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
  • 주야(晝夜)
  • 해 질 무렵, 저녁[晩]
메뉴닫기 메뉴열기

해 질 무렵, 저녁[晩]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42ㄱ

주001)
만(晩)
해 질 무렵. 저녁. 당나라 대종 대력(大曆) 원년(766) 기주(夔州)에서 지은 시라 한다. 대력 2년(767)에 기주(夔州) 동둔(東屯)에서 지었다는 설도 있다.

(해 질 무렵, 저녁)

杖藜尋晩巷 炙背近墻暄

도랏막대 주002)
도랏막대
도랏[藜(명아주)]#막대[杖(지팡이)]. 명아주 지팡이.
디퍼 주003)
디퍼
딮[杖]-+-어(연결 어미). 짚어.
나죗 주004)
나죗
나죄[夕, 晩]+(관형격 조사). 저녁의. ‘ㅅ’ 앞에 부사격 조사 ‘’가 있는 것인지 확실치 않다. ‘나좃’과 같은 형태도 나타나므로, 여기에 굳이 부사격 조사 ‘’를 상정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몃   프리 이울어니오 오 나래 나좃 길히 窮迫얘라 (몇 해를 봄풀이 말라 시든 것인가? 오늘날에 저녁 길이 궁박하구나.)〈두시 5:43b〉.
굴을 주005)
굴을
굴[巷]+을(대격 조사). 마을거리를.
고 주006)
고
[尋]-+-고(연결 어미). 찾고.
어릴 주007)
어릴
어리[背]+ㄹ(대격 조사). 등어리를.
노라 주008)
노라
[炙(고기굽다)]-+-노라(연결 어미). 쬐느라. 쬐느라고. ¶머릴 튜니 사뫼 기울오 어리 벼틔 요니 竹書ㅣ 빗나도다(머리를 떨치니 사모(紗帽)가 기울고, 등어리를 볕에 쬐니 죽간으로 된 책이 빛나도다.)〈두시(초) 10:31ㄴ~32ㄱ〉.
다맷 주009)
다맷
담[墻]+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담의.
더운 비츨 주010)
비츨
[日]+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빛[光]+을(대격 조사). 햇빛을.
갓가이 주011)
갓가이
갓갑[近]-+-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까이.
호라 주012)
호라
[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하노라.

【한자음】 장려심만항 적배근장훤
【언해역】 명아주 지팡이 짚어 저녁 마을거리를 찾고(찾아가고) 등어리를 쬐느라고 담의 더운 햇빛을 가까이하노라.

人見幽居僻 吾知養拙尊

幽深  주013)
유심(幽深) 
유심(幽深)+-(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유심한 데. 유심한 곳에. 깊고 그윽한 데. 깊고 그윽한 곳에.
사 주014)
사
살[居]-+-(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사는. ¶ 요니 가 쥰 니 니 사 히 멀오 긴 길히 외옛도다(띠를 띠니 가시를 진 듯하니, 이어 사는 곳이 멀고 긴 길이 되어 있도다.)〈두시(초) 10:21ㄴ~ 22ㄱ〉.
偏僻호 주015)
편벽(偏僻)호
편벽(偏僻)+-(형용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편벽함을. 한쪽으로 치우침을.
사미 보니 疎拙 주016)
소졸(疎拙)
소졸(疎拙)+-(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소졸한. 꼼꼼하지 못하고 어설픈. 단단하지 못하고 부실한. 부실한.
養호미 주017)
양(養)호미
양(養)+-(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보양하는 것이. 보하는 것이.
尊호 주018)
존(尊)호
존(尊)+-(형용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존함을. 중요함을.
나 아노라

【한자음】 인견유거벽 오지양졸존
【언해역】 깊고 그윽한 데 사는 편벽함을 사람이 보나니 부실한 몸 보양하는 것이 중요함을 나는 아노라.

