, 誤作米食之. 澁搏咽喉, 如魚鯁不上不下. 風熱加之, 則結腫不消. 若不急療, 殺人.

≪직지(直指)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 곡적(穀賊)을 치료한다.
지마(脂麻)를 볶아 가루 내어, 끓는 물과 함께 조금씩 나눠 복용한다.

直指. 治穀賊.
脂麻炒爲末, 以湯點服.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곡적(穀賊)이 목구멍을 자극해서 양 옆구리·윗 턱·혀 밑에 갑자기 종기[腫]가 생기고, 음식을 삼킬 때면 답답하면서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생 백반(白礬)을 갈아 가루 내고, 종기 난 곳에 나을 때까지 조금씩 붙이는데, 침이 나오면 뱉어 낸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聖濟. 治穀賊衝咽喉, 兩脇 주002)
협(脇):
원문은 ‘협(脇)’이지만 ≪성제총록≫ 권123 〈인후문 후중생곡적〉의 동일 기사에는 ‘협(頰)’이라고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양 뺨[兩頰]”이라는 뜻이 된다.
上腭舌下暴腫, 嚥物防悶疼痛.
白礬生用硏爲末, 少少付腫處, 以差爲度, 有涎卽吐下.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3 〈인후문(咽喉門) 후중생곡적(喉中生穀賊)〉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협(脇):원문은 ‘협(脇)’이지만 ≪성제총록≫ 권123 〈인후문 후중생곡적〉의 동일 기사에는 ‘협(頰)’이라고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양 뺨[兩頰]”이라는 뜻이 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