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
  • 절서(節序)
  • 납일(臘日)
메뉴닫기 메뉴열기

납일(臘日)


臘日 주001)
납일(臘日)
중국에서는 매년 음력 12월 초 8일을 말한다. 속칭 납팔절(臘八節) 또는 규납팔(叫臘八)이라고도 한다. 사람들은 이날 하루 납팔죽(臘八粥)을 외치고 납팔죽을 만든다. 중국의 오래된 명절 가운데 하나이다. 이 날을 경축하기 위하여 많은 문학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민간이나 조정에서 조상이나 종묘 또는 사직에 제사 지내던 날로, 처음에는 동지 뒤의 셋째 술일(戌日)에 제사를 지냈으나, 조선조 태조 이후에는 동지 뒤 셋째 미일(未日)에 제사를 지냈다. 이 시에서 나타난 ‘집에 돌아오는 것을 자신전(紫宸殿)의 조회로 처음 흩어지는구나[還家初散紫宸朝]’와 같은 구절로 보아, 당나라 숙종 지덕(至德) 2년(757) 장안에 돌아와 지은 것으로 본다.

납일

臘日常年暖尙遙 今年臘日凍全消

臘日이 주002)
납일(臘日)이
납일(臘日)+이(보조사). 납일이. 여기서 ‘납일이’의 ‘이’는 주격 조사라기보다는 주제 표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머더니’가 서술하는 것은 ‘더위’이다.
常녯 주003)
상(常)녯
상(常)녜+ㅅ(관형격 조사). 상례의. 보통 있는 일의. ‘상(常)녜’가 여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자와 한글이 섞여 표기된 예는 중세어 문헌에서 권11의 36ㄴ의 예와 권 19의 28ㄱ의 예 둘뿐이다. 다른 데서는 ‘샹녜’와 같이 모두 한글로 적히거나 ‘常例’와 같이 모두 한자로 적히거나 하였다. ≪두시언해≫의 표기에 나타난 특이한 예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옌 주004)
옌
[年]+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해에는.
더위 오히려 머더니 주005)
머더니
멀[遠, 遙]-+-더(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멀더니. 납일을 기준으로 볼 때 더위가 일찍 끝난 시점이 먼 것이다. ‘더위가 일찍 끝났는데’의 의미이다.
올 주006)
올
올[今年]+ㅅ(관형격 조사). 올해의.
臘日엔 주007)
얼[凍]-+-ㄴ(관형사형 어미). 언.
거시 다 녹다 주008)
녹다
녹[融]-+-(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녹는다.

【한자음】 납일상년난상요 금년납일동전소
【언해역】 납일(臘日)이 보통 해에는 더위 오히려 멀더니 올해의 납일에는 언 것이 다 녹는다.

侵陵雪色還萱草 漏洩春光有柳條

비츨 주009)
비츨
눈[雪]+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빛[광, 색]+을(대격 조사). 눈의 빛을.
侵陵야 주010)
침릉(侵陵)야
침릉(侵陵)+-(동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아(연결 어미). 침해하여 욕을 보여. 무시하여 모욕을 주어. 대수롭지 않게 여겨. 무시하여.
萱草 주011)
훤초(萱草)
백합과의 훤초속 식물. 학명은 Hemerocallis fulva이다. 중국에서는 별명이 많아, 금침채(金针菜), 황화채(黄花菜), 망우초(忘忧草), 의남초(宜男草), 요수(疗愁), 녹전(鹿箭) 등과 같은 이름으로도 불린다고 한다. 백합(나리)과 같이 보면 될 것이다. 잎은 촘촘히 어긋나고 피침 모양이다. 꽃은 크고 꽃부리는 6개로 갈라지는데 향기가 좋아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한다. 알뿌리로 번식하고 비늘줄기는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한다. 70~100여 종이 온대에 분포한다.
ㅣ 도로 나니 비츨 주012)
비츨
봄[春]+ㅅ(관형격 조사)#빛[光]+을(대격 조사). 봄의 빛을.
싀여 딜 주013)
싀여 딜
싀[漏洩]-+-어(연결 어미)#디[使落]-+-ㅭ(미래 관형사형 어미). 새어 없어지게 할. 잦아 없어지게 할. 무색하게 할. ‘디다’는 중세어에서 상성을 가지고 사동사로 쓰이었다. ¶節鉞을 맛디며 壇場 실 들 듣노니 믈어딘 網紀와 싀여디 그므를 다 다료 期望노라(절부월(節斧鉞, 군사적 통수권을 위임할 때 주는 신임표의 한 가지)을 맡기며 단장(壇場) 쌓으실 뜻을 듣자오니 무너진 기강과 새어 떨어지는 그물을 다 다스리는 것을 기대하고 바라노라.)〈두시(초) 19:21ㄴ〉.
거슨 주014)
거슨
것(의존 명사)+은(보조사). 것은.
버듯가지 주015)
버듯가지
버들[柳]+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가지[枝, 條]. 버들가지. ‘버들’의 받침 ‘ㄹ’이 ‘ㅅ’ 앞에서 탈락하고 그 자리에 ‘ㅅ’이 들어선 것이다.
잇도다