朝廷問府主 耕稼學山村

朝廷엣 일란 주019)
조정(朝廷)엣 일란
조정(朝廷)+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일[事]+란(보조사). 조정의 일일랑.
府主ㅅ긔 주020)
부주(府主)ㅅ긔
부주(府主)+ㅅ긔(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부주께. 부주(府主)는 중국 당대에 주(州)나 군(郡)의 장관을 가리켰다.
묻고 녀름지란 주021)
녀름지란
녀름[農, 稼(농사, 심다)]#[作]-+-이(명사 파생 접미사)+란(보조사). 농사짓기란. 농사짓기는. 농사짓는 것은. ¶슬프다 百姓이 녀름짓 거슬 可히 救티 몯리로다(슬프다 백성이 농사짓는 것을 가히 구하지 못할 것이로다.)〈두시(초) 11:26ㄱ〉.
山村ㅅ 사게 주022)
사게
사[人]+게(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람에게.
호노라 주023)
호노라
호[學]-+-(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배우노라.

【한자음】 조정문부주 경가학산촌
【언해역】 조정의 일일랑 부주(府主)께 묻고 농사짓는 일일랑 산촌 사람에게 배우노라.

歸翼飛棲定 寒燈亦閉門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도라가 주024)
도라가
돌[回]-+-아(연결 어미)#가[去]-+-(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돌아가는.
새 주025)
새
새[鳥]+(관형격 조사). 새의. 새가. ‘새(새의)’는 이른바 주어적 속격(관형격)을 보이는 것으로, ‘깃호미(깃드는 것이)’의 주체를 나타낸다.
라가 주026)
라가
[飛]-+-아(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 날아가. 날아가서.
깃호미 주027)
깃호미
깃[羽]+-(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깃듦이. 깃드는 것이. ¶ 우흿 져고맛 지븬 翡翠ㅣ 깃얫고 苑邊ㅅ 노 무더멘 麒麟이 누엇도다(강 위의 조고만 집에는 푸른 기운이 깃들어 있고 동산 주변의 높은 무덤에는 기린(麒麟)이 누워 있도다.)〈두시(초) 11:19ㄴ〉.
一定커 주028)
일정(一定)커
일정(一定)+-(형용사 파생 접미사)-+-거늘(연결 어미). 일정하거늘.
주029)
[寒]-+-ㄴ(관형사형 어미). 찬.
븘비체 주030)
븘비체
블[火]+ㅅ(관형격 조사)#빛[光]+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불빛에.
 門 다도라 주031)
다도라
닫[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닫노라. ¶게을우믈 이긔디 몯야  나 아니야 아 블러 나날이 셔셔 柴門을 다도라(게으름을 이기지 못하여 마을에 나가질 아니하여, 아이를 불러 나날이 서서 사립문을 닫는구나.)〈두시(초) 10:8ㄱ〉.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귀익비서정 한등역폐문
【언해역】 돌아가는 새가 날아가서 깃드는 것이 일정(一定)하거늘 찬 불빛에 또 문을 닫노라.
Ⓒ 역자 | 임홍빈 / 2012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만(晩) : 해 질 무렵. 저녁. 당나라 대종 대력(大曆) 원년(766) 기주(夔州)에서 지은 시라 한다. 대력 2년(767)에 기주(夔州) 동둔(東屯)에서 지었다는 설도 있다.
주002)
도랏막대 : 도랏[藜(명아주)]#막대[杖(지팡이)]. 명아주 지팡이.
주003)
디퍼 : 딮[杖]-+-어(연결 어미). 짚어.
주004)
나죗 : 나죄[夕, 晩]+(관형격 조사). 저녁의. ‘ㅅ’ 앞에 부사격 조사 ‘’가 있는 것인지 확실치 않다. ‘나좃’과 같은 형태도 나타나므로, 여기에 굳이 부사격 조사 ‘’를 상정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몃   프리 이울어니오 오 나래 나좃 길히 窮迫얘라 (몇 해를 봄풀이 말라 시든 것인가? 오늘날에 저녁 길이 궁박하구나.)〈두시 5:43b〉.
주005)
굴을 : 굴[巷]+을(대격 조사). 마을거리를.
주006)
고 : [尋]-+-고(연결 어미). 찾고.
주007)
어릴 : 어리[背]+ㄹ(대격 조사). 등어리를.
주008)
노라 : [炙(고기굽다)]-+-노라(연결 어미). 쬐느라. 쬐느라고. ¶머릴 튜니 사뫼 기울오 어리 벼틔 요니 竹書ㅣ 빗나도다(머리를 떨치니 사모(紗帽)가 기울고, 등어리를 볕에 쬐니 죽간으로 된 책이 빛나도다.)〈두시(초) 10:31ㄴ~32ㄱ〉.
주009)
