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후비(喉痺)
메뉴닫기 메뉴열기

후비(喉痺)


후비(喉痺
목구멍이 부어서 막히는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목구멍 안쪽이 부어 막히면서 마비되고 아파서, 미음[水漿]조차 삼킬 수가 없는 증상을 가리킨다. 조금만 늦게 치료해도 죽게 된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2 〈인후문(咽喉門) 후비(喉痺)〉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謂喉裏腫塞痺痛, 水漿不得入也. 治稍緩, 殺人.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급성 후비(喉痺)를 치료한다.
생기름[生油] 1홉을 재빨리 〈목구멍에〉 들이부으면 금방 쾌유한다. 낫지 않으면 서둘러 머리를 풀어 흩뜨린 후 정수리에서 사방 1치 정도의 〈머리카락을〉 재빨리 잡아당기면 통증이 완화되며, 잠시 후 〈숨이〉 통하게 된다. 만약 다시 〈증후가〉 급박해지면, 목구멍 아래의 울대 끝부분[喉管口]에 뜸 1장을 보리쌀만하게[麥粒大] 뜬다. 〈뜸의〉 화기가 도달하면 낫게 된다. 숨이 비록 거의 끊어졌더라도, 명치가 아직 따뜻하다면 살릴 수 있다. 이 두어 가지 방법은 모두 신험(神驗)하다.

聖濟. 治急喉痺.
生油一合急灌之, 立愈. 若未差, 急解髮令散, 當頂心, 取方寸許, 急捉, 痛援之, 少頃當通. 如更急, 則喉下當喉管口, 灸一壯, 如麥粒大. 火至卽差. 氣雖似絶, 但心下暖者, 亦可救. 此數法皆神驗.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후비(喉痺)로 인해서 미음조차 삼킬 수 없는 증상.
석해(石蠏)를 구해서 찬물에 갈아 마신다. 아울러 목구멍 위에 바르면 낫는다.

又治. 喉痺水漿不入.
取石蠏, 冷水磨飮之. 兼塗喉上, 差.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싱싱한 악실(惡實)의 줄기와 잎을 갈아서 목구멍 위에 바른다. 아울러 〈악실〉 줄기 하나를 두드려서 한쪽 끝을 으깬 다음 목구멍 안에 넣어주면 낫는다.

又方. 生惡實莖葉硏, 塗喉上. 兼椎一莖, 令頭破, 納喉中, 差.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찹쌀[糯米]을 생〈찹쌀〉 그대로 갈아서 꿀에 넣어 복용한다.

又方. 生硏糯米, 入蜜, 飮之.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찹쌀[糯米] 반 되를 검게 볶아 갈아서 가루 낸 후, 물에 타서 고약을 만들어 목구멍 위에 붙인다. 한 번 더 바꾸어 주면 부은 것이 없어진다.

又方. 以糯米半升炒焦, 碾末, 水調成膏, 貼喉上. 再換, 腫消.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사간(射干)을 잘게 자른다. 매번 5돈을 물 1종지 반에 넣고 1종지가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꿀 소량을 넣어 조금씩 복용한다.

又方. 射干細剉. 每服五錢, 水一鍾半, 煎一鍾, 去滓, 入蜜少許, 旋旋服.

≪주후(肘後)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
≫. 갑작스런 후비(喉痺)를 치료한다.
황벽(黃蘗) 조각에 꿀을 발라 구워서, 입에 머금는다.

肘後. 治卒喉痺.
黃蘗片蜜炙, 含之.

〈≪주후비급방≫의〉 또 다른 처방. 사간(射干) 1쪽을 입에 머금어서 그 즙을 삼키면 낫는다.

又方. 射干一片含嚥汁, 差.

