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10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10
  • 능엄경언해 발
  • 어제 발
메뉴닫기 메뉴열기

어제 발


御製 跋* 주001)
※ 이 발문은 활자본 「능엄경언해」 권10 끝에 있는 것을 옮긴 것임.

능엄경언해 발:2ㄱ

녜 正統 戊午歲예 皇考 주002)
황고:
선대왕.
世宗楞嚴經 보시고 己巳歲예 飜譯야 너

능엄경언해 발:2ㄴ

비 펴고져샤 나 命샤 窮究라 야시 주003)
야시:
하시거늘.
中間애 否屯이 니 주004)
니:
이음을.
因ᄒᆞ야【否과ᄂᆞᆫ 주005)
-와 -과ᄂᆞᆫ:
-와 -와는.
다 周易 卦ㅅ 일후미니 否ᄂᆞᆫ 通티 몯ᄒᆞᆯ씨오 주006)
몯ᄒᆞᆯ씨오:
몯하는 것이고.
屯ᄋᆞᆫ 어려울씨라 주007)
어려울씨라:
어려운 것이다.
忽忽ᄒᆞᆫᄃᆞᆯ 언제 니ᄍᆞ오료 주008)
니ᄍᆞ오료:
잊으리오?
【忽忽ᄋᆞᆫ 뵈왓ᄇᆞᆯ씨라 주009)
뵈왓ᄇᆞᆯ씨라:
몹시 바쁜 것이다.
큰 運이 처 여로매 미처【運ᄋᆞᆫ 歷數ㅣ니 帝王 써르 주010)
써르:
서르.
니시ᄂᆞᆫ 주011)
니시ᄂᆞᆫ:
이으시는.
次第 歲와 時「와 氣分 先後 ᄀᆞᆮᄒᆞ니라】
닷고매 주012)
닷고매:
닦음에.
겨를 업서 付囑애 맞ᄌᆞᆸ디 주013)
맞ᄌᆞᆸ디:
맞지. ‘ᄌᆞᆸ’은 선왕의 ‘부촉’을 높임.
몯호ᄆᆞᆯ 도라보  히미 져거드로미 어렵더니 希有ᄒᆞ신 覺皇 주014)
각황:
부처님.
이 有緣ᄒᆞᆫ 類ᄅᆞᆯ 다 거두실 주015)
거두실:
거두시므로.
舍利 一百ᄋᆞᆯ 나토샤 주016)
나토샤:
나타내시어.
【辛巳 五月ㅅ 열사 주017)
열사:
열사흘의.
孝寧大君檜巖寺애 佛事 ᄒᆞ

능엄경언해 발:3ㄱ

다가 釋迦ㅅ 分身 舍利 二十五枚ᄅᆞᆯ 進上ᄒᆞ와ᄂᆞᆯ 주018)
-ᄒᆞ와ᄂᆞᆯ:
-하거늘. 부림말 ‘분신사리 15매’를 높임.
上이 中宮과 놀라 이 깃그샤 주019)
깃그샤:
기뻐하시어. -[喜].
우르시고 頂禮ᄒᆞ 제  八枚分身ᄒᆞ시고 中宮이 含元殿에 뫼와 주020)
뫼와:
모시어.
두거시ᄂᆞᆯ 주021)
두거시ᄂᆞᆯ:
두시거늘.
 五枚分身ᄒᆞ시고 孝寧이  뎌레 주022)
뎌레:
절에.
도라가 十一枚ᄅᆞᆯ 더 어더 進上ᄒᆞ고 열닐왯 주023)
열닐왯:
열이레의.
날 孝寧이 뎌레 겨시던 分身 舍利 三十枚ᄅᆞᆯ 「進上ᄒᆞ와ᄂᆞᆯ 中宮이 안해 겨샤 펴 보오시니 주024)
보오시니:
보시니.
六枚 分身ᄒᆞ시고 이틄날 주025)
이틄날:
이튿날.
上이 中宮과 親히 供養ᄒᆞ

