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
  • 주야(晝夜)
  • 저녁을 향하다[向夕]
메뉴닫기 메뉴열기

저녁을 향하다[向夕]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43ㄴ

向夕 주001)
향석(向夕)
저녁을 향하다. 이 시는 당나라 대종 대력 2년(767) 기주(夔州) 양서(瀼西)에서 지은 시라 한다.

향석
(저녁을 향하다)

畎畝孤城外 江村亂水中

받 이러믄 주002)
받이러믄
밭[田]#이럼[畝(밭이랑)]+은(보조사). 밭이랑은.
외왼 주003)
외왼
외외[孤]-+-ㄴ(관형사형 어미). 외로운. ¶아디 몯리로다   누를 爲야 됴니오 언제 외왼 로 다 바 도라가려뇨(알지 못할 것이로다. 밝은 달은 누구를 위하여 좋은 것인가. 언제 외로운 배로 다른 밤에 돌아갈 것인가?)〈두시(초) 10:28ㄱ〉.
城 밧기오 주004)
성(城) 밧기오
성(城)#[外]#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성 밖이고. 성 밖이요.
 주005)

[江]+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ㅎ[村]+(보조사). 강마을은.
어즈러운 주006)
어즈러운
어즈럽[亂]-+-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어지러운. ‘어즈럽다’가 ‘어지럽다’가 돤 것은 전설모음화이다. ¶돌히 어즈러운 해 구 氣運이 올앳고 杉木이 니  비치 머므렛도다(돌이 어지러운 땅에 구름 기운이 올라 있고, 삼나무가 파라니 햇빛이 머물러 있도다.)〈두시(초) 6:48ㄱ〉. 치위옛 고 어즈러운 픐서리예 그고 자 새 기픈 가지 놋다(추위의 꽃은 어지러운 풀 사이에 그윽하고 자는 새는 깊은 가지를 골랐구나.)〈두시(초) 11:44ㄱ〉.
믌 가온로다 주007)
믌 가온로다
물+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가온[中]#이(지정 형용사)-+-로(감탄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물 가운데로다.

【한자음】 견무고성외 강촌란수중
【언해역】 밭이랑은 외로운 성 밖이요 강마을은 어지러운 물 가운데로다.

深山催短景 喬木易高風

기픈 뫼헤 주008)
기픈 뫼헤
깊[深]-+-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뫼ㅎ[山]+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깊은 산에.
뎌  주009)
뎌 
뎌르[短]-+-ㄴ(관형사형 어미)#[日, 景]. 짧은 해.
뵈왓브니 주010)
뵈왓브니
뵈아[催]/*뵈왓[催]-+-브/(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바쁘니. ‘뵈아-’란 어간은 ‘뵈아다’와 같은 형식으로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재촉하-’란 뜻으로 ‘뵈왓-’이란 동사의 어간이 쓰이는 것은 15세기 자료에서 쉽게 확인되지 않는다. 15세기에서 17세기까지 이르는 중세어 자료에 나타나는 것은 ‘뵈왓브다’와 같은 형용사 또는 ‘뵈왓비’와 같은 부사일 뿐이다. 이들에서 ‘뵈왓-’과 같은 동사 어근이 추출될 수 있다. ‘*뵈왓-’에 별표를 한 것은 이 형식이 이론적인 어근임을 나타낸 것이다. 동사의 어간은 ‘뵈아-’란 형식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 ‘뵈왓브니’는 원문의 ‘최(催)’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래의 의미대로 ‘재촉하니’와 같이 번역했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심산최단경(深山催短景)’을 ‘깊은 산이 짧은 해 재촉하니’와 같이 번역한다고 해도 아무런 무리가 없는 것이다. 이는 깊은 산에서는 해가 금방 진다는 뜻이다. 이것을 언해자는 ‘해가 이미 짧은데 그것을 어떻게 재촉한단 말인가?’와 같이 생각한 것은 아닌가 한다. ¶다시  將軍을 뵈아 驕慢 되 차 沙場애 匹馬도 여 돌아 보내디 아니호리라(다시 나는 장군을 재촉하고 교만한 오랑캐를 쫓아, 전장에서 〈적의 한 필의〉 말도(병사들도) 돌려보내지 아니하리라.)〈두시(초) 10:30ㄱ~ㄴ〉. 므렛 고 굴을 화 보라왯고 집 짓 져비  어두믈 뵈왓비 놋다(물의 꽃은 구렁을 나누어 보드라워 있고 집 짓는 제비는 흙을 얻는 것을 바쁘게 하는구나.)〈두시(초) 8:44ㄴ〉. 이비 고 피 드려셔  뵈왓니(입이 마르고 피 드리워서(흘려서) 매우 급박하니)〈두시(초) 17:6ㄴ〉.
노 남긘 주011)
노 남긘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木]+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높은 나무는. 높은 나무에는.
노  주012)
노 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風]. 높은 바람.
부루미 주013)
부루미
불[吹]-+-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붊이. 부는 것이. ¶시내 횟돈  솘 미 기리 부니 프른 쥐 녯 디샛 서리예 숨다(시냇물 횟도는 데 솔바람이 오래 부니 푸른 쥐 옛 기와 사이에 숨는다.)〈두시(초) 6:1ㄱ〉.
쉽도다

