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3
  •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5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5]
【아비 每常 子息 念홈 주001)
념(念)홈:
념-+-옴-(명사형어미)+-(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염한 것들은.
부톄 二乘 주002)
이승(二乘):
이중의 교법. 곧 대승과 소승, 성문승과 연각승.
아리 五道애 오래 디여 性 시 주003)
시:
(버릇)+이(주격조사). 버릇이.
어득고 녇가 어루 큰 일 몯 니르리로다 念샤 가비니라 랑야 뉘으츠며 애와툐 주004)
애와툐:
애와티-(‘애타하다’의 뜻)+-옴-(명사형어미)+.
녜 치샤미 깁디 몯호 뉘으츠시고 이젯 機 큰 게 믈로 주005)
믈로:
믈리-(‘물리다’의 어간)+-옴(명사형어미)+-. 물러남을.
애와티샤미라 제 念호 늘구라 홈 부텻 목숨 니리 업슨 시름샤미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5]
【아비가 늘 자식을 생각하는 것들은 부처가 이승 아들이 오도에 오래 빠져 중생이 타고난 본성의 버릇이 배어 어둑하고 낮아 가히 큰 일을 못 이룰 것이라고 생각하심을 비유한 것이다. 생각하며 뉘우치고 애를 태우는 것은 옛날에 가르치심이 깊지 못함을 뉘우치고 이제의 기
(부처의 교화를 입을 수 있는 능력)
의 큰 게 물러남을 애타하심이다. 제가 생각하되 늙었다 함들은 부처의 목숨을 이을 사람이 없는 것을 걱정하신 것이다.】
Ⓒ 역자 | 장세경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념(念)홈:념-+-옴-(명사형어미)+-(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염한 것들은.
주002)
이승(二乘):이중의 교법. 곧 대승과 소승, 성문승과 연각승.
주003)
시:(버릇)+이(주격조사). 버릇이.
주004)
애와툐:애와티-(‘애타하다’의 뜻)+-옴-(명사형어미)+.
주005)
믈로:믈리-(‘물리다’의 어간)+-옴(명사형어미)+-. 물러남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