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강행실도

  • 역주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효자도 주해
  •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 진씨양고(陳氏養姑)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씨양고(陳氏養姑)


5ㄱ

陳氏養姑

陳氏 나히 열 여스세 남진어러 주001)
남진어러:
남진+얼-ㅓ. 시집가. “남진”은 “남인”과 같으며 ‘남자 또는 남편’을 뜻함. “얼-”은 ‘짝짓다’를 뜻하는 “어르다”의 으벗어난줄기임. 그래서 “남진어르다”는 ‘시집가다’를 뜻하고, “겨집어르다”는 ‘장가들다’와 같음.
그 남지니 防禦 주002)
-:
가-ㄹ+ㆆ. 갈. 된이응(ㆆ)은 두 낱말이나 형태소의 연결을 강화하는 이른바 사잇소리를 표기하는 방법의 하나임. “ 저긔”는 “갈 쩌긔”로도 표기될 수 있음.
저긔 닐오 주003)
닐오:
닐-오. 이르되. “닐-”은 “이르다”로 변한 “니르다”의 으벗어난줄기임.
≪防禦는 軍마기 주004)
군(軍)마기:
군+막+ㅣ. 군대로 적을 막는 일.
라≫
죽사리 주005)
죽사리:
죽+살+ㅣ. 죽고 사는 일, 죽느냐 사느냐 하는 일, 죽을 동 살 동 애쓰는 일.
 몯내 알리니 兄弟 업고 늘근 어미 네 孝道다 주006)
다:
-ㄹㆆ다. 하겠느냐. “-ㄹㆆ다”는 이인칭 주체에게 묻는 말로 쓰이는 맺음씨끝으로서 “-ㄹ따”로도 표기됨.
그리호리다 주007)
그리호리다:
그리+ㅎ-ㅗ-리--다. 그리하겠습니다. “-ㅗ-”는 일인칭 주체임을 표시하며, “--”는 상대높임을 표시하는 안맺음씨끝임.
果然 몯 도라오나 주008)
도라오나:
돌-ㅏ+오-나. 돌아오거늘.
싀어미 주009)
싀어미:
싀-어미. 시어미.
나날 주010)
나날:
나+날. 나날이, 매일.
새 주011)
새:
새++ㅸ+ㅣ. 새삼스럽게, 새롭게.
孝道야 乃終내 주012)
내종(乃終)내:
乃終+나+ㅣ. 마침내, 끝내.
다 남진  디 업더니 제 父母ㅣ 다 남진 얼유려 주013)
얼유려:
얼+이-ㅜ려. “얼이다”는 “어르다”에 하임의 뒷가지 “이”를 끼워 ‘짝지우다’를 뜻함.
커늘 주014)
커늘:
ㅎ-거늘. 하거늘.
닐오 남진  저긔 늘근 어미로 맛뎌늘 주015)
맛뎌늘:
+ㅣ-ㅓ늘. 맡기거늘. “-”은 “맡-”의 옛말이며, 하임의 뒷가지 “ㅣ”를 붙여 “맡기-”를 뜻함.
그리호려 호니 주016)
호니:
ㅎ-ㅗ-니. 하니. “-ㅗ-”는 일인칭 주체임을 나타내는 안맺음씨끝임.
 주017)
:
~ㆎ. 남의.
늘근 어미 치다가 주018)
치다가:
치-다가. 봉양하다가. “치다”는 오늘날 ‘양을 치다, 벌을 치다, 새끼를 치다’ 등에 남아서 ‘사육하다’를 뜻하나, 본디는 ‘봉양하다’를 뜻했음.
乃終내

5ㄴ

몯며 그 주019)
그:
~ㆎ그. 남에게.
오녀 주020)
오녀:
오냐. 그리하마.
고 고티면 주021)
고티면:
곧+히-면. 고치면(팔자를), 개가하면.
어드리 주022)
어드리:
어찌.
世間애 니리오 고 주구려 주023)
주구려:
죽-ㅜ려. 죽으려.
커늘 두리여 주024)
두리여:
두리-여. 두려워하여.
얼이니 주025)
얼이니:
얼+이-니. 짝지우니.
싀어미 스므 여듧  孝道다가 죽거늘 받과 주026)
받과:
받~과. 밭과.
집과 다 라 무드니 일후믈 주027)
일후믈:
일훔~ᅟᅳᆯ. 이름을.
孝婦ㅣ라 니라≪孝婦는 孝道 겨지비라≫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81년(성종 12)

