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10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10
  • 2. 오십마(五十魔)를 말하다
  • [운허]2. 오십마(五十魔)를 말하다○(7) 5음의 근본
  • 2. 오십마를 말하다○(7) 5음의 근본 1
메뉴닫기 메뉴열기

2. 오십마를 말하다○(7) 5음의 근본 1


능엄경언해 권10:75ㄱ

二. 請益詳盡 二○初. 阿難請益
〔경문〕 阿難이 卽從座起야 聞佛示誨고 頂禮欽奉와 憶持無失야於大衆中에 重復白佛오 如佛所言샤 五陰相中에 五種虛妄이 爲本想心이니 我等이 平常애 未蒙如來ㅅ 微細開示다다 又此五陰 爲倂銷除가 爲次第盡이가 如是五重 詣何爲界고 唯願如來ㅣ 發宣大慈샤 爲此大衆샤 淸明心目시며 以爲末世옛 一切衆生샤 作將來眼쇼셔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경문〕

능엄경언해 권10:75ㄴ

阿難이 곧 座로셔 주001)
-로셔:
-에서.
니러 부텻 뵈샤 주002)
뵈샤:
뵈시고. 뵙고. 배알하시고.
치샤 듣고 頂禮와 주003)
-와:
-하와. -하여.

능엄경언해 권10:76ㄱ

敬야 받와 주004)
받와:
받자와. 받아.
각야 가져 일티 아니야 大衆 中에 다시 부텨 오 주005)
오:
여쭈되. 사뢰되. 사리기를.
부텨 니샴 주006)
니샴:
이르심.
샤 五陰相 中에 다 가짓 虛妄이 根元ㅅ 想心이 외니 주007)
외니:
되니.
우리 平常애 如來ㅅ 微細히 여러 뵈샤 주008)
뵈샤:
보이심을.
닙디 주009)
닙디:
입지.
몯왯다다 주010)
몯왯다다:
못하였습니다. ‘-다다’ 1인칭 임자말과 어울림.
 이 五陰은 다 스러 덜리가 주011)
덜리가:
덜(=덜어 버릴) 것입니까?
次第로 다리가 주012)
다리가:
다할 것입니까?
이 티 다  주013)
:
갈피는. 겹은. [重]+.
어듸 가 界 외니고 願노니 如來ㅣ 大慈 펴샤 이 大衆 爲샤 心目 淸明케 시며 末世옛 一切 衆生 爲샤 將來옛 眼 지쇼셔 주014)
지쇼셔:
지으소서.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경문〕 아난이 곧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을 뵙고 가르치심을 듣잡고 정례하여 공경하여 받들어, 생각하여 가지고 잃지 아니하여 대중 가운데서 다시 부처님께 여쭈되, "부처님 말씀하심과 같으시어 5음 가운데 다섯 가지 허망함이 근원의 상심이 되니, 우리(=저희)가 평상시에 여래의 미세하게 열어 보이심을 입지(=듣지) 못하였었습니다. 또 이 5음은 다(=한꺼번에) 슬어 덜어버릴 것입니까, 차례로 다할(=끊어내릴) 것입니까? 이와 같이(=같은) 다섯 갈피는 어디로 가〈야〉 경계가 되는 것입니까? 원하옵나니, 여래께서 대자비를 펴시어 이 대중을 위하시어 심목 주015)
심목:
마음과 눈.
을 청명케 하시며, 말세의 일체 중생을 위하시어 장래의 눈을 지으소서(=눈이 되게 하소서).”
Ⓒ 역자 | 김영배 / 1998년 10월 28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로셔:-에서.
주002)
뵈샤:뵈시고. 뵙고. 배알하시고.
주003)
-와:-하와. -하여.
주004)
받와:받자와. 받아.
주005)
오:여쭈되. 사뢰되. 사리기를.
주006)
니샴:이르심.
주007)
외니:되니.
주008)
뵈샤:보이심을.
주009)
닙디:입지.
주010)
몯왯다다:못하였습니다. ‘-다다’ 1인칭 임자말과 어울림.
주011)
덜리가:덜(=덜어 버릴) 것입니까?
주012)
다리가:다할 것입니까?
주013)
:갈피는. 겹은. [重]+.
주014)
지쇼셔:지으소서.
주015)
심목:마음과 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