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0
  • 대애도의 출가
  • 대애도의 출가 3
메뉴닫기 메뉴열기

대애도의 출가 3


[대애도의 출가 3]
阿難이 다시  大愛道ㅣ 善 디 주001)
디:
뜻이.
하시며 부톄 처 주002)
처:
처음.
나거시 손 기르시니다 주003)
기르시니다:
기르신 것입니다. 「-ㅸ-」「기르-」의 대상 ‘부텨’를 높임.
如來 니샤 올니라 大愛道ㅣ 주004)
-ㅣ:
-이야.
眞實로 善

월인석보 10:19ㄴ

디 하며 내 그도 주005)
내그도:
나에게도.
恩惠 잇거니와 내 이제 成佛야 大愛道의게 주006)
-의게:
-에게.
 한 恩惠 잇노니 주007)
잇노니:
있으니.
大愛道ㅣ 내 德으로 三寶 주008)
삼보:
불보(佛寶)·법보(法寶)·승보(僧寶).
애 歸依야 四諦 주009)
사체:
사성체. 고(苦)·집(集)·멸(滅)·도(道).
 疑心 아니며 五根 주010)
오근:
눈·귀·코·혀 몸의 5관.
을 信며 五戒 주011)
오계:
불교에 귀의하는 재가(在家) 남녀가 받을 5종의 계율. 생을 죽이지 말것, 훔치지 말것, 음행하지 말 것, 거짓말 하지 말 것, 술 마시지 말 것.
 受야 디니니 주012)
디니니:
지니니.
阿難

월인석보 10:20ㄱ

아란 주013)
아란:
아무런. 「아랗-」.
사미나 옷과 飮食과 臥具와 醫藥 【臥具 눕 거시라】 죽록 발다도 주014)
발다도:
(?)추구해도. 「발-」.
내 恩德만 몯니라 阿難아 겨지비 沙門 외오져 주015)
외오져:
되고자. 「-오져(〈고져)」.
 사 八敬法 주016)
팔경법:
비구니가 지켜야 하는 여덟 가지 경법.
너므디 주017)
너므디:
넘기지. 어기지. 「너므-」.
아니야 죽록 行야 律法에 어루 주018)
어루:
가히. 넉넉히.
들리라 【여듧 가짓 恭敬논 法은

월인석보 10:20ㄴ

나
주019)
나:
하나는. 「나ㅎ」.
比丘 주020)
비구:
남자로서 출가하여 걸식으로 생활하는 승려로 250계를 받아 지니는 이.
ㅣ 큰 戒 디녀 주021)
디녀:
지녀. 「디니-」.
잇거든 比丘尼 주022)
비구니:
여자로서 출가하여 348계를 받아 지니는 이.
가 正法을 호디 주023)
호디:
배우지. 「-디비」 앞을 긍정하고 뒤를 부정하는 이음법씨끝.
업시우믈 주024)
업시우믈:
업신여김을. 「업시우-」.
말씨오 주025)
말씨오:
말 것이고.
둘흔 주026)
둘흔:
둘은. 「둘ㅎ」.
比丘ㅣ 큰 戒 디뉴미 주027)
디뉴미:
지님이.
半만 야도 比丘尼 절야 셤기디 주028)
셤기디:
섬기지.
주029)
새:
새로.
호 들 어즈리디 주030)
어즈리디:
어지럽히지. 「어즈리-」.
말씨오 세흔 比丘 比丘尼   잇디 아니씨오 주031)
아니씨오:
아니할 것이고.
네흔 주032)
네흔:
넷은. 「네ㅎ」.
제 펴 조심야 邪曲 주033)
사곡:
요사스럽고 교활함.
 마리 이셔도 받고 갑디 마라 듣고도 몯 드른 시 며 보고도 몯 본 시 주034)
본시:
본 듯이.
씨오 다 주035)
다:
다섯은. 「다」.
허므를 주036)
허므를:
흠을. 허물을.
펴 보고 되와 주037)
되와:
되게 하여. 굳게하여. 「되오-」.
말며 貪欲 나토디 주038)
나토디:
나타내지. 「나토-」.
아니씨오 여스슨 주039)
여스슨:
여섯은. 「여슷」.
比丘 주040)
경:
부처님이 설한 교법과 그것을 기록한 불교 성전.
주041)
율:
부처님이 제정한 금계(禁戒).
와 묻디 주042)
묻디:
묻지.
世間앳 밧디 주043)
밧디:
바쁘지. 「밧-」.
아니

