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0
  • 난타용왕궁 설법 ②
  • 난타용왕궁 설법 40
메뉴닫기 메뉴열기

난타용왕궁 설법 40


[난타용왕궁 설법 40]
種種 草木華蘂 주001)
화예:
꽃술.

월인석보 10:119ㄴ

【蘂 곳 안히라 주002)
곳안히라:
꽃술이다.
甁의 곳고 道場 주003)
도량:
절의 경내.
네 門 주004)
-:
-에.
各各 큰 香爐 노코 種種앳 香 熏陸 주005)
향훈륙·침수·소합·전단·안식:
모두 향의 이름.
沈水와 蘇合과 栴檀과 安息 等을 퓌우고 주006)
퓌우고:
피우고.
四面에 各各 靑幡 주007)
청번:
설법할 때 절 안에 세우는 푸른 깃대.
닐굽곰 주008)
닐굽곰:
일곱씩.
로 주009)
로:
달되. 「-」.
기릐 주010)
기릐:
길이가.
 丈이에 주011)
-이에:
-이(되)게.
고 【丈 열 자히라】蘇油燈 주012)
소유등:
들깨 기름으로 켜는 등.
을 

월인석보 10:120ㄱ

【蘇油 두리 기르미라 주013)
두리기르미라:
들깨기름이다.
 幡 주014)
-ㄷ:
-의. ㄴ음 아래 쓰인 사잇소리.
數에 맛게 고 여러 가짓 雜果實와 蘇酪 乳糜 【酪 타酪 주015)
타락:
젖(기름).
이오 乳糜 졋粥 주016)
졋쥭:
젖죽.
이라】
四面 龍王 알 주017)
알:
앞에.
노코 곳 비며 주018)
비며:
뿌리며. 「빟-」.
香 퓌우믈 그치디 아니케 고 果實와 飮食과 甁엣 므를 주019)
므를:
물을.
나날 주020)
나날:
나날이.
모로매 새로 호 每日 주021)
:
해가.

월인석보 10:120ㄴ

도  주022)
도 :
돋을 때.
供養앳 거슬 버리고 닐 주023)
닐:
읽을. 읽는. 「닑-」.
사미 比丘ㅣ어나 比丘尼어나 모로매 戒行 주024)
계행:
계를 받은 뒤, 계법의 조폭에 따라 이를 실천 수행하는 것.
이 淸淨야 주025)
-야:
-하여야.
리니 俗애 잇 사 나날 八禁齋戒 주026)
팔금재계:
팔관재계. 집에 있는 이가 하루 밤·낮 동안 지키는 계율.
 受持야  주027)
:
하루.
로 주028)
로:
때로.
香湯애 沐浴야 새 프른 옷 니버 주029)
니버:
입고.
齋戒 주030)
재계:
식사와 행동을 삼가고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함.

월인석보 10:121ㄱ

녀 寂靜히 디니 주031)
디니:
생각할지니.
比丘도  이리 디니라 주032)
디니라:
할지니라.
오직 蘇酪乳糜粳米 주033)
경미:
멥쌀.
果菜 주034)
:
-뿐. -만.
먹고 大小便 야 주035)
야:
하거든.
모로매 沐浴디니라 노 座애 오 저긔 주036)
오 저긔:
오를 적에.
十方 一切 諸佛 몬져 주037)
몬져:
먼저.
禮數고 주038)
-고:
-하(옵)고.
香 퓌우며 곳

월인석보 10:121ㄴ

주039)
비코:
뿌리고. 「빟-」.
十方 一切 諸佛와 諸大菩薩와  一切 諸天 龍王 請야 衆生 爲야 녜 주040)
녜:
늘.
慈心을 니와다 모딘 주041)
모딘:
모진.
念을 내디 아니야 부텨 禮數며  여러 가짓 功德으로 一切 諸天龍王