능엄경언해 발:3ㄴ

거시ᄂᆞᆯ  十七枚 分身ᄒᆞ시니 모다 주026)
모다:
모두.
一百二枚시니 一百이라 니ᄅᆞ샤ᄆᆞᆫ 주027)
니ᄅᆞ샤ᄆᆞᆫ:
이르심은.
큰 數로 니ᄅᆞ샤미라 주028)
니ᄅᆞ샤미라:
이르심이다.
靈ᄒᆞ신 光明이 世예 비취시니 주029)
비취시니:
비치시니. 비추시니.
奇特ᄒᆞ신 祥瑞와 다ᄅᆞ신 應이 恒沙劫에 업스샷다 주030)
업스샷다:
없으시구나!
내 同行 慧覺尊者等이 【入選學祖ㅣ 조차오니라】 奇別 드르시고 와 慶賀커시ᄂᆞᆯ 恭敬ᄒᆞ야 맞ᄌᆞ와 주031)
맞ᄌᆞ와:
맞이하여.
關雎 새 殿에 對接ᄒᆞ와 아ᄎᆞᆷ 나조 주032)
나조:
저녁에.
서르 도ᄋᆞ며 주033)
도ᄋᆞ며:
도우며.
寒暄ᄒᆞ다니【寒暄ᄋᆞᆫ 安否ᄒᆞᆯ씨라】 아ᄌᆞ바님 주034)
아ᄌᆞ바님:
아저씨.
孝寧大君내손 주035)
내손:
나에게. 나+손.
楞嚴永嘉集ᄋᆞᆯ 飜譯고라 주036)
-고라:
-ᄒᆞ고라:-하기를 바란다.
請ᄒᆞ시니 正히 내 데 주037)
데:
뜻에.
맛거늘 師ㅣ  조차 깃그실 주038)
깃그실:
기뻐하시므로.
이

능엄경언해 발:4ㄱ

繼禧
等을 命ᄒᆞ야 相考ᄅᆞᆯ 돕게ᄒᆞ고 내  겨르ᄅᆞᆯ 주039)
겨르ᄅᆞᆯ:
거를을.
어더 히ᄆᆞᆯ 더오 주040)
더오:
더하되.
다 師 正와 주041)
-와:
하게 하여.
두 ᄃᆞ래 일어ᄂᆞᆯ 주042)
일어ᄂᆞᆯ:
이루어지거늘.
【上이 입겨ᄎᆞᆯ 주043)
입겨ᄎᆞᆯ:
토를.
ᄃᆞᄅᆞ샤 慧覺尊者마와시ᄂᆞᆯ 주044)
마와시ᄂᆞᆯ:
확인하시거늘. 마오-.
貞嬪 韓氏等이 唱準ᄒᆞ야ᄂᆞᆯ 주045)
ᄒᆞ야ᄂᆞᆯ:
하거늘.
工曹參判 臣 韓繼禧 前尙州牧事 臣 金守溫ᄋᆞᆫ 飜譯ᄒᆞ고 議政府 檢詳 臣 朴楗 護軍 臣 尹弼商 世子文學 臣 盧思愼 吏曹佐郞 臣 鄭孝常은 相考ᄒᆞ고 永順君 臣 溥ᄂᆞᆫ 例 一定ᄒᆞ고 司贍寺尹 臣 曺變安 監察 臣 趙祉ᄂᆞᆫ 國韻 쓰고

능엄경언해 발:4ㄴ

慧覺尊者 信眉 入選思智 學悅 學祖ᄂᆞᆫ 飜譯 正온 주046)
온:
-하게, 한.
後에 「御覽ᄒᆞ햐 一定커시ᄂᆞᆯ 典言 曹氏 豆大ᄂᆞᆫ 御前에 飜譯 닑ᄉᆞ오니라 주047)
닑ᄉᆞ오니라:
읽은 것이다.
山林과 白衣ᄅᆞᆯ 바가 주라 命ᄒᆞ노니 주048)
-ᄒᆞ노니:
-하니.
【校書舘 提調 河城尉 臣 鄭顯祖ᄅᆞᆯ 命ᄒᆞ샤 鑄字로 四百ᄇᆞᄅᆞᆯ 주049)
ᄇᆞᄅᆞᆯ:
벌을.
바ᄀᆞ라 주050)
바ᄀᆞ라:
박으라.
ᄒᆞ시고 特別히 宗室에 銀川君 臣 纘玉山君 臣 蹄ᄅᆞᆯ 命ᄒᆞ샤 校書舘애 仕官ᄒᆞ야 보아 바키라 주051)
바키라:
박게 하라.
ᄒᆞ시다】
젼혀 주052)
젼혀:
오로지.
師ㅅ 너븐 주053)
너븐:
넓은.
慈悲ㅅ ᄆᆞ미시며 ᄂᆞᄆᆞᆯ 주054)
ᄂᆞᄆᆞᆯ:
남을.
利케ᄒᆞ시논 주055)
ᄒᆞ시논:
하시는.
德이시니  어느 말로 다 ᄉᆞᆯ오료 주056)
ᄉᆞᆯ오료:
아뢰리오. 아뢰겠는가?
願ᄒᆞ노니 내 이 因

