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3
  •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29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29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29]
 아니한 時節 디나니 아비 아 디 漸漸 마 通泰야【泰 便安 씨라】 큰 들 일워 아랫  제 더러 너기  아라 마 주 저긔 아 命며 아과 國王과 大臣과 刹利

월인석보 13:29ㄴ

와 居士와 조쳐 뫼화 주001)
뫼화:
뫼호-(타동사. 모으다[會])+-아(연결어미). 모아.
다 마 몯거늘 펴 닐오 그듸내 알라 이 내 아리며 내 나호니러니 주002)
나호니러니:
낳-+-온(관형사형아미)+이(불완전명사)+이-(지정사어간)+-러-(선어말어미 ‘더’의 변형)+-니. 내가 낳은 사람인데.
아모 城中에 날 리고 逃亡야 가 뷔듣녀 주003)
뷔듣녀:
뷔듣니-+-어(부사형어미). 비틀거리며.
辛苦호미 쉬나 러니 제 本來ㅅ 일후믄 아뫼오 내 일후믄 아모 甲이로니 아래 本城에 이셔 시름

월인석보 13:30ㄱ

야 얻니다니 믄득 이 예 맛나 어두니 이 實로 내 아리며 내 實로 제 아비로니 이제 내 뒷논 一切 쳔랴 다 이 아 거시며 아래 내며 드류미 이 아 아던 거시라 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29]
또 얼마 지나니 아비와 아들의 뜻이 점점 이미 편안해져서【태는 편안하다는 뜻이다.】 큰 뜻을 이루어 옛날 마음을 스스로 더럽게 여기는 줄을 알아 장차 죽을 때에 아들에게 명하여 친척과 국왕과 대신과 찰리와 거사를 아울러 모이게 하였는데 다 이미 모였으므로 펴 말하기를, “그대들은 알아라. 이 아이가 내 아들이며 내가 낳은 아이이니 아무 성중에 나를 버리고 도망하여 가 비틀거리고 다녀 고생함이 오십여 년이니 저의 본래 이름은 아무이고 내 이름은 아무 갑이니 옛날에 이 성에 있어 걱정하며 찾아 다녔는데, 문득 이 사이에 만나 얻으니 참으로 내 아들이며 나는 참으로 제 아비이니 이제 내가 두고 있는 모든 재물이 다 이 아들의 것이며 옛날에 내고 들인 것이 이 아들이 알던 것이라고 하니
Ⓒ 역자 | 장세경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뫼화:뫼호-(타동사. 모으다[會])+-아(연결어미). 모아.
주002)
나호니러니:낳-+-온(관형사형아미)+이(불완전명사)+이-(지정사어간)+-러-(선어말어미 ‘더’의 변형)+-니. 내가 낳은 사람인데.
주003)
뷔듣녀:뷔듣니-+-어(부사형어미). 비틀거리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