월인석보 10:122ㄱ

주042)
식:
전생의 업으로 인하여 현세에서 얻는 마음.
가진 얼굴 주043)
얼굴:
모습 형체.
잇 類예 도 주044)
도:
돌이켜.
施야 【類 무리라】法座 주045)
법좌:
설법할 적에 쓰는 높은 상좌.
올아 주046)
올아:
올라. 「오-」.
이 주047)
이:
있을.
저긔 된 소리로 주048)
된소리로:
큰소리로.
經을 닐고 주049)
닐고:
읽되.
밤낫 그치디 아니면 一七日이어나 二七日이어나 三七日이어나 반기 주050)
반기:
반드시.
甘雨ㅣ 리리라 주051)
리리라:
내리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난타용왕궁 설법 40]
갖가지 초목의 화예【「예」는 꽃술이다.】 병에 꽂고 도량 네 문에 각각 큰 향로를 놓고 갖가지 향훈륙과 침수와 소합과 전단과 안식 등을 피우고 사면에 각각 푸른 번을 일곱씩 달되, 그 길이가 한 장이 되게 하고 【「장」은 열 자이다.】소유등을 켜되 【「소유」는 들깨 기름이다.】또 〈그 등을 푸른〉 번의 수에 맞게 하고, 여러 가지 잡종의 과실과 소락유미를 【「락」은 타락이고, 「유미」는 젖죽이다.】사면의 용왕 앞에 놓고 꽃을 뿌리며 향 피움을 그치지 아니하게 하고, 과일과 음식과 병에 〈든〉 물을 나날이 모름지기 새로 하되(갈아 놓되) 매일 해가 돋을 때 공양의 것을 버리고, 경을 읽는 사람이 비구이거나, 비구니이거나 모름지기 계행이 청정하여야 할 것이니, 속〈세〉에 있는 사람은 나날이 팔금재계를 수지하여 하루 세 때 향탕에 목욕하는 새 푸른 옷을 입고 재계를 지녀 고요히 생각할지니, 비구도 또 이렇게 할지니라. 오직 타락젖죽멥쌀과일·채소만을 먹고, 대소변을 하거든 모름지기 목욕할지니라. 높은 자리에 오를 적에 시방의 일체 부처님께 먼저 예배하고 향피우며 꽃을 뿌리고 사방의 일체 여러 부처님과 여러 큰 보살과 또 일체 제천 용왕을 청하여 중생 위하여 늘 자심을 일으켜 모진 생각을 내지 아니하여 부처님께 예배하〈오〉며, 또 여러 가지 공덕으로 일체 제천용왕들과 을 가진 형체 있는 무리에 돌이켜 〈보〉시하여 【「류」는 무리이다.】법좌에 올라 있을 적에 큰 소리로 〈불〉경을 읽되, 밤낮〈으로〉 그치지 아니하면 첫 이레이거나 두 이레이거나 세 이레이거나 반드시 단비가 내리리라.” 〈하고〉
Ⓒ 역자 | 김영배 / 1994년 8월 27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화예:꽃술.
주002)
곳안히라:꽃술이다.
주003)
도량:절의 경내.
주004)
-:-에.
주005)
향훈륙·침수·소합·전단·안식:모두 향의 이름.
주006)
퓌우고:피우고.
주007)
청번:설법할 때 절 안에 세우는 푸른 깃대.
주008)
닐굽곰:일곱씩.
주009)
로:달되. 「-」.
주010)
기릐:길이가.
주011)
-이에:-이(되)게.
주012)
소유등:들깨 기름으로 켜는 등.
주013)
두리기르미라:들깨기름이다.
주014)
-ㄷ:-의. ㄴ음 아래 쓰인 사잇소리.
주015)
타락:젖(기름).
주016)
졋쥭:젖죽.
주017)
알:앞에.
주018)
비며:뿌리며. 「빟-」.
주019)
므를:물을.
주020)
나날:나날이.
주021)
:해가.
주022)
도 :돋을 때.
주023)
닐:읽을. 읽는. 「닑-」.
주024)
계행:계를 받은 뒤, 계법의 조폭에 따라 이를 실천 수행하는 것.
주025)
-야:-하여야.
주026)
팔금재계:팔관재계. 집에 있는 이가 하루 밤·낮 동안 지키는 계율.
주027)
:하루.
주028)
로:때로.
주029)
니버:입고.
주030)
재계:식사와 행동을 삼가고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함.
주031)
디니:생각할지니.
주032)
디니라:할지니라.
주033)
경미:멥쌀.
주034)
:-뿐. -만.
주035)
야:하거든.
주036)
오 저긔:오를 적에.
주037)
몬져:먼저.
주038)
-고:-하(옵)고.
주039)
비코:뿌리고. 「빟-」.
주040)
녜:늘.
주041)
모딘:모진.
주042)
식:전생의 업으로 인하여 현세에서 얻는 마음.
주043)
얼굴:모습 형체.
주044)
도:돌이켜.
주045)
법좌:설법할 적에 쓰는 높은 상좌.
주046)
올아:올라. 「오-」.
주047)
이:있을.
주048)
된소리로:큰소리로.
주049)
닐고:읽되.
주050)
반기:반드시.
주051)
리리라:내리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