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3
  •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10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10]
보옛 것 버류믄 玩好 뵈샤미오 내며 드리며 가지며 주 欲樂 조샤미니 大根 주001)
대근(大根):
대승의 기근(機根).
을 일우시고 小乘을 달애야 주002)
달애야:
달애-(‘달래다’의 뜻)+-야(부사형어미). 달래어.
나샤 주003)
나샤:
나-(‘나아오게 하다’의 뜻)+-샤-(주체높임의 ‘-시-’와 삽입모음의 결합)+ㅁ(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나아오게 하심을.
가비니라 우흔 다 萬德種智옛 이리오 窮子ㅣ 아비보다 주004)
혼:
-+-온(관형사형어미). 한.
아래 져근 이레 迷惑야 큰 일 두리논 이리라 王과 王等과 法身 주005)
법신(法身):
궁극 절대의 존재. 진리를 몸으로 하고 있는 것.
報身 주006)
보신(報身):
오랜 수행의 과정을 겪어 무궁무진한 공덕이 갖추어진 몸.
을 가비고 艱難  二乘 져근 道 가비고 힘드  잇다 호

월인석보 13:15ㄱ

 나 닷 주007)
닷:
-(‘다’의 어간)+(관형사형어미). 닦을.
術 이슈믈 가비고 物 어  아니라 호 큰 法 證티 어려 가비고 옷 밥 쉬 어드리라 호 져근 果 쉬 求호 가비고 시혹 우기 누르리라 호 佛道ㅣ 길오 머러 오래 브즈러니 受苦까 分別 가비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10]
보배의 것을 벌림은 놀며 즐김을 보이신 것이고 내주거나 받아들이며 가지거나 줌은 욕락을 좇음이니 대근을 이루시고 소승을 달래어 나아 오심을 비유한 것이다. 이상은 다 만덕 종지의 일이고 궁자가 아비를 본 이후의 이야기는 적은 일에 미혹하여 큰 일을 두려워하는 일이다. 왕과 왕등은 법신, 보신을 비유한 것이다. 가난한 마을은 이승의 작은 도를 비유하고 힘 들일 땅이 있다고 한 것은 나아가 닦을 방법이 있음을 비유하고, 물건을 얻을 땅이 아니라고 한 것은 큰 법증하기 어려움을 비유하고, 옷이나 밥을 쉽게 얻을 것이라고 함은 작은 과를 쉽게 구함을 비유하고, 혹시 억지로 누를 것이라고 함은 불도가 길고 멀어 오랫동안 부지런히 수고할까 걱정함을 비유한 것이다.】
Ⓒ 역자 | 장세경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근(大根):대승의 기근(機根).
주002)
달애야:달애-(‘달래다’의 뜻)+-야(부사형어미). 달래어.
주003)
나샤:나-(‘나아오게 하다’의 뜻)+-샤-(주체높임의 ‘-시-’와 삽입모음의 결합)+ㅁ(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나아오게 하심을.
주004)
혼:-+-온(관형사형어미). 한.
주005)
법신(法身):궁극 절대의 존재. 진리를 몸으로 하고 있는 것.
주006)
보신(報身):오랜 수행의 과정을 겪어 무궁무진한 공덕이 갖추어진 몸.
주007)
닷:-(‘다’의 어간)+(관형사형어미). 닦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