월인석보 10:21ㄱ

 이   주044)
:
한 곳에.
니르디 아니씨오 닐구븐 法律에 그른 이 지 주045)
지:
지어. 「지ㅿ-」.
半 모 주046)
모:
모인. 「몯-」.
주047)
:
곳에.
懺悔 주048)
참회:
지은 죄를 뉘루치고 용서를 빎.
씨오 여들븐 比丘尼 비록 一百  큰 戒 디녀도 큰 戒 受 새 比丘 아래 안자 恭敬야 禮數씨라 주049)
씨라:
-할, 것이다. -하는 것이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대애도의 출가 3]
아난이 다시 사뢰되, 대애도는 착한 뜻이(마음이) 많으시며, 부처님께서 처음 〈태어〉나신 것을 손수 기르시었습니다.” 〈고 하니,〉 여래 이르시되, “그것은 옳은 말이다. 대애도야(말로) 진실로 착한 뜻이(마음이) 많으며 내게도 은혜가 있거니와, 내가 이제 성불하여 대애도에게 또 많은 은덕이 있나니, 대애도가 내 덕으로 삼보에 귀의하여 사체를 의심하지 아니하며 오근을 믿으며, 오계를 받아 지니나니, 아난아 아무 사람이나 옷과 음식과 와구와 의약을【「와구」는 눕는 것이다.】 죽도록(?) 도와주어도 내 은덕만은 못한 것이다. 아난아, 여자가 사문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팔경법을 어기지 아니하여 죽도록 행하여야 율법에 가히 들리라(들어 올 수 있으리라). 【여덟 가지 공경하는 법은, 하나는 비구가 큰 계를 지니고 있거든 비구니는 정법을 배워야 〈할 것이〉지 업신여김을 말 것이고, 둘은 비구가 큰 계를 지님이 반달만이라도 〈먼저이거든〉 비구니는 절하고 섬겨야 〈할 것이〉지 새로 배우는 뜻을 어지럽히지 말 것이고, 셋은 비구와 비구니가 한 곳에 잇지 아니할 것이고, 넷은 자기가 살펴 조심하고, 사곡한 말이 있어도 받(아들이)고 갚지(대꾸하지) 말아서 듣고도 못 들은 듯이 하며 보고도 못 본 듯이 할 것이고, 다섯은 자신의 허물을 살펴 보고, 목소리 높여 말하며 탐욕을 나타내지 아니할 것이고, 여섯은 비구께 불경계율을 물(을 것이)지 세간의 바쁘지 아니한 일을 한 데 이르지 아니할 것이고, 일곱은 법률에 그른 일을 지었으면 반 달 동안을 〈비구가〉 모인 곳에 가서 참회할 것이고, 여덟은 비구니가 비록 1백 년을 큰 계를 지녔어도 큰 계를 받은 새 비구 아래 앉아 공경하고 예배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4년 8월 27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디:뜻이.
주002)
처:처음.
주003)
기르시니다:기르신 것입니다. 「-ㅸ-」「기르-」의 대상 ‘부텨’를 높임.
주004)
-ㅣ:-이야.
주005)
내그도:나에게도.
주006)
-의게:-에게.
주007)
잇노니:있으니.
주008)
삼보:불보(佛寶)·법보(法寶)·승보(僧寶).
주009)
사체:사성체. 고(苦)·집(集)·멸(滅)·도(道).
주010)
오근:눈·귀·코·혀 몸의 5관.
주011)
오계:불교에 귀의하는 재가(在家) 남녀가 받을 5종의 계율. 생을 죽이지 말것, 훔치지 말것, 음행하지 말 것, 거짓말 하지 말 것, 술 마시지 말 것.
주012)
디니니:지니니.
주013)
아란:아무런. 「아랗-」.
주014)
발다도:(?)추구해도. 「발-」.
주015)
외오져:되고자. 「-오져(〈고져)」.
주016)
팔경법:비구니가 지켜야 하는 여덟 가지 경법.
주017)
너므디:넘기지. 어기지. 「너므-」.
주018)
어루:가히. 넉넉히.
주019)
나:하나는. 「나ㅎ」.
주020)
비구:남자로서 출가하여 걸식으로 생활하는 승려로 250계를 받아 지니는 이.
주021)
디녀:지녀. 「디니-」.
주022)
비구니:여자로서 출가하여 348계를 받아 지니는 이.
주023)
호디:배우지. 「-디비」 앞을 긍정하고 뒤를 부정하는 이음법씨끝.
주024)
업시우믈:업신여김을. 「업시우-」.
주025)
말씨오:말 것이고.
주026)
둘흔:둘은. 「둘ㅎ」.
주027)
디뉴미:지님이.
주028)
셤기디:섬기지.
주029)
새:새로.
주030)
어즈리디:어지럽히지. 「어즈리-」.
주031)
아니씨오:아니할 것이고.
주032)
네흔:넷은. 「네ㅎ」.
주033)
사곡:요사스럽고 교활함.
주034)
본시:본 듯이.
주035)
다:다섯은. 「다」.
주036)
허므를:흠을. 허물을.
주037)
되와:되게 하여. 굳게하여. 「되오-」.
주038)
나토디:나타내지. 「나토-」.
주039)
여스슨:여섯은. 「여슷」.
주040)
경:부처님이 설한 교법과 그것을 기록한 불교 성전.
주041)
율:부처님이 제정한 금계(禁戒).
주042)
묻디:묻지.
주043)
밧디:바쁘지. 「밧-」.
주044)
:한 곳에.
주045)
지:지어. 「지ㅿ-」.
주046)
모:모인. 「몯-」.
주047)
:곳에.
주048)
참회:지은 죄를 뉘루치고 용서를 빎.
주049)
씨라:-할, 것이다. -하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