【한자음】 침릉설색환훤초 루설춘광유류조
【언해역】 눈의 빛을 무시하여 훤초(萱草)가 도로 나나니 봄빛을 새어 없어지게(무색하게) 할 것은 버들가지 있도다.

縱酒欲謀良夜醉 還家初散紫宸朝

수를 주016)
수를
술[酒]+을(대격 조사). 술을.
 주017)

매우. 많이.  술 머거 사미 모다 료 오래 리고 朝會호 게을이 호니 眞實로 世로 다야 어그릇도다(아주 많이 술 먹어 사람이 모두 버리는 것을 오래 버리고(오래 전에 괘념하지 않고) 조회하는 것을 게을리하니 진실로 세상과 함께하여 어그러지는도다.)〈두시(초) 11:20ㄴ〉.
머거셔 주018)
머거셔
먹[食, 飮]-+-어(연결 어미)+셔(보조사). 먹어서. 먹고서.
됴 주019)
됴
둏[良]-+-(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좋은.
바 주020)
바
밤[夜]+(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밤에.
醉호 주021)
취(醉)호
취(醉)+-(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취함을. 취하는 것을.
고져 주022)
고져
[謀]+-(동사 파생 접미사)-+-고져(연결 어미). 꾀하고자.
노니 지븨 주023)
지븨
집[家]+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집에.
도라오 주024)
도라오
돌[回]-+-아(연결 어미)#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보조사). 돌아옴을. 돌아오는 것을. ‘’을 보조사로 본 것은 이 성분을 목적어로 요구하는 동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것은 문제 제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주제 표지의 하나로 해석하는 것이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37ㄱ

宸殿
주025)
자신전(紫宸殿)
궁전의 이름으로, 임금이 있는 곳을 말한다. 당나라 송나라 때에는 여러 신하들과 외국의 사절들을 접견하는 곳이었다. 대명궁(大明宮) 안에 있다.
주026)
자신전(紫宸殿)엣
자신전(紫宸殿)+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자신전의.
朝會로 주027)
조회(朝會)로
조회(朝會)+로(출격 조사, 부사격 조사). 조회로부터. ‘조회로셔’라고 해야 출격(출발점)의 의미가 분명해지는 것이나, 당시에는 ‘로’만으로도 ‘로부터’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처 주028)
처
처음.
흐로라 주029)
흐로라
흗[散]-+-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흩어지는구나. ¶陰氣 陳倉ㅅ 北녀긔 흐러디고 갠 비츤 太白ㅅ 묏 그테 우렷도다 (음기는 진창 북녘에 흩어지고 갠 빛은 태백산 끝에 우려 있도다.)〈두시 20:16ㄱ〉.

【한자음】 종주욕모량야취 환가초산자신조
【언해역】 술을 많이 먹고서 좋은 밤에 취하는 것을 꾀하고자 하나니, 집에 돌아오는 것을 자신전(紫宸殿)의 조회로부터 처음 흩어지는구나.

口脂面藥隨恩澤 翠管銀甖下九霄【唐制예 臘日에 賜口脂面藥더니 管甖 所盛之器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이베 주030)
이베
입[口]+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입에.
 주031)

