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강행실도

  • 역주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효자도 주해
  •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 자로부미(子路負米)
메뉴닫기 메뉴열기

자로부미(子路負米)


2ㄱ

子路負米

子路 주001)
자로(子路)ㅣ:
자로가. 15세기까지는 토씨 “가”가 쓰일 자리에 “ㅣ”만 쓰였음.
艱難야 주002)
가난(艱難)야:
가난하여. “艱難”이 오늘의 “가난”으로 변함.
도랏 주003)
도랏:
명아주. “도랓/ 도랏/ 도랏〉도토랏” 등으로 나타남.
닙 주004)
닙:
팥잎.
주005)
:
뿐.
야 밥 먹더니 어버 주006)
어버:
어버이.
爲야 百里 밧긔 주007)
밧긔:
~ㅢ. 밖에.
가아 주008)
:
쌀.
지여 주009)
지여:
지-여. 지어.
오더라≪三百 步ㅣ  里니 百 里 주010)
온:
백(百).
里라≫
어버 업거늘 주011)
업거늘:
업-거늘~. 없어서야. 별세한 뒤에야. “”는 지금말 토씨 “야”로 변함.
노피 주012)
노피:
높+ㅣ. 높이. 벼슬이 높게.
외야 주013)
외야:
외-야. 되어.
조 주014)
조:
좇-ᅟᆞᆫ. 좇은. 따른, 또는 딸린.
술위 주015)
술위:
수레.
一百이며 穀食을 萬 주016)
종(鍾):
곡식의 양을 재는 곡(斛) 또는 석(石)의 열 배. 만 종은 십만 석이 됨.
 싸며  주017)
:
요.
주018)
포:
ㅍ+ㅗ. 거듭. “ㅍ-”는 “다”(거듭되다)의 ㆍ 벗어난 줄기이며, “ㅗ”는 어찌씨를 만드는 뒷가지임. 지금말 “날포, 달포, 해포” 등의 “포”가 이것임.
오 주019)
오:
-오. 깔고. “-오”는 “-고”가 ㄹ로 끝나는 줄기 밑에서 변동하는 것임.
안며 주020)
안며:
앉-ㆍ며. 앉으며.
소 주021)
소:
솥~. 솥을.
버려 주022)
버려:
벌+ㅣ-ㅓ. 벌이어. 늘어 놓아.
먹더니 한숨 디허 주023)
디허:
딯-ㅓ. 지어.
닐오 도랏 주024)
도랏:
“도랓”과 같음. 명아주.
닙 주025)
닙:
팥잎.
과 먹고 어버 爲야 주026)
:
쌀.
쥬려 주027)
쥬려:
지-ㅜ-려. 지려. “-ㅜ-”는 말할이(일인칭 주체)의 ‘의도’를 강조함.
야도 몯리로다 孔子ㅣ 드르시고 니샤 子路

2ㄴ

ㅣ 사랫거든 주028)
사랫거든:
살-ㅏ 잇-거-든. 살아 있거든, 살아 있으면.
 주029)
:
힘+ㅅ+장. 힘껏. “+ㅅ+”은 사잇소리로서 두 낱말의 연결을 강화하며, “장”은 “”(끝, 가)에 지소사 “”이 붙어 ‘더욱 작은 끄트머리, 극단’을 뜻함.
孝道고 죽거든 몯내 주030)
몯내:
못내.
그리다 주031)
그리다:
그린다. 그리워 한다.
리로다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81년(성종 12)

2ㄴ

子路. 姓仲. 名由. 孔子弟子. 事親至孝. 家貧. 食藜藿之食. 爲親負米於百里之外. 親歿之後. 南遊於楚. 從車百乘. 積粟萬鍾. 累裀而坐. 列鼎而食. 乃歎曰. 雖欲食藜藿之食. 爲親負米. 不可得也. 孔子聞之曰. 由也可謂生事盡力. 死事盡思者也
家貧藜藿僅能充. 負米供親困苦中. 當日孔門稱盡孝. 仲由千古播高風.
一朝列鼎累重裀. 富貴終能念賤貧. 生事死思惟盡孝. 聖門嘉譽屬賢人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34년(세종 16) 11월 25일 반포

자로부미 노나라
자로가 가난하여 명아주와 팥잎만 가지고 밥 먹더니, 어버이 위하여 백 리 밖에 가서 쌀 지어 오더라≪삼백 보가 한 리요 백 리는 온 리다≫. 어버이 여의고야 높이 되어 딸린 수레가 일백이며, 곡식을 십만 석을 쌓으며, 요를 겹쳐 깔고 앉으며, 솥을 벌여 먹더니, 한숨 지어 이르되, “명아주와 팥잎을 먹고 어버이 위하여 쌀 지려 하여도 못하리로다.” 공자가 들으시고 이르시되, “자로야말로 살아서는 힘껏 효도하고 죽어서는 못내 그리는구나 하리로다.”
Ⓒ 역자 | 김정수 / 2010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자로(子路)ㅣ:자로가. 15세기까지는 토씨 “가”가 쓰일 자리에 “ㅣ”만 쓰였음.
주002)
가난(艱難)야:가난하여. “艱難”이 오늘의 “가난”으로 변함.
주003)
도랏:명아주. “도랓/ 도랏/ 도랏〉도토랏” 등으로 나타남.
주004)
닙:팥잎.
주005)
:뿐.
주006)
어버:어버이.
주007)
밧긔:~ㅢ. 밖에.
주008)
:쌀.
주009)
지여:지-여. 지어.
주010)
온:백(百).
주011)
업거늘:업-거늘~. 없어서야. 별세한 뒤에야. “”는 지금말 토씨 “야”로 변함.
주012)
노피:높+ㅣ. 높이. 벼슬이 높게.
주013)
외야:외-야. 되어.
주014)
조:좇-ᅟᆞᆫ. 좇은. 따른, 또는 딸린.
주015)
술위:수레.
주016)
종(鍾):곡식의 양을 재는 곡(斛) 또는 석(石)의 열 배. 만 종은 십만 석이 됨.
주017)
:요.
주018)
포:ㅍ+ㅗ. 거듭. “ㅍ-”는 “다”(거듭되다)의 ㆍ 벗어난 줄기이며, “ㅗ”는 어찌씨를 만드는 뒷가지임. 지금말 “날포, 달포, 해포” 등의 “포”가 이것임.
주019)
오:-오. 깔고. “-오”는 “-고”가 ㄹ로 끝나는 줄기 밑에서 변동하는 것임.
주020)
안며:앉-ㆍ며. 앉으며.
주021)
소:솥~. 솥을.
주022)
버려:벌+ㅣ-ㅓ. 벌이어. 늘어 놓아.
주023)
디허:딯-ㅓ. 지어.
주024)
도랏:“도랓”과 같음. 명아주.
주025)
닙:팥잎.
주026)
:쌀.
주027)
쥬려:지-ㅜ-려. 지려. “-ㅜ-”는 말할이(일인칭 주체)의 ‘의도’를 강조함.
주028)
사랫거든:살-ㅏ 잇-거-든. 살아 있거든, 살아 있으면.
주029)
:힘+ㅅ+장. 힘껏. “+ㅅ+”은 사잇소리로서 두 낱말의 연결을 강화하며, “장”은 “”(끝, 가)에 지소사 “”이 붙어 ‘더욱 작은 끄트머리, 극단’을 뜻함.
주030)
몯내:못내.
주031)
그리다:그린다. 그리워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