【한자음】 심산최단경 교목이고풍
【언해역】 깊은 산에 짧은 해 바쁘니 높은 나무에는 높은 바람 부는 것이 쉽도다.

鶴下雲汀近 雞栖草屋同

鶴 구룸  주014)
구룸 
구룸[雲]#[入]-+-ㄴ(관형사형 어미). 구름 낀.
믌 주015)
믌
믈[水]+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邊]+(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가에.
료미 주016)
료미
리[下]-+-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내림이. 내리는 것이.
갓가오니 주017)
갓가오니
갓갑[近]-+-으(조음소)-+-니(연결 어미). 가까우니. ¶阿難 羅云이 부텻긔 갓갑 마 모다 아논 사미니 다가 記 得디 몯면 모 라오매 디 몯리라(아난(阿難)과 나운(羅云)이 부처님께 가까워 이미 모두 아는 사람이니 만약 예언을 얻지 못하면 모든 바람에 차지 못할 것이다.)〈월석 15:28ㄱ~ㄴ〉.
 주018)

[鷄]+(보조사). 닭은.
새지븨 주019)
새지븨
새[茅]#집[家]+의(관형격 조사). 새집의. 띠집의. ¶새지비 도혀 글 지 직니 桃源을 내 어루 졸 디로다(새집(띠집)이 도리어 글 지음 직하니, 도원(桃源)을 내 가히 찾을 것이로다.)〈두시(초) 10:13ㄱ~ㄴ〉.  門 밧긔 이셔 草菴애 머므러 자≪菴은 새지비라≫(아직도 문 밖에 있어 초암(草菴)에 머물러 자고≪암(菴)은 띠집이다.≫)〈법화 2:243ㄴ~244ㄱ〉.
기세 주020)
기세
깃[棲, 栖]+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보금자리에.
올오미 주021)
올오미
오[上]-+-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오름이. 오르는 것이. ‘오다’는 모음 어미(조음소 포함)가 올 때에는 ‘올-’로 바뀌었다.
가지로다

【한자음】 학하운정근 계서초옥동
【언해역】 학(鶴)은 구름 낀 물가에 내리는 것이 가까우니, 닭은 띠집의 보금자리에 오르는 것이 한가지로다.

