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3
  •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3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3]
【그 아비 覺皇 주001)
각황(覺皇):
부처님을 존경하는 별호의 하나. 깨달음의 황제라는 뜻이니, 곧 부처님은 각(覺)에 자재(自在)함이다. 각왕(覺王)이라고도 한다.
 가비고 ≪覺皇 아시 皇帝라 혼 마리니 부텨니라 주002)
니라:
-(다(말씀하다, 사뢰다, 여쭙다)의 어간 ‘’의 이형태)+-니라(서술종결어미). 말씀한 것이다.

월인석보 13:8ㄴ

몬져 求다가 몯 어두믄 아 敎化시다가 後에 도로 믈러 겨샤 가비고  城에 이슈 주003)
이슈:
이시-[有]+-움-+(주제격조사). 있음은.
華嚴法 주004)
화엄법(華嚴法):
화엄법계(華嚴法界). 궁극의 진리를 화엄경의 법계라 함.
菩提場 가비고 그 지비 장 가며러 보 道場에 得샨 法이 無量功德 주005)
무량공덕(無量功德):
한이 없어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부처님의 공(功)과 덕(德).
샤 주006)
샤:
-+-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시-’의 이형태)+-ㅁ-(명사형어미)+(목적격 조사). 갖추심을.
가비고 倉애 法喜옛 바비 고 庫애 諸法엣 쳔이 디니라 죠 제 몸 위왇 주007)
위왇:
떠받드는. ‘위왇-’은 ‘위받-’의 변형.
거시오 臣下 百姓 다리 거시니 걔 주008)
걔:
갸(자기, 제 몸)+이(주격조사). 자기가. 제 몸이.
利시고  利시논 이 가비니라 象馬牛羊 五乘 주009)
오승(五乘):
해탈에 도달하는 과위(果位). 또는 해탈과 과위를 얻게 하는 불타의 교법을 승(乘)이라 하고, 오승은 인승(人乘), 천승(天乘),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을 이름.
을 가비고

월인석보 13:9ㄱ

五乘 聲聞 緣覺 菩薩 人 天이라≫ 敎授滋息 주010)
교수자식(敎授滋息):
법을 가르치고 전수하는 것.
大千 주011)
대천(大千):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고대 인도인의 새계관에 의한 우주관.
에 너비 니필 주012)
니필:
닙-+-히-(사동접사)+-ㄹ(연결어미). 입히므로.
내며 드리며 利 불우미 다 나라해 다 주013)
다:
‘가득하다’의 준말.
니라 일로부터 羣生이 다 法利 求 商賈ㅣ 만타 니 利澤 니와다 주014)
니와다:
니왇-+-아(연결어미). 일으키어.
내요 주015)
내요:
내-(‘나-’의 타동사)+욤(명사형어미 ‘-옴’의 이형태)+-(목적격조사). 냄을. 나게 함을.
모도아 주016)
모도아:
모도-(‘모도다’의 어간)+-아(부사형어미). 모아. ‘모도다’는 ‘몯다’의 타동사.
가비니라 澤 恩澤이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3]
【그 아비는 각황을 비유하고 ≪각황은 아시는 황제라는 말이니 부처를 말씀한 것이다.≫ 먼저 구하다가 몯 얻음은 옛날에 교화하시다가 후에 도로 물러나 계심을 비유하고, 한 성에 있음은 화엄법 보리장을 비유하고, 그 집이 가장 부자여서 보배들은 도량에 얻으신 법이 무량 공덕이 갖추심을 비유하고, 곳집에는 법희의 밥이 가득하고 고에는 여러 법의 재물이 넘쳐 있다. 종은 제 몸을 떠받드는 것이고, 신하는 백성 다스리는 것이니, 자기가 이롭고 남도 이롭게 하는 일을 비유한 것이다. 상마우양은 오승을 비유하고≪오승은 성문 연각 보살 인 천이다.≫ 교수자식을 대천에 널리 입히므로 내보내고 받아 들이며 이자를 불림이 다른 나라에 가득하다고 한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많은 중생이 다 법리를 구하므로 상고가 많다 하니, 이택을 일으켜 냄을 모두 비유한 것이다. 택은 은택이다.】
Ⓒ 역자 | 장세경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각황(覺皇):부처님을 존경하는 별호의 하나. 깨달음의 황제라는 뜻이니, 곧 부처님은 각(覺)에 자재(自在)함이다. 각왕(覺王)이라고도 한다.
주002)
니라:-(다(말씀하다, 사뢰다, 여쭙다)의 어간 ‘’의 이형태)+-니라(서술종결어미). 말씀한 것이다.
주003)
이슈:이시-[有]+-움-+(주제격조사). 있음은.
주004)
화엄법(華嚴法):화엄법계(華嚴法界). 궁극의 진리를 화엄경의 법계라 함.
주005)
무량공덕(無量功德):한이 없어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부처님의 공(功)과 덕(德).
주006)
샤:-+-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시-’의 이형태)+-ㅁ-(명사형어미)+(목적격 조사). 갖추심을.
주007)
위왇:떠받드는. ‘위왇-’은 ‘위받-’의 변형.
주008)
걔:갸(자기, 제 몸)+이(주격조사). 자기가. 제 몸이.
주009)
오승(五乘):해탈에 도달하는 과위(果位). 또는 해탈과 과위를 얻게 하는 불타의 교법을 승(乘)이라 하고, 오승은 인승(人乘), 천승(天乘),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을 이름.
주010)
교수자식(敎授滋息):법을 가르치고 전수하는 것.
주011)
대천(大千):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고대 인도인의 새계관에 의한 우주관.
주012)
니필:닙-+-히-(사동접사)+-ㄹ(연결어미). 입히므로.
주013)
다:‘가득하다’의 준말.
주014)
니와다:니왇-+-아(연결어미). 일으키어.
주015)
내요:내-(‘나-’의 타동사)+욤(명사형어미 ‘-옴’의 이형태)+-(목적격조사). 냄을. 나게 함을.
주016)
모도아:모도-(‘모도다’의 어간)+-아(부사형어미). 모아. ‘모도다’는 ‘몯다’의 타동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