[塗(도, 바르다)]-+-(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바르는. ¶이 네 가지 약을 허 처 가과 손발바과 나[니]마 우콰 고과 고아래과 귓구무 겯과 야 라(이 네 가지 약을 찧어 쳐 가슴과 손발바닥과 이마위와 코와 코아래와 귓구멍 곁과 그렇게 해서바르라.)〈온역 15ㄴ〉.
脂와 주032)
지(脂)와
지(脂)+와(접속 조사). 연지(臙脂)와.
 롤 藥이 주033)
 롤 약(藥)이
[面]+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塗(도, 바르다)]-+-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ㅭ(미래 관형사형 어미)#약(藥)+이(주격 조사). 얼굴에 바를 약이.
님금 恩澤 조차 주034)
님금 은택(恩澤) 조차
임금 은혜와 덕택을 좇아. 임금 은혜와 덕택에 따라.
프른 주035)
프른
프르[靑, 翠]-+-ㄴ(관형사형 어미). 푸른.
대과 銀甖 주036)
은앵(銀甖)
은으로 만든 단지.
하로셔 주037)
하로셔
하[天]+로셔(출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하늘로부터.
려오다 주038)
려오다
리[下]-+-어(연결 어미)#오[來]-+-(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내려온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구지면약수은택 취관은앵하구소【당제(唐制)에 납일(臘日)에 구지(口脂)와 면약(面藥)을 하사하더니 관(管)과 앵(甖)은 성대하였던 바의 기구다.】
【언해역】 입에 바르는 연지(胭脂)와 얼굴에 바를 약이 임금 은택을 조차
(은택에 따라)
푸른 대롱과 은앵
(銀甖, 은으로 만든 단지)
이 하늘로부터 내려온다.
Ⓒ 역자 | 임홍빈 / 2012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납일(臘日) : 중국에서는 매년 음력 12월 초 8일을 말한다. 속칭 납팔절(臘八節) 또는 규납팔(叫臘八)이라고도 한다. 사람들은 이날 하루 납팔죽(臘八粥)을 외치고 납팔죽을 만든다. 중국의 오래된 명절 가운데 하나이다. 이 날을 경축하기 위하여 많은 문학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민간이나 조정에서 조상이나 종묘 또는 사직에 제사 지내던 날로, 처음에는 동지 뒤의 셋째 술일(戌日)에 제사를 지냈으나, 조선조 태조 이후에는 동지 뒤 셋째 미일(未日)에 제사를 지냈다. 이 시에서 나타난 ‘집에 돌아오는 것을 자신전(紫宸殿)의 조회로 처음 흩어지는구나[還家初散紫宸朝]’와 같은 구절로 보아, 당나라 숙종 지덕(至德) 2년(757) 장안에 돌아와 지은 것으로 본다.
주002)
납일(臘日)이 : 납일(臘日)+이(보조사). 납일이. 여기서 ‘납일이’의 ‘이’는 주격 조사라기보다는 주제 표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머더니’가 서술하는 것은 ‘더위’이다.
주003)
상(常)녯 : 상(常)녜+ㅅ(관형격 조사). 상례의. 보통 있는 일의. ‘상(常)녜’가 여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자와 한글이 섞여 표기된 예는 중세어 문헌에서 권11의 36ㄴ의 예와 권 19의 28ㄱ의 예 둘뿐이다. 다른 데서는 ‘샹녜’와 같이 모두 한글로 적히거나 ‘常例’와 같이 모두 한자로 적히거나 하였다. ≪두시언해≫의 표기에 나타난 특이한 예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주004)
옌 : [年]+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해에는.
주005)
머더니 : 멀[遠, 遙]-+-더(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멀더니. 납일을 기준으로 볼 때 더위가 일찍 끝난 시점이 먼 것이다. ‘더위가 일찍 끝났는데’의 의미이다.
주006)
올 : 올[今年]+ㅅ(관형격 조사). 올해의.
주007)
언 : 얼[凍]-+-ㄴ(관형사형 어미). 언.
주008)
녹다 : 녹[融]-+-(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녹는다.
주009)
비츨 : 눈[雪]+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빛[광, 색]+을(대격 조사). 눈의 빛을.
주010)
침릉(侵陵)야 : 침릉(侵陵)+-(동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아(연결 어미). 침해하여 욕을 보여. 무시하여 모욕을 주어. 대수롭지 않게 여겨. 무시하여.
주011)
훤초(萱草) : 백합과의 훤초속 식물. 학명은 Hemerocallis fulva이다. 중국에서는 별명이 많아, 금침채(金针菜), 황화채(黄花菜), 망우초(忘忧草), 의남초(宜男草), 요수(疗愁), 녹전(鹿箭) 등과 같은 이름으로도 불린다고 한다. 백합(나리)과 같이 보면 될 것이다. 잎은 촘촘히 어긋나고 피침 모양이다. 꽃은 크고 꽃부리는 6개로 갈라지는데 향기가 좋아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한다. 알뿌리로 번식하고 비늘줄기는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한다. 70~100여 종이 온대에 분포한다.
