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강행실도

  • 역주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충신도 주해
  • 삼강행실충신도(三綱行實忠臣圖)
  • 기신광초(紀信誑楚)
메뉴닫기 메뉴열기

기신광초(紀信誑楚)


5ㄱ

紀信誑楚

項羽ㅣ 滎陽 圍把얫거늘 漢王이 시름야 더시니 將軍 紀信이 닐오 이리 時急니 내 楚 소교리다 주001)
소교리다:
속.ㅣ-ㅗ-리다. 속이겠습니다. “-ㅗ-”는 주체가 1인칭임을 나타냄.
야 그저긔 陳平이 바 겨집 二千을 東門로 내야 楚ㅣ 四面으로 티더니 紀信이 王ㅅ 술위 타아 누른 집 고 왼녀긔 주002)
둑(纛):
임금이나 대장임을 나타내는 깃발.
곳고 나아 닐오 城中에 바비 업서 漢王이 楚애 降시다 야 楚ㅣ 다 萬

5ㄴ

世(歲) 브르고 城ㅅ 東녀긔 가아 보더니 그 예 漢王이 스므나  더블오 주003)
더블오:
더블-오. 더불고.
西門로 나 니거시 項羽ㅣ 紀信이 라 주004)
라:
-ㅏ. 살라.
주기니라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81년(성종 12)

5ㄴ

項羽圍滎陽. 王請和. 割滎陽以西爲漢. 范增勸羽. 急攻滎陽. 王患之. 將軍紀信曰. 事急矣. 臣請誑楚. 則王可以間出. 於是. 陳平夜出女子滎陽東門二千餘人. 楚因四面擊之. 信乃乘王車黃屋左纛曰. 城中食盡. 漢王降楚. 楚皆呼萬歲. 之城東觀. 以故. 王得與數十騎. 從西門出. 走成臯. 羽燒殺信
漢王當日被重圍. 事急何人解指麾. 不有將軍謀誑楚. 陳平雖智計無施.
攀龍附鳳幾英雄. 黃屋生降爲沛公. 帝業綿綿基此擧. 䔥何不是漢元功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34년(세종 16) 11월 25일 반포

기신광초 한나라
항우가 영양(=형양)을 포위하였으므로 한나라 임금이 걱정하시더니, 장군 기신이 이르되, “일이 시급하니 내가 초나라를 속이겠습니다.” 하고, 그때 진평이 밤에 계집 2천 명을 동문으로 내 보내니까 초나라가 사방으로 치는데, 기신이 임금의 수레를 타고 누른 집에다 왼쪽에 임금의 깃발을 꽂고 나가면서 이르되, “성 안에 밥이 없어 한나라 임금이 초나라에 항복하신다.” 하니, 초나라가 다 만세 부르고 성의 동쪽에 가서 보는데, 그 사이에 한나라 임금이 스물 남짓한 말 데리고 서문으로 나가시므로, 항우기신이를 살라 죽이었다.
Ⓒ 역자 | 김정수 / 2010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소교리다:속.ㅣ-ㅗ-리다. 속이겠습니다. “-ㅗ-”는 주체가 1인칭임을 나타냄.
주002)
둑(纛):임금이나 대장임을 나타내는 깃발.
주003)
더블오:더블-오. 더불고.
주004)
라:-ㅏ. 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