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3
  •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6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6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6]

월인석보 13:11ㄱ

하 그 窮子 주001)
궁자(窮子):
빈궁한 아들. 법화경 칠유(七踰)의 하나. 부처님이 불성을 잃어버린 중생들이 삼계를 윤회하고 있음을 불쌍히 여기시고 자기 방편으로 법화의 묘법을 깨닫게 함을 비유하였다.
ㅣ 傭賃야【 유미 주002)
유미:
이-(쓰임을 당함)+-움-(명사형어미)+이(변성격조사). 고용됨이.
욀 傭이오 힘드려 利 가죠미 賃이라】
그우녀 주003)
그우녀:
굴러 다녀. 윤회(輪廻)의 뜻도 됨.
마초아 아 지븨 다라 門ㅅ 겨틔 셔셔【城은 간 드로 가비고 지븐 기피 드로 가비니 權乘을 브텨 漸漸 기피 나가 니니라 그러나 傭賃호미 갓 죠고맛 利 가져 功 제 몯 두니 權敎 브투미 乃終내 實證 업수 가비니라 지븨 다라 門ㅅ 겨틔 셔 비록 佛道

월인석보 13:11ㄴ

맛나도 正히 드디 주004)
드디:
드-(들다[入]의 어간. ㄱ탈락형)+-디(연결어미). 들지. 들어가지.
몯야  주005)
:
오히려. 아직.
偏空 브티 이쇼 가비니 져근 이 즐기논 젼라】
머리셔 보 제 아비 獅子床 주006)
사자상(獅子床):
부처님이 앉으시는 법좌(法座).
걸고 주007)
걸앉고:
걸터 앉고.
寶几 발받고 婆羅門 주008)
바라문(婆羅門):
인도의 사성(四姓) 가운데 최고의 지위에 있는 종족.
刹利 주009)
찰리(刹利):
찰제리(刹帝利). 인도의 사성(四姓) 가운데 둘째 지위에 있는 종족.
居士 주010)
거사(居士):
출가하지 않고 집에 있으면서 불가에 귀의한 남자.
히 다 恭敬 圍繞며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보리 등이 궁자의 비유로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6]
세존이시여 그때 궁자가 남에게 쓰이고 임금을 받아【남의 쓰임이 되므로 용이고, 힘들여 이익을 가짐이 임이다.】 굴러다녀 마침 아버지 집에 다달아 문 곁에 서서【성은 잠간 들어감을 비유하고 집은 깊이 들어감을 비유한 것이니, 권승에 붙어 점점 깊이 나아감을 말한 것이다. 그러나 용임함이 한갓 적은 이익을 가져 공을 저에게 두지 못하니 권교에 붙는 것이 끝내 실증이 없음을 비유한 것이다. 집에 다달아 문 곁에 섬은 비록 불도를 만나도 바로 들지 못하여 아직 편공에 붙어 있음을 비유한 것이니, 적은 일을 즐기는 까닭이다.】 멀리서 보니 자기의 아버지가 사자상에 걸터앉고 보석으로 꾸민 탁자에 발을 받치고 바라문과 찰리와 거사들이 다 공경하며 오른쪽을 돌며 경례하고 있으며,
Ⓒ 역자 | 장세경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궁자(窮子):빈궁한 아들. 법화경 칠유(七踰)의 하나. 부처님이 불성을 잃어버린 중생들이 삼계를 윤회하고 있음을 불쌍히 여기시고 자기 방편으로 법화의 묘법을 깨닫게 함을 비유하였다.
주002)
유미:이-(쓰임을 당함)+-움-(명사형어미)+이(변성격조사). 고용됨이.
주003)
그우녀:굴러 다녀. 윤회(輪廻)의 뜻도 됨.
주004)
드디:드-(들다[入]의 어간. ㄱ탈락형)+-디(연결어미). 들지. 들어가지.
주005)
:오히려. 아직.
주006)
사자상(獅子床):부처님이 앉으시는 법좌(法座).
주007)
걸앉고:걸터 앉고.
주008)
바라문(婆羅門):인도의 사성(四姓) 가운데 최고의 지위에 있는 종족.
주009)
찰리(刹利):찰제리(刹帝利). 인도의 사성(四姓) 가운데 둘째 지위에 있는 종족.
주010)
거사(居士):출가하지 않고 집에 있으면서 불가에 귀의한 남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