琴書散明燭 長夜始堪終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거믄고와 글월왜 주022)
글월왜
글월[書]+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책이. 서적이.
 燭ㅅ브레 주023)
 촉(燭)ㅅ브레
[明]+(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촉(燭)+ㅅ(관형격 조사)#블[火]+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밝은 촛불에.
헤텻니 주024)
헤텻니
헤티[散]-+-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헤쳐 있나니. 헤쳐 있으니. ¶다딜어도 흗디 아니며 헤텨도 일티 아니  가온 괴외야 이어디 아니며 밧도 이어도 뮈디 아니리니 이 세찻 니라(들이받아도 흩어지지 않으며 헤쳐도 잃지 아니한 때 가운데 고요하여 흔들리지 아니하며 밖이 흔들려도 움직이지 아니할 것이니 이것이 세 번째 마디인 것이다.)〈몽법 43ㄱ~ㄴ〉.
긴 바 주025)
긴 바
길[長]-+-ㄴ(관형사형 어미)#밤[夜]+(대격 조사). 긴 밤을.
비르서 주026)
비르서
비로소. ¶嘗觸 곧 舌根이니 마시 어우러 비르서 알 이런로  일후믈 觸이라(상촉은 곧 설근이니, 맛이 어울려야 비로소 알므로 이런고로 또 이름을 촉이라 하였다.)〈능엄 3:99ㄴ〉.
참 직도다 주027)
참 직도다
[終]-+-아(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직[可]+-(형용사 파생 접미사)-+-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마침 직하도다. ‘참’의 선어말 어미 ‘-어’는 연결 어미 ‘-어’가 재구조화된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금서산명촉 장야시감종
【언해역】 거문고와 책이 밝은 촛불에 헤쳐 있나니 긴 밤을 비로소 마침 직하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2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향석(向夕) : 저녁을 향하다. 이 시는 당나라 대종 대력 2년(767) 기주(夔州) 양서(瀼西)에서 지은 시라 한다.
주002)
받이러믄 : 밭[田]#이럼[畝(밭이랑)]+은(보조사). 밭이랑은.
주003)
외왼 : 외외[孤]-+-ㄴ(관형사형 어미). 외로운. ¶아디 몯리로다   누를 爲야 됴니오 언제 외왼 로 다 바 도라가려뇨(알지 못할 것이로다. 밝은 달은 누구를 위하여 좋은 것인가. 언제 외로운 배로 다른 밤에 돌아갈 것인가?)〈두시(초) 10:28ㄱ〉.
주004)
성(城) 밧기오 : 성(城)#[外]#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성 밖이고. 성 밖이요.
주005)
 : [江]+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ㅎ[村]+(보조사). 강마을은.
주006)
어즈러운 : 어즈럽[亂]-+-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어지러운. ‘어즈럽다’가 ‘어지럽다’가 돤 것은 전설모음화이다. ¶돌히 어즈러운 해 구 氣運이 올앳고 杉木이 니  비치 머므렛도다(돌이 어지러운 땅에 구름 기운이 올라 있고, 삼나무가 파라니 햇빛이 머물러 있도다.)〈두시(초) 6:48ㄱ〉. 치위옛 고 어즈러운 픐서리예 그고 자 새 기픈 가지 놋다(추위의 꽃은 어지러운 풀 사이에 그윽하고 자는 새는 깊은 가지를 골랐구나.)〈두시(초) 11:44ㄱ〉.
주007)
믌 가온로다 : 물+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가온[中]#이(지정 형용사)-+-로(감탄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물 가운데로다.
주008)
기픈 뫼헤 : 깊[深]-+-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뫼ㅎ[山]+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깊은 산에.
주009)
뎌  : 뎌르[短]-+-ㄴ(관형사형 어미)#[日, 景]. 짧은 해.
주010)
뵈왓브니 : 뵈아[催]/*뵈왓[催]-+-브/(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바쁘니. ‘뵈아-’란 어간은 ‘뵈아다’와 같은 형식으로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재촉하-’란 뜻으로 ‘뵈왓-’이란 동사의 어간이 쓰이는 것은 15세기 자료에서 쉽게 확인되지 않는다. 15세기에서 17세기까지 이르는 중세어 자료에 나타나는 것은 ‘뵈왓브다’와 같은 형용사 또는 ‘뵈왓비’와 같은 부사일 뿐이다. 이들에서 ‘뵈왓-’과 같은 동사 어근이 추출될 수 있다. ‘*뵈왓-’에 별표를 한 것은 이 형식이 이론적인 어근임을 나타낸 것이다. 