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3
  • 석존의 약초유 설법
  • 석존의 약초유 설법 15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의 약초유 설법 15


[석존의 약초유 설법 15]
이 衆生히 이 法 듣고 現世예 便安며 後에 善 고대 나 道로 樂 受야  法을 드르며 마 法 듣고 여러 障礙 여희여 諸法中에 희믜

월인석보 13:52ㄱ

能히 대로 漸漸 道애 들리니 뎌 큰 구루미 一切예 비 와 卉木叢林과 藥草히 種性다 초 저저 各各 기러남 得호미 니라【지 일우신 利益을 기시니라 法 듣고 便安호 衆生 塵勞애 고 二乘은 空寂에 얽 잇다가 이 法 듣니 어루 塵勞 시스며 얽

월인석보 13:52ㄴ

 글어 物밧긔 버서나 一生애 노니니 이 現世옛 便安호미라 後에 善 고대 나 法 듣 報ㅣ오 道로 樂 受호 道 닷곤 果ㅣ니 道로 다 샤 各各 道 조차 樂 受호미 디 아니니 十善 주001)
십선(十善):
열 가지 좋은 일. 십악(十惡)을 행하지 않음. 곧 산 것 죽이지 아니하며[不殺生], 도둑 아니하며[不偸盜]. 음욕(婬欲) 아니하며[不邪婬], 가짓말 아니하며[不妄語], 빛난 말 아니하며[不綺語], 모진 말 아니하며[不惡口], 두 가지 말 아니하며[不兩舌], 아끼고 탐하지 아니하며[不貪慾], 성내지 아니하며[不嗔恚], 비뚤어지고 곱은 봄을 아니함[不邪見]임. 곧 삽악의 반대. 십선도(十善道). 십선계(十善戒).
을 닷면 人 天 樂을 受고 四諦 주002)
사체(四諦):
사성체(四聖諦). 네 가지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 곧 고체(苦諦)·집체(集諦)·멸체(滅諦)·도체(道諦)임. 체(諦)는 허(虛)하지 않아 실(實)함이고, 집(集)은 모인다는 것임.
十二因緣 주003)
십이인연(十二因緣):
십이연기(十二緣起)라고도 함. 범부(凡夫)로서 유정의 생존을 구성하는 요소. 인간의 고통이 어떻게 성립하는지를 고찰하고, 그 원인을 추구하여 십이항목의 계열을 세우는 것. (1) 무명(無明: 무지(無知)). (2) 행(行: 잠재적 형성력). (3) 식(識: 식별작용). (4) 명색(名色: 명칭과 형태, 정신과 물질). (5) 육처(六處: 육입(六入). 곧 눈, 귀, 코, 혀, 몸, 뜻임). (6) 촉(觸: 감각과 대상의 접촉). (7) 수(受: 감수작용). (8) 애(愛: 맹목적인 충동). (9) 취(取: 집착). (10) 유(有: 생존). (11) 생(生: 태어나는 것). (12) 노사(老死: 늙어서 죽음. 무상한 모습). 이 12항목은 차례로 앞의 것이 뒤의 성립 조건이 되며, 따라서 차례로 앞의 것이 없어지면 뒤의 것도 없어짐.
을 닷면 二乘樂을 受고 六度 닷면 菩薩樂 受야 各各 제 道로 니라 여러 障礙 여희다 샤 구즌 길흔 業障 주004)
업장(業障):
악업(惡業)에 의해 생겨난 장애.
 여희여 人天에 가고 人天