5ㄴ

陳孝婦. 年十六而嫁. 其夫當戍. 且行. 屬曰. 我生死未可知. 幸有老母. 無他兄弟備養. 吾不還. 汝肯養吾母乎. 婦曰諾. 夫果死不還. 婦養姑不衰. 終無嫁意. 其父母將取而嫁之. 婦曰. 夫去時. 屬妾以養老母. 妾旣許諾. 養人老母而不能卒. 許人以諾而不能信. 將何以立於世. 欲自殺. 父母懼而不敢嫁. 養姑二十八年. 姑終. 盡賣田宅葬之. 號曰孝婦
良人遠征. 屬我老母. 身歿不歸. 言在敢負. 之死靡他. 養專葬厚. 萬世稱之. 曰陳孝婦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34년(세종 16) 11월 25일 반포

진씨양고 한나라
진씨가 나이 열 여섯에 시집가서 그 남편이 군대 갈 적에 이르되,≪방어는 병역이다.≫ “내가 죽살이를 못내 알 것이니, 형제 없고, 늙은 어미를 네가 효도하겠는가?” “그리하겠습니다.” 과연 못 돌아오거늘, 시어미를 나날이 새롭게 효도하여 마침내 다른 남편 구할 뜻이 없더니, 제 부모가 다른 남자한테 시집보내려 하거늘, 이르되, “남편 갈 적에 늙은 어미를 맡기기에 그리하려 하는데, 남의 늙은 어미를 봉양하다가 끝내 못 하며 남에게 오냐 하고 개가하면 어찌 세상에 다니리오?” 하고, 죽으려 하거늘, 두려워 시집을 못 보내니, 시어미를 스무 여덟 해를 효도하다가 죽어서 밭과 집을 다 팔아 묻으니, 이름을 “효부”라 하니라.≪효부는 효도하는 여자이다.≫
Ⓒ 역자 | 김정수 / 2010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남진어러:남진+얼-ㅓ. 시집가. “남진”은 “남인”과 같으며 ‘남자 또는 남편’을 뜻함. “얼-”은 ‘짝짓다’를 뜻하는 “어르다”의 으벗어난줄기임. 그래서 “남진어르다”는 ‘시집가다’를 뜻하고, “겨집어르다”는 ‘장가들다’와 같음.
주002)
-:가-ㄹ+ㆆ. 갈. 된이응(ㆆ)은 두 낱말이나 형태소의 연결을 강화하는 이른바 사잇소리를 표기하는 방법의 하나임. “ 저긔”는 “갈 쩌긔”로도 표기될 수 있음.
주003)
닐오:닐-오. 이르되. “닐-”은 “이르다”로 변한 “니르다”의 으벗어난줄기임.
주004)
군(軍)마기:군+막+ㅣ. 군대로 적을 막는 일.
주005)
죽사리:죽+살+ㅣ. 죽고 사는 일, 죽느냐 사느냐 하는 일, 죽을 동 살 동 애쓰는 일.
주006)
다:-ㄹㆆ다. 하겠느냐. “-ㄹㆆ다”는 이인칭 주체에게 묻는 말로 쓰이는 맺음씨끝으로서 “-ㄹ따”로도 표기됨.
주007)
그리호리다:그리+ㅎ-ㅗ-리--다. 그리하겠습니다. “-ㅗ-”는 일인칭 주체임을 표시하며, “--”는 상대높임을 표시하는 안맺음씨끝임.
주008)
도라오나:돌-ㅏ+오-나. 돌아오거늘.
주009)
싀어미:싀-어미. 시어미.
주010)
나날:나+날. 나날이, 매일.
주011)
새:새++ㅸ+ㅣ. 새삼스럽게, 새롭게.
주012)
내종(乃終)내:乃終+나+ㅣ. 마침내, 끝내.
주013)
얼유려:얼+이-ㅜ려. “얼이다”는 “어르다”에 하임의 뒷가지 “이”를 끼워 ‘짝지우다’를 뜻함.
주014)
커늘:ㅎ-거늘. 하거늘.
주015)
맛뎌늘:+ㅣ-ㅓ늘. 맡기거늘. “-”은 “맡-”의 옛말이며, 하임의 뒷가지 “ㅣ”를 붙여 “맡기-”를 뜻함.
주016)
호니:ㅎ-ㅗ-니. 하니. “-ㅗ-”는 일인칭 주체임을 나타내는 안맺음씨끝임.
주017)
:~ㆎ. 남의.
주018)
치다가:치-다가. 봉양하다가. “치다”는 오늘날 ‘양을 치다, 벌을 치다, 새끼를 치다’ 등에 남아서 ‘사육하다’를 뜻하나, 본디는 ‘봉양하다’를 뜻했음.
주019)
그:~ㆎ그. 남에게.
주020)
오녀:오냐. 그리하마.
주021)
고티면:곧+히-면. 고치면(팔자를), 개가하면.
주022)
어드리:어찌.
주023)
주구려:죽-ㅜ려. 죽으려.
주024)
두리여:두리-여. 두려워하여.
주025)
얼이니:얼+이-니. 짝지우니.
주026)
받과:받~과. 밭과.
주027)
일후믈:일훔~ᅟᅳᆯ. 이름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