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3
  • 〈협주〉 수기품 제6에 대한 해설
  • 수기품 제6에 대한 해설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기품 제6에 대한 해설 3


[수기품 제6에 대한 해설 3]
淨名에 닐오 說法이 잇디 아니며  업디 아니컨마 因緣 젼로 諸法이 나니 나 업스며 지 업스며 受 업수 善惡業이  업디 아니니라 니 正證 주001)
정증(正證):
바르게 증득(證得)함. 바른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아 얻음.
엣 사미 本來 몸 업건마 그러나 善惡業이 엇뎨 모미 주002)
기(記):
표기(表記). 수행 중인 제자에 대하여 그 미래의 증과(證果) 내용을 일일이 구별하여 예언하는 것.
 주리 이시며

월인석보 13:59ㄴ

엇뎨 모미 니 주리 업스리오마 世間앳 艱難며 가멸며 貴며 賤며 기리 살며 뎔이 주003)
뎔이:
뎔-(짧-)+-이(부사파생접사). 짧게.
살며 受苦며 즐거미 녜 지로 이제 受며 몬져 블로로 後에 應야 얼믠 주004)
얼믠:
얼믜-+-ㄴ(관형사형어미). 성긴.
그므를 디허도 디 아니며 큰 주005)
겁(劫):
무한히 긴 시간.
에 디여 잇다가도 기티디 주006)
기티디:
기티-+-디(연결어미). 남기지.
아니호 뉘 記 주뇨 이제 니논 記 오직 업디 아니 理 도 주007)
도:
-(‘돕-’의 변칙형태)+-아(부사형어미). 도와.
기샤 行 사  내실 미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기품 제6에 대한 해설 3]
정명에서 말하기를, 설법이 있지 않으며 또 없지도 않건마는 인연 때문에 여러 법이 나오는 것으로 내가 없으며 만듦이 없으며 받을이 없되 선악업이 또 없지 않을 것이라고 하니, 정증의 사람이 본래 몸이 없지만 그러나 선악업은 어찌 몸이 있어 기할 수가 있으며 어찌 몸이 잊을 수가 없겠느냐마는 세간의 가난하며 부자이며 귀하며 천하며 길게 살며 짧게 살며 수고로우며 즐거움이 옛날에 지은 까닭에 이제 받으며 먼저 불러 뒤에 응하여 성긴 그믈을 쳐도 새지 않으며 큰 겁에 떨어져 있다가도 남기지 않음은 누가 기를 주느냐. 이제 말하는 기는 오직 없지 않은 이를 도와 밝히시어 행할 사람을 이끌어 내실 따름이다.】
Ⓒ 역자 | 장세경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정증(正證):바르게 증득(證得)함. 바른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아 얻음.
주002)
기(記):표기(表記). 수행 중인 제자에 대하여 그 미래의 증과(證果) 내용을 일일이 구별하여 예언하는 것.
주003)
뎔이:뎔-(짧-)+-이(부사파생접사). 짧게.
주004)
얼믠:얼믜-+-ㄴ(관형사형어미). 성긴.
주005)
겁(劫):무한히 긴 시간.
주006)
기티디:기티-+-디(연결어미). 남기지.
주007)
도:-(‘돕-’의 변칙형태)+-아(부사형어미). 도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