월인석보 13:53ㄱ

은 事障 여희여 二乘에 들오 二乘 理障 주005)
이장(理障):
근본 무명으로 정지견(正知見)을 방해하는 번뇌.
 여희여 菩薩애 드러 제여곰 조 일우니 이럴 니샤 諸法中에 히믜 能히 대로 漸漸 道애 드로미 뎌 큰 구루미 一切예 비오미 다 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석존의 약초유 설법 15]
이 중생들이 이 법을 듣고 현세에 편안하며 후에 선한 곳에 태어나 도로 즐거움을 받아 또 법을 들으며 이미 법 듣고 여러 장애를 떠나 여러 법 중에 힘이 능히 감당하는 대로 점점 도에 들 것이니 저 큰 구름이 일체에 비가 와 훼목 총림과 약초들이 종성답게 갖추 젖어 각각 자라남을 얻음과 같은 것이다.【지어서 이루신 이익을 밝히신 것이다. 법을 듣고 편안함은 중생은 진로에 빠지고 이승은 공적에 얽매어 있다가 이 법을 들은 사람은 가히 진로를 씻고 얽매임을 끌러 물 밖으로 벗어나 일생에 놀고 다니니 이것이 현세의 편안함이다. 후에 선한 곳에 태어남은 법을 들은 보이고, 도로 낙을 얻음은 도를 닦은 과이니, 도라고 하신 것은 각각 도를 따라 낙을 얻는 것과 같지 않으니 십선을 닦으면 인천락을 받고 사체 십이인연을 닦으면 이승락을 받고 육도를 닦으면 보살락을 받아 각각 제 도를 하는 것이다. 여러 장애를 떠난다고 하신 것은 궂은 길은 업장을 떠나 인천에 가고 인천은 사장을 떠나 이승에 들고 이승은 이장을 떠나 보살에 들어 제가끔 재주를 이루니 이러므로 말씀하기를, 제법중에 힘이 능히 감당하느대로 점점 도에 들어감이 저 큰 구름이 일체에 비 옴과 같다 하신 것이다.】
Ⓒ 역자 | 장세경 / 2010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십선(十善):열 가지 좋은 일. 십악(十惡)을 행하지 않음. 곧 산 것 죽이지 아니하며[不殺生], 도둑 아니하며[不偸盜]. 음욕(婬欲) 아니하며[不邪婬], 가짓말 아니하며[不妄語], 빛난 말 아니하며[不綺語], 모진 말 아니하며[不惡口], 두 가지 말 아니하며[不兩舌], 아끼고 탐하지 아니하며[不貪慾], 성내지 아니하며[不嗔恚], 비뚤어지고 곱은 봄을 아니함[不邪見]임. 곧 삽악의 반대. 십선도(十善道). 십선계(十善戒).
주002)
사체(四諦):사성체(四聖諦). 네 가지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 곧 고체(苦諦)·집체(集諦)·멸체(滅諦)·도체(道諦)임. 체(諦)는 허(虛)하지 않아 실(實)함이고, 집(集)은 모인다는 것임.
주003)
십이인연(十二因緣):십이연기(十二緣起)라고도 함. 범부(凡夫)로서 유정의 생존을 구성하는 요소. 인간의 고통이 어떻게 성립하는지를 고찰하고, 그 원인을 추구하여 십이항목의 계열을 세우는 것. (1) 무명(無明: 무지(無知)). (2) 행(行: 잠재적 형성력). (3) 식(識: 식별작용). (4) 명색(名色: 명칭과 형태, 정신과 물질). (5) 육처(六處: 육입(六入). 곧 눈, 귀, 코, 혀, 몸, 뜻임). (6) 촉(觸: 감각과 대상의 접촉). (7) 수(受: 감수작용). (8) 애(愛: 맹목적인 충동). (9) 취(取: 집착). (10) 유(有: 생존). (11) 생(生: 태어나는 것). (12) 노사(老死: 늙어서 죽음. 무상한 모습). 이 12항목은 차례로 앞의 것이 뒤의 성립 조건이 되며, 따라서 차례로 앞의 것이 없어지면 뒤의 것도 없어짐.
주004)
업장(業障):악업(惡業)에 의해 생겨난 장애.
주005)
이장(理障):근본 무명으로 정지견(正知見)을 방해하는 번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