≪본조경험(本朝經驗)
본조경험방(本朝經驗方)
≫. 후비(喉痺)를 치료한다.
새로 길어온 물[新汲水] 1사발을 환자에게 계속 먹이면서 숟가락[匙]으로 목구멍을 재빨리 자극해서 〈토하게 한다. 토하는〉 물빛이 푸르게 되면, 다음으로 뭉툭한 칼로 환자의 정강이와 척추[脛脊]에서 흰 각질[白屑] 1돈 정도를 긁어 내 물에 타서 복용한다. 아직 고름이 들지 않은 상태라면 즉시 낫고, 고름이 든 상태라면 〈고름이〉 터진다. 아주 신험(神驗)하다. 〈각질을 긁어내는〉 정강이의 경우에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을 이용한다.

本朝經驗. 治喉痺.
新汲水一椀, 以病人常食, 匙急攪. 候水色靑, 次以鈍刀, 刮取病人脛脊上白屑一錢許, 和水服. 未膿卽消, 已膿卽潰. 大有神驗. 脛男左女右.

〈≪본조경험방≫의〉 또 다른 처방. 싱싱한 우슬(牛膝) 뿌리를 익히고 빻아 식초[醋]와 섞어서 볶은 후, 가는 비단[細帛]으로 싸고 끈으로 묶어, 목구멍 안의 부은 곳에 집어넣는다. 한참 뒤에 꺼내면 나쁜 침[惡涎]과 맑은 물[淸水]이 흘러나오면서 낫는다. 나쁜 침이 덜 나오면 앞의 방법을 다시 시행한다.

又方. 生牛膝根熟擣, 和醋炒, 以細帛褁, 以繩繫, 垂入喉中腫處. 良久, 引出, 則惡涎淸水流出, 愈. 若惡涎未盡, 再用前法.

〈≪본조경험방≫의〉 또 다른 처방. 적작약(赤芍藥) 뿌리에 꿀을 발라서 입에 머금는다.

又方. 赤芍藥根塗蜜, 含之.

〈≪본조경험방≫의〉 또 다른 처방. 마늘[大蒜] 1판(瓣)을 잘게 씹어서 입에 머금는다. 만약 붓기가 가득해서 씹을 수 없다면, 잘게 갈아서 입에 넣어주면 효과가 있다.

又方. 大蒜一瓣, 細嚼含口內. 若腫滿不能嚼, 則細硏納口, 效.

〈≪본조경험방≫의〉 또 다른 처방. 길경(桔梗)·사간(射干)·박하(薄荷) 동일한 분량을 곱게 갈아서,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용안육(龍眼肉)만한[龍眼大] 환(丸)을 만든다. 매번 1환을 비단[絹帛]으로 싸서 입에 머금어, 그 진액(津液)을 목구멍으로 넘기면 즉시 효과가 있다.

又方. 桔梗射干薄荷等分細末, 煉蜜丸, 如龍眼大. 每一丸, 以絹帛褁, 含化, 津液下喉, 卽效.

≪향약구급(鄕藥救急)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 후비(喉痺)를 치료하는 오언절구[五言].
숯불에 복숭아씨를 굽는데, 모름지기 연기가 끊어져선 안 된다네.
따뜻한 술 한 잔과 함께 넘기니, 만금 값으로도 전하지 마소.
오직 입을 열어 흘려 넣을 수만 있다면, 죽은 목숨이라도 다시 살아난다네.

鄕藥救急. 治喉痺五言.
炭火燒桃核, 仍須不断烟.
一鍾溫酒下, 莫把万金傳.
但能開口下, 雖死卽還生.

〈≪향약구급방≫의〉 또 다른 치료법. 후비(喉痺)로 인해서 갑자기 말을 못하는 증상.
사태피(蛇蛻皮)를 병(甁) 속에서 연기 나게 태우면서 입을 벌려 〈목구멍을〉 훈증한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治. 喉痺卒不語.
虵蛻皮甁中燒烟, 張口熏之.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2 〈인후문(咽喉門) 후비(喉痺)〉에 나오는 문장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