능엄경언해 발:5ㄱ

ᄋᆞ로 내 現ᄒᆞᆫ 眷屬과 恒沙劫에 여희디 주057)
여희디:
여의지.
아니ᄒᆞ야 師ㅣ 道 일우신 나래 몬져 度脫ᄋᆞᆯ 닙고져 주058)
닙고져:
입고자.
ᄒᆞ노ᅌᅵ다
天順 辛巳 九月 日 佛弟子承天體道烈文英武朝鮮國王姓諱 跋

어제 주059)
어제:
임금이 지은 글.
옛날 정통 무오년 주060)
정통 무오:
정통 3년. 세종20년, 1438 A.D.
에 선대왕 세종께서 능엄경을 보시고, 기사년 주061)
기사세:
기사년. 세종31년, 1449 A.D.
에 번역하여 널리펴고자 하시어 나에게 명하시어 연구하라 하시거늘, 중간에 부·둔 주062)
부·둔:
각각 64괘의 하나.
이 이음으로 인해서 【‘부’와 ‘둔’은 다 주역 주063)
주역:
유교의 경전.
주064)
괘:
천지간의 변화를 나타내고 길흉을 판단하는 주역의 기본.
이름이니, ‘부’는 통하지 못하는 것이고, ‘둔’은 어려운 것이다.】
총총한들 언제 〈선대왕의 명을〉 잊〈을 수 있〉겠는가? 【‘총총’은 몹시 바쁜 것이다.】 큰 운이 처음 열림에 미쳐서 【‘운’은 역수 주065)
역수:
일월과 추위·더위가 철따라 돌아가는 순서.
이니, 제왕 서로 이으시는 차례인 해와 때와 기운의 선후 같은 것이다.】
불법 닦음에 겨를이 없어 부촉 주066)
부촉:
부탁하여 맡김.
에 맞지 못함을 돌아보되, 또 힘이 적어 〈일을〉 〈받〉듦이 어렵더니, 희유 주067)
희유:
매우 드묾.
하신 부처님께서 유연한 유를 다 거두시므로, 사리 1백을 나타내시어신사년 주068)
신사:
세조7년, 1461A.D.
5월 열사흗 날 효령대군 주069)
효령대군:
태종의 둘째 왕자.
회암사 주070)
회암사:
양주군 천보산에 있는 절.
에서 불사를 하다가 석가의 분신사리 25매를 진상하거늘 상감이 중궁전 주071)
중궁:
중궁전. 왕후의 높임.
과 〈함께〉 놀라 기뻐하시어 우시고 정례하실 제 또 8매 분신하시고, 중궁전이 함원전에 모셔 두시거늘, 또 5매 분신하시고 효령대군이 또 절에 돌아가 11매를 더 얻어 진상하고 열이렛 날 효령대군이 절에 계시던 분신 사리 30매를 진상하거늘, 중궁전이 안에 계시어 펴 보시니, 또 6매 분신하시고 이튿날 상감이 중궁전과 친히 공양하시거늘 또 17매 분신하시니, 모두 102매이시니, 1백이라 이르신 것은 큰 수로 말하신 것이다.】
신령하신 광명이 세상에 비치시니, 기특하신 상서와 다르신 감응이 항사겁에는 없으시구나! 나의 동행 혜각존자 주072)
혜각존자:
신미. 세조 때 스님. 도행이 훌륭하여 세조가 스승으로 대우.
등이 【입선 학조 주073)
학조:
학열. 세조 때 스님. 혜각존자와 함께 간경도감의 여러 불경언해 간행에 참여함.
가 따라왔다.】