주012)
비츨 : 봄[春]+ㅅ(관형격 조사)#빛[光]+을(대격 조사). 봄의 빛을.
주013)
싀여 딜 : 싀[漏洩]-+-어(연결 어미)#디[使落]-+-ㅭ(미래 관형사형 어미). 새어 없어지게 할. 잦아 없어지게 할. 무색하게 할. ‘디다’는 중세어에서 상성을 가지고 사동사로 쓰이었다. ¶節鉞을 맛디며 壇場 실 들 듣노니 믈어딘 網紀와 싀여디 그므를 다 다료 期望노라(절부월(節斧鉞, 군사적 통수권을 위임할 때 주는 신임표의 한 가지)을 맡기며 단장(壇場) 쌓으실 뜻을 듣자오니 무너진 기강과 새어 떨어지는 그물을 다 다스리는 것을 기대하고 바라노라.)〈두시(초) 19:21ㄴ〉.
주014)
거슨 : 것(의존 명사)+은(보조사). 것은.
주015)
버듯가지 : 버들[柳]+ㅅ(관형격 조사, 사이시옷)#가지[枝, 條]. 버들가지. ‘버들’의 받침 ‘ㄹ’이 ‘ㅅ’ 앞에서 탈락하고 그 자리에 ‘ㅅ’이 들어선 것이다.
주016)
수를 : 술[酒]+을(대격 조사). 술을.
주017)
 : 매우. 많이.  술 머거 사미 모다 료 오래 리고 朝會호 게을이 호니 眞實로 世로 다야 어그릇도다(아주 많이 술 먹어 사람이 모두 버리는 것을 오래 버리고(오래 전에 괘념하지 않고) 조회하는 것을 게을리하니 진실로 세상과 함께하여 어그러지는도다.)〈두시(초) 11:20ㄴ〉.
주018)
머거셔 : 먹[食, 飮]-+-어(연결 어미)+셔(보조사). 먹어서. 먹고서.
주019)
됴 : 둏[良]-+-(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좋은.
주020)
바 : 밤[夜]+(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밤에.
주021)
취(醉)호 : 취(醉)+-(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취함을. 취하는 것을.
주022)
고져 : [謀]+-(동사 파생 접미사)-+-고져(연결 어미). 꾀하고자.
주023)
지븨 : 집[家]+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집에.
주024)
도라오 : 돌[回]-+-아(연결 어미)#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보조사). 돌아옴을. 돌아오는 것을. ‘’을 보조사로 본 것은 이 성분을 목적어로 요구하는 동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것은 문제 제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주제 표지의 하나로 해석하는 것이다.
주025)
자신전(紫宸殿) : 궁전의 이름으로, 임금이 있는 곳을 말한다. 당나라 송나라 때에는 여러 신하들과 외국의 사절들을 접견하는 곳이었다. 대명궁(大明宮) 안에 있다.
주026)
자신전(紫宸殿)엣 : 자신전(紫宸殿)+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자신전의.
주027)
조회(朝會)로 : 조회(朝會)+로(출격 조사, 부사격 조사). 조회로부터. ‘조회로셔’라고 해야 출격(출발점)의 의미가 분명해지는 것이나, 당시에는 ‘로’만으로도 ‘로부터’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주028)
처 : 처음.
주029)
흐로라 : 흗[散]-+-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흩어지는구나. ¶陰氣 陳倉ㅅ 北녀긔 흐러디고 갠 비츤 太白ㅅ 묏 그테 우렷도다 (음기는 진창 북녘에 흩어지고 갠 빛은 태백산 끝에 우려 있도다.)〈두시 20:16ㄱ〉.
주030)
이베 : 입[口]+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입에.
주031)
 : [塗(도, 바르다)]-+-(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바르는. ¶이 네 가지 약을 허 처 가과 손발바과 나[니]마 우콰 고과 고아래과 귓구무 겯과 야 라(이 네 가지 약을 찧어 쳐 가슴과 손발바닥과 이마위와 코와 코아래와 귓구멍 곁과 그렇게 해서바르라.)〈온역 15ㄴ〉.
주032)
지(脂)와 : 지(脂)+와(접속 조사). 연지(臙脂)와.
주033)
 롤 약(藥)이 : [面]+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塗(도, 바르다)]-+-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ㅭ(미래 관형사형 어미)#약(藥)+이(주격 조사). 얼굴에 바를 약이.
주034)
님금 은택(恩澤) 조차 : 임금 은혜와 덕택을 좇아. 임금 은혜와 덕택에 따라.
주035)
프른 : 프르[靑, 翠]-+-ㄴ(관형사형 어미). 푸른.
주036)
은앵(銀甖) : 은으로 만든 단지.
주037)
하로셔 : 하[天]+로셔(출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하늘로부터.
주038)
려오다 : 리[下]-+-어(연결 어미)#오[來]-+-(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내려온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