동사의 어간은 ‘뵈아-’란 형식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 ‘뵈왓브니’는 원문의 ‘최(催)’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래의 의미대로 ‘재촉하니’와 같이 번역했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심산최단경(深山催短景)’을 ‘깊은 산이 짧은 해 재촉하니’와 같이 번역한다고 해도 아무런 무리가 없는 것이다. 이는 깊은 산에서는 해가 금방 진다는 뜻이다. 이것을 언해자는 ‘해가 이미 짧은데 그것을 어떻게 재촉한단 말인가?’와 같이 생각한 것은 아닌가 한다. ¶다시  將軍을 뵈아 驕慢 되 차 沙場애 匹馬도 여 돌아 보내디 아니호리라(다시 나는 장군을 재촉하고 교만한 오랑캐를 쫓아, 전장에서 〈적의 한 필의〉 말도(병사들도) 돌려보내지 아니하리라.)〈두시(초) 10:30ㄱ~ㄴ〉. 므렛 고 굴을 화 보라왯고 집 짓 져비  어두믈 뵈왓비 놋다(물의 꽃은 구렁을 나누어 보드라워 있고 집 짓는 제비는 흙을 얻는 것을 바쁘게 하는구나.)〈두시(초) 8:44ㄴ〉. 이비 고 피 드려셔  뵈왓니(입이 마르고 피 드리워서(흘려서) 매우 급박하니)〈두시(초) 17:6ㄴ〉.
주011)
노 남긘 :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木]+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높은 나무는. 높은 나무에는.
주012)
노  :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風]. 높은 바람.
주013)
부루미 : 불[吹]-+-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붊이. 부는 것이. ¶시내 횟돈  솘 미 기리 부니 프른 쥐 녯 디샛 서리예 숨다(시냇물 횟도는 데 솔바람이 오래 부니 푸른 쥐 옛 기와 사이에 숨는다.)〈두시(초) 6:1ㄱ〉.
주014)
구룸  : 구룸[雲]#[入]-+-ㄴ(관형사형 어미). 구름 낀.
주015)
믌 : 믈[水]+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邊]+(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가에.
주016)
료미 : 리[下]-+-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내림이. 내리는 것이.
주017)
갓가오니 : 갓갑[近]-+-으(조음소)-+-니(연결 어미). 가까우니. ¶阿難 羅云이 부텻긔 갓갑 마 모다 아논 사미니 다가 記 得디 몯면 모 라오매 디 몯리라(아난(阿難)과 나운(羅云)이 부처님께 가까워 이미 모두 아는 사람이니 만약 예언을 얻지 못하면 모든 바람에 차지 못할 것이다.)〈월석 15:28ㄱ~ㄴ〉.
주018)
 : [鷄]+(보조사). 닭은.
주019)
새지븨 : 새[茅]#집[家]+의(관형격 조사). 새집의. 띠집의. ¶새지비 도혀 글 지 직니 桃源을 내 어루 졸 디로다(새집(띠집)이 도리어 글 지음 직하니, 도원(桃源)을 내 가히 찾을 것이로다.)〈두시(초) 10:13ㄱ~ㄴ〉.  門 밧긔 이셔 草菴애 머므러 자≪菴은 새지비라≫(아직도 문 밖에 있어 초암(草菴)에 머물러 자고≪암(菴)은 띠집이다.≫)〈법화 2:243ㄴ~244ㄱ〉.
주020)
기세 : 깃[棲, 栖]+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보금자리에.
주021)
올오미 : 오[上]-+-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오름이. 오르는 것이. ‘오다’는 모음 어미(조음소 포함)가 올 때에는 ‘올-’로 바뀌었다.
주022)
글월왜 : 글월[書]+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책이. 서적이.
주023)
 촉(燭)ㅅ브레 : [明]+(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촉(燭)+ㅅ(관형격 조사)#블[火]+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밝은 촛불에.
주024)
헤텻니 : 헤티[散]-+-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헤쳐 있나니. 헤쳐 있으니. ¶다딜어도 흗디 아니며 헤텨도 일티 아니  가온 괴외야 이어디 아니며 밧도 이어도 뮈디 아니리니 이 세찻 니라(들이받아도 흩어지지 않으며 헤쳐도 잃지 아니한 때 가운데 고요하여 흔들리지 아니하며 밖이 흔들려도 움직이지 아니할 것이니 이것이 세 번째 마디인 것이다.)〈몽법 43ㄱ~ㄴ〉.
주025)
긴 바 : 길[長]-+-ㄴ(관형사형 어미)#밤[夜]+(대격 조사). 긴 밤을.
주026)
비르서 : 비로소. ¶嘗觸 곧 舌根이니 마시 어우러 비르서 알 이런로  일후믈 觸이라(상촉은 곧 설근이니, 맛이 어울려야 비로소 알므로 이런고로 또 이름을 촉이라 하였다.)〈능엄 3:99ㄴ〉.
주027)
참 직도다 : [終]-+-아(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직[可]+-(형용사 파생 접미사)-+-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마침 직하도다. ‘참’의 선어말 어미 ‘-어’는 연결 어미 ‘-어’가 재구조화된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