기별을 들으시고 와서 경하하시거늘, 공경하여 맞이하여 관저의 새 전각에 대접하여 아침 저녁에 서로 도우며 한훤하더니 【‘한훤’은 안부하는 것이다.】 아저씨 효령대군이 나에게 능엄경영가집 주074)
영가집:
당(唐)의 원각(圓覺)이 지은 선종영가집.
을 번역하기 바란다고 청하시니, 정히 내 뜻에 맞거늘, 선사께서 또 따라 기뻐하시므로 여기에 한계희 주075)
한계희:
세조 때 사람.
등에게 명하여 상고 주076)
상고:
서로 비교하여 고찰함.
를 돕게 하고, 내가 또 겨를을 얻어 힘을 더하되, 다 선사께서 바르게 하여 두어 달에 〈번역이〉 이루어지거늘 【상께서 토를 다시고 혜각존자께 〈보여〉 확인하시거늘, 정빈한씨 등이 창준 주077)
창준:
소리 내어 읽으면서 교정(校正)함.
하거늘, 공조 참판 신 한계희, 전 상주 목사 주078)
목사:
정3품 벼슬.
김수온 주079)
김수온:
세조 때 학자. 신미의 동생.
은 번역하고, 의정부 검상 주080)
검상:
정5품 벼슬.
신 박건, 호군 주081)
호군:
무관 정4품 벼슬.
신 윤필상, 세자 문학 주082)
세자 문학:
정5품 벼슬.
노사신 주083)
노사신:
세조 때 호조 판서, 연산군 때 영의정을 지냄.
, 이조 좌랑 주084)
이조 좌랑:
정6품 벼슬.
정효상 주085)
정효상:
성종 때 지중추부사까지 지냄.
은 상고하고, 영순군 신 부 주086)
영순군 부:
세종의 제5왕자 광평대군의 아들.
는 예를 일정하고, 사섬시 윤 주087)
사섬시 윤:
지폐를 만들고 노비의 공포(貢布)를 맡아보던 관청의 우두머리.
신 조변안, 감찰 신 조지는 국운
(동국정운 한자음)
을 쓰고, 혜각존자 신미, 입선 사지, 학열, 학조는 번역을 바르게 고친 후에 어람하시어 일정하시거늘, 전언 조씨 두 대는 어전에서 번역을 읽은 것이다.】
산림과 속인들에게 인쇄하여 주라고 명하니 【교서관 제조 하성위 신 정현조에게 명하시어 주자로 4백 벌을 박으라(=인쇄하라) 하시고, 특별히 종실에는 은천군 신 찬과 옥산군 주088)
은천군·옥산군:
종친들임.
신 제에게 명하시어 교서관에 사관 주089)
사관:
벼슬살이를 함.
하여 〈일을〉 보고 인쇄하게 하라고 하셨다.】
이것은 오로지 선사의 넓은 자비스런 마음이시며, 남을 이롭게 하시는 덕이시니, 또 어떤 말로 다 사뢰리오? 원하는 것은, 내가 이 인연으로 〈하여〉 나의 현재한 권속과 항사겁에 여의지 아니고 선사께서 ‘도’ 이루신 날에 먼저 도탈 주090)
도탈:
생사의 바다를 건너, 미계(迷界)를 벗어나 깨달음의 세계로 가는 것.
을 입고자 한다.
천순 신사 주091)
천순 신사:
천순 5년, 세조 7년. 1461A.D.
(5년, 세조 7년) 9월 일 불제자 승천체도열 문영무 조선국왕 성휘 발》
Ⓒ 역자 | 김영배 / 1998년 10월 28일