다맷 : 담[墻]+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담의.
주010)
비츨 : [日]+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빛[光]+을(대격 조사). 햇빛을.
주011)
갓가이 : 갓갑[近]-+-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까이.
주012)
호라 : [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하노라.
주013)
유심(幽深)  : 유심(幽深)+-(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유심한 데. 유심한 곳에. 깊고 그윽한 데. 깊고 그윽한 곳에.
주014)
사 : 살[居]-+-(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사는. ¶ 요니 가 쥰 니 니 사 히 멀오 긴 길히 외옛도다(띠를 띠니 가시를 진 듯하니, 이어 사는 곳이 멀고 긴 길이 되어 있도다.)〈두시(초) 10:21ㄴ~ 22ㄱ〉.
주015)
편벽(偏僻)호 : 편벽(偏僻)+-(형용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편벽함을. 한쪽으로 치우침을.
주016)
소졸(疎拙) : 소졸(疎拙)+-(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소졸한. 꼼꼼하지 못하고 어설픈. 단단하지 못하고 부실한. 부실한.
주017)
양(養)호미 : 양(養)+-(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보양하는 것이. 보하는 것이.
주018)
존(尊)호 : 존(尊)+-(형용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존함을. 중요함을.
주019)
조정(朝廷)엣 일란 : 조정(朝廷)+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일[事]+란(보조사). 조정의 일일랑.
주020)
부주(府主)ㅅ긔 : 부주(府主)+ㅅ긔(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부주께. 부주(府主)는 중국 당대에 주(州)나 군(郡)의 장관을 가리켰다.
주021)
녀름지란 : 녀름[農, 稼(농사, 심다)]#[作]-+-이(명사 파생 접미사)+란(보조사). 농사짓기란. 농사짓기는. 농사짓는 것은. ¶슬프다 百姓이 녀름짓 거슬 可히 救티 몯리로다(슬프다 백성이 농사짓는 것을 가히 구하지 못할 것이로다.)〈두시(초) 11:26ㄱ〉.
주022)
사게 : 사[人]+게(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람에게.
주023)
호노라 : 호[學]-+-(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배우노라.
주024)
도라가 : 돌[回]-+-아(연결 어미)#가[去]-+-(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돌아가는.
주025)
새 : 새[鳥]+(관형격 조사). 새의. 새가. ‘새(새의)’는 이른바 주어적 속격(관형격)을 보이는 것으로, ‘깃호미(깃드는 것이)’의 주체를 나타낸다.
주026)
라가 : [飛]-+-아(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 날아가. 날아가서.
주027)
깃호미 : 깃[羽]+-(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깃듦이. 깃드는 것이. ¶ 우흿 져고맛 지븬 翡翠ㅣ 깃얫고 苑邊ㅅ 노 무더멘 麒麟이 누엇도다(강 위의 조고만 집에는 푸른 기운이 깃들어 있고 동산 주변의 높은 무덤에는 기린(麒麟)이 누워 있도다.)〈두시(초) 11:19ㄴ〉.
주028)
일정(一定)커 : 일정(一定)+-(형용사 파생 접미사)-+-거늘(연결 어미). 일정하거늘.
주029)
 : [寒]-+-ㄴ(관형사형 어미). 찬.
주030)
븘비체 : 블[火]+ㅅ(관형격 조사)#빛[光]+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불빛에.
주031)
다도라 : 닫[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닫노라. ¶게을우믈 이긔디 몯야  나 아니야 아 블러 나날이 셔셔 柴門을 다도라(게으름을 이기지 못하여 마을에 나가질 아니하여, 아이를 불러 나날이 서서 사립문을 닫는구나.)〈두시(초) 10:8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