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강행실도

  • 역주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충신도 주해
  • 삼강행실충신도(三綱行實忠臣圖)
  • 몽주운명(夢周隕命)
메뉴닫기 메뉴열기

몽주운명(夢周隕命)


33ㄱ

夢周隕命 高麗

崔瑩이 辛禑 勸야 兵馬 니와다 주001)
니와다:
닐.ㆍ.왇-ㅏ. 일으켜.
遼東 티거늘 우리 太祖ㅣ 回軍샤 王氏 도로 셰여시 左使 趙俊과 政堂 鄭道傳과 密直使 南誾 等이 天命 人心을 아 太祖 推戴려 더니≪推戴 님금 삼 씨라≫ 洪武 壬申 三月에 太祖ㅣ  타아 디옛거시 주002)
디옛거시:
디-여+-거시-. 떨어지셨는데.
守侍中 鄭夢周ㅣ 臺諫야 趙俊 鄭道傳 南誾 等을 트와 주003)
트와:
트-오-ㅏ. 틀어서, 탄핵하여.
귀 보내시긔 고 사 브려 미조차 주004)
미조차:
미+좇-ㅏ. 뒤좇아, 뒤따라. “미+”는 “밀다”의 ㄹ 벗어난 줄기임.
가아 주규려 커늘 義安大君과 興安君괘 太祖 시

33ㄴ

太祖ㅣ 니샤 死生이 命이어니 오직 順히 受 미라 義安君내 麾下 趙英珪려 니샤 李氏 王室에 有功호 사마다 다 아니 이제  거긔 디면 주005)
디면:
ㅺ-ㅓ+디-면. 꺼지면, 몰락하면.
後世예셔 뉘 알리오 麾下 士ㅣ 나토 힘 받리 주006)
받리:
받-- ㅣ. 바칠 이.
업스니여 英珪 닐오 내 盡情호리다 주007)
진정(盡情)호리다:
盡情+ㅎ-ㅗ-리--다. 마음과 뜻을 다하겠습니다.
고 길헤 가아 夢周 텨아 주겨늘 太祖ㅣ 드르시고 하 怒샤 病이 되샤 말 몯게 주008)
몯게:
몯+(())-게. 못 하게.
외시니라 恭定大王이 卽位샤 夢周ㅣ 제 셤기논  두  아니 가지니라  諡 文忠이라 시니라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81년(성종 12)

33ㄴ

崔瑩辛禑. 興師功. 我太祖擧義回軍. 復立王氏左使趙浚. 政堂鄭道傳. 密直使南誾等. 知天命人心所在欲推戴太祖. 洪武壬申三月. 太祖墯馬. 守侍中鄭夢周. 以浚. 道傳. 誾等. 同心輔翼. 令臺諫劾流之. 遣金龜聯. 李蟠. 就貶所將殺之. 義安大君和. 興安君李濟等. 白太祖. 曰. 勢已急矣. 將若何. 太祖曰. 死生有命. 但當順受而已. 和. 濟謂麾下趙英珪曰. 李氏之有功王室. 人皆知之. 今爲人所陷. 後世誰知. 麾下士其無効力者乎. 英珪曰. 敢不從命. 英珪等要於路. 擊殺夢周. 太祖大怒. 因病篤. 至不能言. 恭定大王卽位. 以專心所事. 不貳其操. 贈謚文忠
麗季襄微泰運升. 群賢攀附摠飛騰. 從容就死烏川子. 啓我朝鮮節義興.
忠義由來不可堙. 平時砥勵且無人. 疾風勁草尤難見. 須識高麗一介臣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34년(세종 16) 11월 25일 반포

몽주운명 고려
최영신우를 권해서 병력 일으켜 요동을 치니, 우리 태조
(이성계)
가 회군하시어 왕씨를 도로 세우시므로, 좌사 조준과 정당 정도전과 밀직사 남은 등이 천명과 인심을 아옵고 태조를 추대하오려 하더니≪추대는 임금 삼는다는 뜻이다≫, 공양왕 4년(1392) 3월에 태조가 말 타다가 떨어지셨는데 수시중 정몽주가 대간을 시켜 조준, 정도전, 남은 등을 탄핵하여 귀양보내시게 하고 사람 시켜 뒤따라 가서 죽이려 하므로, 의안대군흥안군태조께 사뢰시니, 태조가 이르시기를, “죽살이가 천명이니 오직 순순히 받을 따름이다.” 의안군 들이 휘하인 조영규더러 이르시기를, “이씨가 왕실에 공로 있는 것을 사람마다 다 아는데 이제 남의 손에 꺼지면 후세에 누가 알리오? 휘하의 선비 가운데 하나도 힘쓸 이가 없는가?” 영규가 이르기를, “내가 마음을 다하겠습니다.” 하고, 길에 가다가 몽주를 쳐 죽이니, 태조가 들으시고 몹시 노하셔서 병이 되시고 말씀을 못 하게 되시었다. 공정대왕이 즉위하셔서, “몽주가 자기 섬기는 일에 두 뜻 안 가진 이다.” 하시어 시호를 문충이라 하시었다.
Ⓒ 역자 | 김정수 / 2010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와다:닐.ㆍ.왇-ㅏ. 일으켜.
주002)
디옛거시:디-여+-거시-. 떨어지셨는데.
주003)
트와:트-오-ㅏ. 틀어서, 탄핵하여.
주004)
미조차:미+좇-ㅏ. 뒤좇아, 뒤따라. “미+”는 “밀다”의 ㄹ 벗어난 줄기임.
주005)
디면:ㅺ-ㅓ+디-면. 꺼지면, 몰락하면.
주006)
받리:받-- ㅣ. 바칠 이.
주007)
진정(盡情)호리다:盡情+ㅎ-ㅗ-리--다. 마음과 뜻을 다하겠습니다.
주008)
몯게:몯+(())-게. 못 하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