주석
주001)
:※ 이 발문은 활자본 「능엄경언해」 권10 끝에 있는 것을 옮긴 것임.
주002)
황고:선대왕.
주003)
야시:하시거늘.
주004)
니:이음을.
주005)
-와 -과ᄂᆞᆫ:-와 -와는.
주006)
몯ᄒᆞᆯ씨오:몯하는 것이고.
주007)
어려울씨라:어려운 것이다.
주008)
니ᄍᆞ오료:잊으리오?
주009)
뵈왓ᄇᆞᆯ씨라:몹시 바쁜 것이다.
주010)
써르:서르.
주011)
니시ᄂᆞᆫ:이으시는.
주012)
닷고매:닦음에.
주013)
맞ᄌᆞᆸ디:맞지. ‘ᄌᆞᆸ’은 선왕의 ‘부촉’을 높임.
주014)
각황:부처님.
주015)
거두실:거두시므로.
주016)
나토샤:나타내시어.
주017)
열사:열사흘의.
주018)
-ᄒᆞ와ᄂᆞᆯ:-하거늘. 부림말 ‘분신사리 15매’를 높임.
주019)
깃그샤:기뻐하시어. -[喜].
주020)
뫼와:모시어.
주021)
두거시ᄂᆞᆯ:두시거늘.
주022)
뎌레:절에.
주023)
열닐왯:열이레의.
주024)
보오시니:보시니.
주025)
이틄날:이튿날.
주026)
모다:모두.
주027)
니ᄅᆞ샤ᄆᆞᆫ:이르심은.
주028)
니ᄅᆞ샤미라:이르심이다.
주029)
비취시니:비치시니. 비추시니.
주030)
업스샷다:없으시구나!
주031)
맞ᄌᆞ와:맞이하여.
주032)
나조:저녁에.
주033)
도ᄋᆞ며:도우며.
주034)
아ᄌᆞ바님:아저씨.
주035)
내손:나에게. 나+손.
주036)
-고라:-ᄒᆞ고라:-하기를 바란다.
주037)
데:뜻에.
주038)
깃그실:기뻐하시므로.
주039)
겨르ᄅᆞᆯ:거를을.
주040)
더오:더하되.
주041)
-와:하게 하여.
주042)
일어ᄂᆞᆯ:이루어지거늘.
주043)
입겨ᄎᆞᆯ:토를.
주044)
마와시ᄂᆞᆯ:확인하시거늘. 마오-.
주045)
ᄒᆞ야ᄂᆞᆯ:하거늘.
주046)
온:-하게, 한.
주047)
닑ᄉᆞ오니라:읽은 것이다.
주048)
-ᄒᆞ노니:-하니.
주049)
ᄇᆞᄅᆞᆯ:벌을.
주050)
바ᄀᆞ라:박으라.
주051)
바키라:박게 하라.
주052)
젼혀:오로지.
주053)
너븐:넓은.
주054)
ᄂᆞᄆᆞᆯ:남을.
주055)
ᄒᆞ시논:하시는.
주056)
ᄉᆞᆯ오료:아뢰리오. 아뢰겠는가?
주057)
여희디:여의지.
주058)
닙고져:입고자.
주059)
어제:임금이 지은 글.
주060)
정통 무오:정통 3년. 세종20년, 1438 A.D.
주061)
기사세:기사년. 세종31년, 1449 A.D.
주062)
부·둔:각각 64괘의 하나.
주063)
주역:유교의 경전.
주064)
괘:천지간의 변화를 나타내고 길흉을 판단하는 주역의 기본.
주065)
역수:일월과 추위·더위가 철따라 돌아가는 순서.
주066)
부촉:부탁하여 맡김.
주067)
희유:매우 드묾.
주068)
신사:세조7년, 1461A.D.
주069)
효령대군:태종의 둘째 왕자.
주070)
회암사:양주군 천보산에 있는 절.
주071)
중궁:중궁전. 왕후의 높임.
주072)
혜각존자:신미. 세조 때 스님. 도행이 훌륭하여 세조가 스승으로 대우.
주073)
학조:학열. 세조 때 스님. 혜각존자와 함께 간경도감의 여러 불경언해 간행에 참여함.
주074)
영가집:당(唐)의 원각(圓覺)이 지은 선종영가집.
주075)
한계희:세조 때 사람.
주076)
상고:서로 비교하여 고찰함.
주077)
창준:소리 내어 읽으면서 교정(校正)함.
주078)
목사:정3품 벼슬.
주079)
김수온:세조 때 학자. 신미의 동생.
주080)
검상:정5품 벼슬.
주081)
호군:무관 정4품 벼슬.
주082)
세자 문학:정5품 벼슬.
주083)
노사신:세조 때 호조 판서, 연산군 때 영의정을 지냄.
주084)
이조 좌랑:정6품 벼슬.
주085)
정효상:성종 때 지중추부사까지 지냄.
주086)
영순군 부:세종의 제5왕자 광평대군의 아들.
주087)
사섬시 윤:지폐를 만들고 노비의 공포(貢布)를 맡아보던 관청의 우두머리.
주088)
은천군·옥산군:종친들임.
주089)
사관:벼슬살이를 함.
주090)
도탈:생사의 바다를 건너, 미계(迷界)를 벗어나 깨달음의 세계로 가는 것.
주091)
천순 신사:천순 5년, 세조 7년. 1461A.D.
책목차이전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